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야
- 조회 수 1914
- 댓글 수 0
- 추천 수 0
송산서원에서 묻다
문인수
마을 뒤, 산 밑에 오래 버려진 송산서원에서
나는 폐허에게 묻는다. 이쯤에서 그만 풀썩 무너지고 싶을까.
이것 저것 캐묻는다.
찔레 덤불이 겹겹 앞을 가로 막으며 못 들어가게 한다.
돌아서고 싶을까. 찔레 가시에 찔리며 억지로 들어선 마당, 그리고 뒤꼍.
풀대들, 풀떼며 잡목들이 불학무식하다. 공부하고 싶을까. 작은 마루에 방 둘,
어디론가 훌쩍 떠나고 싶을까.
기둥과 기둥 사이에 줄을 쳐, 토종 강냉이 수십 다발을 주렁주렁 널어두었다.
산새 부리들, 들쥐 다람쥐 청설모… 잇자국들이 대를 이어 상세하다.
이 빠진 세월은 또 얼마나 길까. 누군가 버리고 간 한 무더기 세로쓰기 책들,
대강 넘겨보니 사법고시 준비를 한 것 같다. 그리고 취사도구 몇 잘살까.
거미줄이며 먼지가 이렇게 힘세다. 작파했을까.
이 방 저 방 마구 부서져 널려 있는 것들 중에 격자무늬문짝 몇 개가 그나마 그래도 쓸 만하다. 사방, 닫아걸고 싶을까.
마당을 다시 잘 살펴보니 풀숲에 작은 웅덩이 흔적이 두 군데, 이쪽저쪽 숨어있다.
썩은 꺾꽂이 같은 세월, 깜깜 눈감고 싶을까.
나는 끝내 대답하지 않는다.
과거지사란 남몰래 버티는 것, 대답하지 않는다.
문인수 시집, 『배꼽』, 창비, 2008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224 | [리멤버 구사부] 좋은 얼굴 | 정야 | 2021.09.13 | 1907 |
223 | [시인은 말한다] 은는이가 / 정끝별 | 정야 | 2021.09.06 | 2415 |
222 | [리멤버 구사부] 도토리의 꿈 | 정야 | 2021.08.30 | 2218 |
221 | [시인은 말한다] 직소폭포 / 김진경 | 정야 | 2021.08.23 | 2201 |
220 | [리멤버 구사부] 필살기 법칙 | 정야 | 2021.08.16 | 1901 |
219 | [시인은 말한다] 함께 있다는 것 / 법정 | 정야 | 2021.08.09 | 2267 |
218 | [리멤버 구사부] 숙련의 '멋' | 정야 | 2021.08.02 | 1894 |
217 | [시인은 말한다] 여름의 시작 / 마츠오 바쇼 | 정야 | 2021.07.26 | 1888 |
216 | [리멤버 구사부] 괜찮은 사람 되기 | 정야 | 2021.07.26 | 1897 |
215 | [시인은 말한다] 영원 / 백은선 | 정야 | 2021.07.12 | 2345 |
214 | [리멤버 구사부] 자신의 삶을 소설처럼 | 정야 | 2021.07.12 | 1684 |
» | [시인은 말한다] 송산서원에서 묻다 / 문인수 | 정야 | 2021.07.12 | 1914 |
212 | [리멤버 구사부] 불현듯 깨닫게 | 정야 | 2021.06.21 | 1770 |
211 | [시인은 말한다] 노자가 떠나던 길에 도덕경을 써주게 된 전설 / 베르톨트 브레히트 | 정야 | 2021.06.14 | 1908 |
210 | [리멤버 구사부] 치열한 자기혁명 | 정야 | 2021.06.14 | 1782 |
209 | [시인은 말한다] 다례茶禮를 올리는 밤의 높이 / 박산하 | 정야 | 2021.05.31 | 1906 |
208 | [리멤버 구사부] 지금 무엇을 하면 행복할까? | 정야 | 2021.05.24 | 1873 |
207 | [시인은 말하다] 꿈 / 염명순 | 정야 | 2021.05.17 | 1760 |
206 | [리멤버 구사부] 스스로 안으로부터 문을 열고 | 정야 | 2021.05.10 | 1925 |
205 | [시인은 말한다] 나무들 / 필립 라킨 | 정야 | 2021.05.03 | 19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