- 다해 박지은
- 조회 수 1345
- 댓글 수 1
- 추천 수 0
10년후의 나를 만나기 위해 나는 길을 나선다. 오랜만에
느껴보는 이 설레임이 참 좋다.
..............................................................................................
“10년의 회고” (2017-2027),
2017년 2월의 어느 멋진 날에 '다해 박지은' 쓰다.
2027년 다시 찾은 이 바다에서 지나온 10년을 돌아보며...
“정성을 다하는 삶, 어제보다 빛나는 당신을 응원합니다”
내가 생각하는 직업관, 나에게 있어서 일이란?
나의 사명이다. 나의 존재 이유이다. 나의 몸짓이다. 나의 꿈이다.
나의 일은 점점 더 진화되고 무르익음으로써 이 세상에 선한 영향력을 줄 것이다.
지금의 내 마음과 꼭 닮은
오묘하게 조화로운 파도가
창 너머에서 춤을 추고 있다.
10년전 약간의 낮술에 상기되어 거닐었던
그 빛나던 겨울바다...
그리고 그곳을 함께 거닐며 서로를 응원했던
꿈벗 42기 동기님들의 목소리가
아직도 생생하게 귓가에 맴돈다.
나는 그곳에서 나의 첫 번째 꿈을 이루었다.
치열하게 갈망 했었던 나의 첫 꿈을...
시인이 되겠노라던,
아니 이미 나는 시인이노라
용기롭게 외쳤던
그 찬란했던 겨울바다를 잊을 수가 없다.
어쩌면 그 순간부터 시작된
내 꿈의 풍광들을 노래하려 한다.
끊임없이 노래했던 내 10년의
삶의 흔적들 속으로 들어가 보려 한다.
멘토에게 띄우는 편지 / 박지은
그대의 고단함으로
우리는 행복합니다
그대의 일어섬으로
우리는 힘이 납니다
그대의 다독임으로
우리는 이겨냅니다
조금은 지친 그대여
우리의 응원으로
우리의 함성으로
다시금 일어 나소서
10년 전 내가 감히, 나의 멘토에게 쓴 시이다.
멘토의 힘겨움이 보였고, 나는 응원하고 싶었고 힘을 드리고 싶었다.
멘토도 사람이었고 어설픈 시로 위로하고 싶었던 나도 사람이었다.
아니 어쩌면 나도 이런 위로를 받고 싶었고
그런 멘티를 둔 멘토이고 싶었던 것이다.
이런 생각의 점들이 하나 둘 그려지고,
그 점이 선이 되고, 면이 되고, 비로소 그림이 되었다.
나도 이젠 그 누군가의 멘토가 되었다.
그 아름다운 풍광스토리
#1. 나의 책, 나의 분신들이 태어났다.
그 7권의 책을 통해 나는 7번 새로이 태어났다.
산고의 고통이 주는 그 즐거움과 짜릿함은 이루 말할 수가 없다.
7권의 책 제목은
그대에게 띄우는 편지 : 첫 시집 (2017. 9)
무지개효과 : 긍정의 힘을 노래하다 (2020. 3)
꿈발전소 : 청소년의 꿈 찾아주기 프로젝트 (2021. 3)
주부 독서혁명 : 주부들의 반란, 독서로 꿈을 찾다 (2022. 3)
우리는 모두 꽃이다 : 두 번째 시집 (2023. 3)
인생의 조화 : 첫 에세이 (2025. 3)
몸짱시인이 당신의 꿈을 응원합니다 : 세 번째 시집 (2027. 3)
#2. 독서포럼 “흥해나비”의 9주년을 자축하는 “Book & People" 여행을
90명의 나비가족들과 함께 다녀왔다.
9번째 이번 여행의 테마는 “명상 그리고 감성충전” 이었다.
2박3일동안의 시간속에서 우리는 조금은 소원했던 나 스스로를 돌보고,
쓰다듬고, 어루만지고 사랑해 주었다.
선물 같은 감성꾸러미까지...
#3. “감성시인” 처음처럼 박지은, “삶은 시다”라는 주제로
300회 기념특강을 꿈벗 가족들과 함께 나누다.
2017년 2월 꿈벗42기과정을 통해 나는 새로이 태어났다.
10년동안 꿈 꿔왔던 ‘시인’ 이라는 꽃을 드디어 피워낸 것이다.
그 치열하게 꿈꾸고 노래하고 갈망했던 나의 삶을 시로 풀어보았다.
내가 꿈벗을 통해 꿈을 피울수 있었듯이 나의 시를 통해 꿈을 찾고,
꿈을 이루는 많은 꿈벗들이 생겼으면 좋겠다.
#4. “마음부자학교” 개교 5주년을 맞이하다.
청소년들에게 꿈을 찾아주기 위해 2022년 개교한 마음부자학교가
올해로 5주년을 맞았다. 문방구에 가면 살수 있는 연필, 지우개처럼
나는 청소년들에게 꿈을 팔고 싶었다. 작은 꿈, 큰 꿈, 동그란 꿈,
네모난 꿈, 쉬운 꿈, 어려운 꿈, 잘생긴 꿈, 못생긴 꿈...
본인의 열정과 끈기와 정성만 있으면 살 수 있는 꿈들이다.
꿈도 내가 마음만 먹으면 내 것이 될수 있다는 것을 아이들에게 보여주고 싶었다.
그 꿈을 판지도 벌써 5년, 매년 50명의 졸업생들은사회 곳곳에서
스스로 아름다운 꿈꽃을 피워가고 있다.
#5. 몸짱시인으로 거듭나다.
2017년부터 지금까지 10년 동안의 꾸준한 운동으로 마음복근은 물론
배에도 복근을 만들었다. 그래서 나온 나의 세 번째 시집,
“몸짱시인이 당신의 꿈을 응원합니다”를 출간했다.
꿈을 통해 마음복근을 만들고, 운동을 통해 몸짱으로 거듭날 수 있었던 나였기에
건강하고 아름다운 꿈을 꾸는 세상의 많은 그대들을 응원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6. 우리나라 100대 산 오르기에 성공하다.
사랑하는 남편과 함께 시작한 우리나라 100대 산 오르기의 마지막 산인
제주도 한라산을 마침내 정복하다.
#7. 꿈에 그리던 전원주택으로 이사하다.
10년전 나의 고향 신광에 마련했었던 작은 땅에 집을 지었다.
늘 남편과 상상하며 함께 꿈꿔왔던 마당도 있고, 텃밭도 있고,
꽃밭도 있는 소박한 전원주택이다.
그 무엇보다 나만의 공간, 나의 서재가 생긴 것이 너무 행복하다.
#8. 1년에 한번 떠나는 가족과의 해외여행이 올해로 10년째이다.
큰애가 고2, 작은애가 중2때 처음 일본으로 떠났던 가족 해외여행의
에피소드들이 아직도 생생하게 떠오른다.
10년의 시간속에 더 단단해지고 마음의 키가 훌쩍 자란 아이들이 있어 참 행복하다.
#9. 올해도 혼자만의 사색여행을 떠나려 한다.
1년에 한번 나에게 주는 선물같은 이 시간이 너무 좋다.
나는 이번 여행을 통해 또 다른 나를 만나고 올 것이다.
지금까지 만나보지 못했던 나를...
#10. 흥해농협에 주부대학 강사가 되어 다시 찾게 되다.
농협을 떠난지도 벌써 3년이란 세월이 흘렀다.
내 청춘과 내 열정과 내 모든 것을 쏟아 부었던 그 곳...
어쩌면 지금의 내가 있을수 있는 건 30년동안 나를 연마하고
발전시킬수 있는 든든한 울타리, 바로 직장이 있었기 때문이리라...
제2의 직업인으로 몸짱시인 박지은의 명함으로 새로이 태어난 나,
주부대학 강사로 다시 찾은 그날의 여운을 잊을수가 없다.
......................................................................................................................
한달 하고도 몇일후에야
그날의 그 설레임 가득했던 저의 풍광들을 올려봅니다.
무보정, 무삭제, 무편집...
아하~ 첫 책 출산일은 조금 미루었네요...
저의 민낯을 보여주는듯해 무척이나 민망하지만
버전1.0의 느낌을 간직해 보렵니다.
더 많은 독서와 치열한 사색으로 태어날 버전2.0을 기대하며...
2017년 3월 7일 pm 10:27
다해 박지은 다녀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