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요한
- 조회 수 12434
- 댓글 수 2
- 추천 수 0
1. 직무스트레스 현황
한국 직무스트레스 학회가 전국 254개 사업체 직장인 약 7000명을 조사한 결과 73%는 잠재적인 직무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고 22%는 심한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40%), EU(28%)보다 높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하지만 국내 기업체들은 이를 개인적 문제로 방치하고 있고 근로자들도 혹시나 불이익을 볼지 몰라 자신의 스트레스나 질병을 드러내지 않는 경향이 있다.
2. 직무스트레스의 한국적 특성
*외국 - 직무내용이나 성과에 대한 스트레스가 많다.
*한국 - 상사와의 갈등관계, 집단주의 조직문화, 비공식적 직장문화가 더 큰
요인으로 작용
3. 근로자 지원제도(Employee Assistance Programs: EAP)
(1) EAP란?
사원들의 안녕 및 정신건강 그리고, 일과 삶의 균형을 도모하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조직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일련의 서비스를 말한다. 20세기 초반 직장 내 알코올중독 프로그램이 효시가 되어 초기에는 직장 내 알코올이나 약물남용자의 치유와 직무 복귀에 초점을 두었다. 미국의 경우, 1970년대 이후로는 건강, 재정, 정서, 법률, 가족 문제 등 업무성과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포괄적 문제로 점차 확대되며 이를 담당하는 전문 외부기관이 급증하고 있다. 현재 미국 근로자 1,000인 이상 사업장의 76%가 이를 도입하고 있다고 한다.
(2) 한국의 현황
: 고강도의 직무 스트레스와 고용의 불안정성 및 연봉제 도입 등 갈수록 치열한 경쟁적 근로환경 속에서 개인 근로자가 감당할 수 있는 범위의 스트레스를 넘어선지 이미 오래다. 하지만 현재 이러한 제도를 도입한 회사는 미미하고 주로 외국계 기업체(제이피모간, 다우 케미칼, IBM 등 10여개 업체)를 중심으로만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기업체로는 두 군데가 선도적으로 도입하였기에 간략히 소개한다.
1) SK - '하모니아’ 서비스
경력관리 컨설턴트, 정신과 의사, 심리상담사, 재테크 컨설턴트 등 10여명의 전문 상담가가 경력 및 역량 개발은 물론 생활, 가족 문제, 스트레스 관리 등에 대해 상담을 한다.
2) 유한 킴벌리
2002년부터 도입되었고 EAP를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회사를 통해 현재는 전사업장에 확대되어 적용되어지고 있음.
4. 한국적 EAP 모델 개발의 필요성
현재 EAP 제도를 운영하는 기업들은 과다한 직무스트레스에 시달리는 근로자의 개별상담에 국한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스트레스의 원인들(stressors)은 그대로 두고 개인의 대처능력만을 강화하는 부분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전체 직원의 일부분만이 직장 내외부에서 개별상담을 받는 수준이고 일부 기업에서는 상담자 개인의 비밀보장 문제와 인사상 불이익의 문제가 대두되기도 하였다.
1) 직무스트레스의 한국적 특성 즉, 관계갈등(interpersonal conflict)에 주목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감소시켜 나갈 수 있는 접근이 요구된다. 즉, 지금처럼 ‘개인별 관리 차원’이 아닌 팀과 조직차원의 ‘건강한 공동체지향’이라는 보다 집단적 접근이 필요하다. 즉, 개인적 접근과 집단적 접근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집단적 접근의 예; 대화기술 및 갈등해결을 위한 단기 프로그램)
2) 인지행동 기법, 강의, 개별상담, 근육이완법 등 서양식 스트레스 관리방법의 기계적 적용보다는 우리 문화에 잘 맞는 훈련기법(예: 휴식시간을 이용한 약식 명상, 기체조 등) 등을 개발하고 시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3) 회식문화 개선, 금연 및 알코올 교육, 게임중독 등 직무 스트레스가 잘못된 방향으로 표출되고 있는 문화를 통합적으로 점검하고 이의 개선을 시도하는 일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외부기관과의 협력도 필요하겠지만 기업 내에서 이를 담당하는 부서나 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댓글
2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2 |
한식 패스트푸드3 ![]() | 오세나 | 2005.09.13 | 15293 |
31 |
한식 패스트푸드2 ![]() | 오세나 | 2005.09.13 | 7772 |
30 |
한식 패스트푸드 ![]() | 오세나 | 2005.09.13 | 13677 |
29 | 유한킴벌리 연구 8 | 박노진 | 2005.09.12 | 8320 |
28 | 한국성 경영의 일례 : 정신적 가치의 중시 | 문요한 | 2005.09.09 | 7457 |
27 | Koreanity 경영과 사례 | 오세나 | 2005.09.08 | 9038 |
26 | 내가 생각하는 한국성과 사례 [1] | 홍승완 | 2005.09.05 | 7143 |
25 | 코리아니티 경영모델 연구 1 - 평생학습 | 박노진 | 2005.09.04 | 6838 |
24 | SAS 인스티튜트의 인력관리 | 박노진 | 2005.09.02 | 14730 |
23 | 시스코시스템스 회사의 인력 관리 방법 | 박노진 | 2005.08.30 | 11168 |
22 | 한국기업 퇴직관리의 현황과 문제점 | 문요한 | 2005.08.08 | 13642 |
21 | 유한킴벌리 연구 7 : 평생학습체계 1 | 박노진 | 2005.08.02 | 13279 |
20 | 유한킴벌리 연구 6 - 인적자원관리 | 박노진 | 2005.08.02 | 19543 |
» | 직무스트레스와 한국형 근로자 지원제도의 필요성 [2] [1] | 문요한 | 2005.07.28 | 12434 |
18 | 우한킴벌리 연구 5 - 4조 2교대의 사회적 의미 [4] [16] | 박노진 | 2005.07.17 | 15455 |
17 | 유한킴벌리 연구 4 | 박노진 | 2005.07.12 | 10063 |
16 | 유한킴벌리 연구 3 | 박노진 | 2005.07.12 | 9971 |
15 | 유한킴벌리 연구 2 | 박노진 | 2005.07.12 | 9832 |
14 | 유한킴벌리 연구 1 | 박노진 | 2005.07.12 | 10542 |
13 | [한국성(Koreanity)] 관계: 국내기업의 간단한 사례 | 홍승완 | 2005.07.04 | 10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