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의섭
- 조회 수 2850
- 댓글 수 2
- 추천 수 0
자신이 주인공이 되는 삶을 과시하고인정받고 싶어한다.
좀더 나은 삶과 연관된 단어
여유, 만족, 비교우위에서는 것,
경제적 우위, 시간적 여유, 쫓기지않는 삶...
그리고 스스로의 존재감의 표출
있어빌리티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1166110
작가의 솔직한 고백
이런 솔직한 고백이 있어서 책이 더 인기가 있지 않을까
P.37
블로그 방문자가 조금 생기게 된 시점은 정보성 글을 올리기 시작하면서부터 였다.
블로그를 어떻게 써야하는지 작가는 제시하기 시작한다
작가가 제시한 경험은 큰 깨우침을 주었다
방문자가 늘었다 = 사람들이 원하는 글
회사일에서는 고객관점을 생각하면서 글에 대한 방문자부분에서는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었다사람들의 관심과 고민에 촛점을 맞추고 글을 써야 한다
"남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야 "컨텐츠 생산자"란 생각이든다
요즘 시대는 모르는게 있을 때 검색엔진을통해 찾는 시대.
(글로써 배우고 동영상으로 듣고 사진으로 느끼는)현상을 통찰해서 이론과 접목시키는 조건에서는 '심리학'분야가 많은 글감을
제공한다. 이론이 중심이 되고 현상을 풀어가니까
P.39
컨텐츠 생산자가 되기 위한 연결고리
= 서로 다른 정보의 연결 + 정보(지식)와 경험 + 채집노트어떻게 글을 써야 하는가의 길을 제시해준다.
쓸거리를 명확히 정리하고,
자신의 주장(지식, 정보)을 명확히 하고,
사례와 근거를 들어 컨텐츠를 생산하는 길.
그것이 글쓰기이고 컨텐츠를 생산해 내는 일
저자의 글쓰기 사례가 나와있다.
풀어보면,
주장할 이론 ->자신의 경험 -> 연결 => 글
P.41
글을 쓰는 이유에 관해 이야기하는 이 부분에 깊은 공감
뭔가 표현하고 싶은데 그것의 한계를 느낄 때 가슴이 답답했고
어쩌면 그래서 담배를 피워 댓는지 모르겠다.(뭐 핑계일 수 있지만...)
P.55
P.58
P.70
주변인이 아닌 주인공으로 스스로의 존재감을 찾고 싶은 것이었겠지.
궁극에 만나는 건 '나'
'소비가 아니라 생산을 통해서 형성' 된다는 말이 울림으로 머문다.
P.72
내 생각은 어떠한가?
이 내용을 내 삶에 적용해 보면 어떨까?
나라면 어떻게 할까?
작가의 구구절절한 이야기가 마음에닿는다.
생각에서 '어떻게 할까?'라는 마음이 떠돌았는데...
질문을 마음에 던지고 생각을 적어가다보면 그 안에서
통찰을 가져다 주는 거 같다.실천의 문제. 그리고 지속성의 문제
물음표를 노트에 정리고, 정의하고, 정립
실천적 과제에서 지금 해야 할 일들이바로 이것이었다
P.75
시간에 대한 통제감을 느끼기 위해 필요한 것은 계획이다
P.87
P.97
- 각자의 키워드가 다르겠지만 '편집'이라는 말보다 '연결'이라는 말이 더 어울리지 않았을까?
P.99
- 저자만의 창의성 정의
많이 읽고, 많이 보고.... 그리고 정리해서 생각의 틈을 메우는 작업
저자는 글쓰기를 권하고 있다
P.105
창의성으로 가는 두가지 길
1.연결에 사용할 수 있는 생각의 재료를 늘린다.
- 많이 보고, 읽고, 다양한 경험을 쌓는다
- 다른 사람의 지식과 경험을 활용한다
2.서로 다른 생각이 충돌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든다
- 자유롭게 의견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조직 문화를 만든다
- 독서를 통해 사고의 영역을 확장하고노트를 통해 정리하는 습관이
궁극의 창의성의 시작
P.110
왜 우리가 원할 때 아이디어가 떠오르지 않는 것일까?
P.111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얻고 싶은가?
그렇다면 침묵의 시간을 늘려보자.
김경일교수의 이야기와 맥이 통한다.
'통찰은 감정과 정서'에서 오는 것이라던...머리가 복잡하고 하는 일이 잘 안풀릴때는 매달리기 보다
그냥 밖으로 나가는게 역시 현명한 일이다.업무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일
- 항상 생각을 정리하고 해결방법을 고민하다보면 어느 순간 '아...!'하는 순간이 생기기 마련이다.
중요한 내용들은 별도 툴로 관리
http://blog.naver.com/iamwebpoet/220707098798
P.114
인간관계 측면에서도, 문제해결과 목표성취 측면에서도 '접촉가설'은 유용하다
P.158
P.163
- 김병완 작가도 '생각의 힘'에서도 비슷한 말을 했다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7224795
- 메모 자체로만 머문다면 아무것도 아닌게 될 수 있다.
- 잊지 않기 위한 메모보다는 생산적 활동을 위한 메모
P.182
내가 메모에 재미를 붙이게 된 것은 블로그 덕분이다.
블로그를 하면서 어떤글을 쓸지 항상 고민하게 되었고
글의 주제가 떠오르면 메모를했다.
작가가 경험한, 내제한 솔직함이 보인다.
그리고 '나도 했으니 당신도 해보라'라고 이야기하는 듯 하다그래서 나도 열심히 써보고 있다
P.189
- 세미나를 들을 때 녹음기를 사용해도하나의 방법인데...온전히 필기에만 집중하기에는 내 글씨속도가 너무 늦다.
- 다시한번 느낀거지만 작가는 자신이 가진노하우와 경험을 최선을 다해 강조하고 강조하며 알려주고 있다
삶에서 실천적인 부분은 각자의 몫
P.240
P.242
- 작가가 그러한 삶을 살아 냈으니까.
P.245
P.249
P.252
자신이 잘 아는 분야의 글을 써라
. 백화점씩 출간은 곤란하다
. 카테고리를 정하고 그 분야에서 꾸준히 책을 내라
. 모든 사람이 좋아하는 책을 만들지 마라
. 독자 범위를 좁혀라
. 자신이 잘 아는 분야의 책을 내자
P.259
P.272
P.274
메모한 것을 읽으며 생각을 정리하는데 써보자
P.276
노트에 쓴 네모를 이용해 글을 쓰고 블로그에 올렸다
P.277
실천하기 쉬운 것부터 목표를 잡고 ...
P.295
P.328
- 메모는 정보를 기록하기 위해가 아니라자신의 것으로 해석해서 생산하는데 있다.(기록을 통한 생산)
'자신과의 진솔한 대화를 보이게 하라'로 해석
'지켜보는 자'와 대화해 보자
P.329
- [생각과 감정이 '나'가 아니다] 라는개념에 지향성을 두지만 그 안에 깨어있는건 정말이지 쉽지않다.
언젠가 들은 '구나, 겠지, 감사'가 생각났다.
자신의 감정이 끊임없이 일어날 때,아 그럴 수 있겠구나
아 그런 생각을 할 수 있겠지
그렇지만 이런면에서는 감사하다
작가는 글쓰기의 깊이를 '내면으로 들어가라'
벗어나는 경험을 쓰라고 이야기 하는거 같다.
P.330~331
나의 어떤 욕구가 좌절되어 생긴 분노인지
이 상황을 해결하려면 어떤 대처방식이바람직할지
생각해 본다.
- 글쓰기에 관한 Tip을 넘어 이제는 마음의 다스림까지...^^
P.336
P.337
- 북리뷰를 메모를 해가면서 다시써 보고 싶어졌다. 이제는 양보다는 질적인 차원에서 내 안으로 들어갈 볼 참이다.
- 저자의 input이 어떻게 Output으로 나오는지 알게됬다.
- 글쓰기를 시작하기 전,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 메모의 사례를 들어 잘 설명해 준다.
- 그간 그렇게 많이 출시 되었던 메모관련 책들에 비해 문구류의 사례,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활용에 대해 잘 설명해 준다.
- 저자 자신이 메모로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스스로 증명해 줌으로써 독자들도 그렇게 할 수 있게끔 방향을 이끌어 준다.
[내용 리뷰] 1.인생의 목적을 무엇이라 생각하는가?
2.종목은 바뀌었지만 취미는 있었고 재미있게 살고 있었다. 그런데 30대를 넘어가면서 공허함과 불안함이 느껴졌다. 그러던 중...
3.' 앞으로는 내것을 만들어 봐야 겠다'라는 생각을 가지고 처음 시도해 본 것이 블로그를 써보는 일이었다
4.그러던 어느날 책을 읽으면서 떠오른 생각들을 메모하기 시작 했다
5.2년을 꾸준히 메모하고 정리한 결과 신기한 일이 벌어졌다
6.메모가 어떻게 이런 변화를 만들었을까?
7.글을 쓰는 사람과 쓰지 못하는 사람의 차이
9.책에서 배우는 정보, 학교의 지식은 외부의 자극. 외부의 자극에 대한 반응. 즉 나의 생각을 수집하고 체계화 할 때 그때 비로소 나만의 지식이 만들어진다.
10.진짜 공부란 ![]() 11.노트에 생각의 씨앗을 심으면 생각이 자라나서 '글'이 되었고 그것이 모여서 책을 쓸 수 있게 되었다. 12.공부를 왜 하는가?
13.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찾기 위해서는
14.삶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15.메모의 숨겨둔 힘은 '삶을 관찰자'로 만들어 준다는 것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4912 | #42 스스로 살아가는 힘_자율성에 대하여 | 뚱냥이 | 2018.02.19 | 2847 |
4911 |
#45 일단 오늘은 나한테 잘합시다 (윤정욱) ![]() | 윤정욱 | 2018.02.19 | 2190 |
» |
메모 습관의 힘 ![]() | 송의섭 | 2018.02.19 | 2850 |
4909 | #45 못 가본 길이 더 아름답다_이수정 | 알로하 | 2018.02.19 | 3104 |
4908 | #45. 생각을 걷다 [1] | ggumdream | 2018.02.19 | 2228 |
4907 | #45 - 진로인문학(이정학) | 모닝 | 2018.02.19 | 2202 |
4906 | 서대원 주역강의(2) [2] | 보따리아 | 2018.02.19 | 2600 |
4905 | #45 세상에서 가장 길었던 하루(정승훈) | 정승훈 | 2018.02.18 | 2563 |
4904 | #44. 토킹 투 크레이지 | ggumdream | 2018.02.12 | 2927 |
4903 | #44 소유냐 삶이냐_이수정 | 알로하 | 2018.02.12 | 2874 |
4902 | 멀리 가려면 함께 가라 | 송의섭 | 2018.02.12 | 2457 |
4901 | #44 히트 메이커스 1/2 (윤정욱) | 윤정욱 | 2018.02.12 | 2253 |
4900 | #44 프루스트가 우리의 삶을 바꾸는 방법들(이정학) | 모닝 | 2018.02.12 | 2204 |
4899 | #44 아니야, 우리가 미안하다 (정승훈) | 정승훈 | 2018.02.11 | 2591 |
4898 | #41 위대한 멈춤 2_멈추면 보인다 | 뚱냥이 | 2018.02.10 | 2395 |
4897 | 서대원 주역강의(1) | 보따리아 | 2018.02.10 | 3571 |
4896 | #43. 군대 심리학 | ggumdream | 2018.02.05 | 2936 |
4895 | 사장님, 소주 한잔 하시죠(CEO들의 세상 사는 이야기) | 송의섭 | 2018.02.05 | 2630 |
4894 | #43 유시민의 글쓰기 특강_이수정 | 알로하 | 2018.02.05 | 2301 |
4893 | 현명한 투자자의 인문학 | 보따리아 | 2018.02.05 | 27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