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라현정
- 조회 수 3913
- 댓글 수 0
- 추천 수 0
연구원 생활을 지내는 동안 나에게는 ‘구라’라는 별명이 생겼다. 칼럼으로 올라오는 내 ‘픽션’이
아주 그럴듯하게 사람들에게 읽힌다는 의미였다. 내 스토리텔링의 능력을 아주 높이 사준 동료 연구원들의 칭찬을 나는 그냥 넙죽 받아 챙겼다.
그런데, 요즘 내 책을 엮으려고 하면서 그 ‘구라’ 부분에서 문제가 생긴거다. 그림을 보고 구라를 풀어내는 능력을 한 번 보여주려고 했는데, 이 구라가 안 풀리니 미칠 지경이 되어갔다. 이 지경에 이르니 온갖 종류의 방황이 시도가 된다. 혼자서 방구들에 주구장창 앉아서 땅굴을 파기도 해보고, 무언가 새로운 이야기를 들으면 괜찮을까 싶어서 신기한 사람들을 찾아 다니기도 하고, 마음을 비워보면 괜찮을려나 싶어서 명상도 해 봤는데도 별 뾰족한 수는 생기지 않았다.
그 때쯤, ‘진짜 내가 구라쟁이인가?’ 라는 의문이 올라왔다. 그러고 보니, ‘구라’라는 칭찬을 덥썩 받아 챙기기는 했는데 내 스스로 어떤 종류의 구라인가에 대해서는 자세히 생각을 해 본적이 없었던 것이다. 그래서, 연구원 시절을 시작해서 칼럼이라는 것을 쓰기 시작했을 때로 거슬러 올라가 봤다. 예전에 썼던 칼럼들을 하나씩 다시 읽어 보니 무언가 집히는 게 하나 있다. 모든 사람들이 내 ‘구라’라고 여기며 재미있게 읽었던 글들이 사실은 ‘구라-즉 거짓말이나 상상의 이야기’가 아니라 ‘경험’이었던 것이다. 그러니까, 나는 내 경험을 가지고 사람들을 상상의 세계라고 착각시킬 만큼의 글을 썼던 것이다.
이쯤에서 고백컨대, 나는 절대 상상력이 풍부한 인간이 아니다. 따라서, 상상력으로만 구성된 허
구의 글을 잘 쓰는 인간이 못 되는 것이다. 대신, 나는 경험한 이야기를 신나고 재미나게 풀어낼
수 있는 능력은 확실히 있다고 믿는다. 뭔가를 끝까지 경험하고 그 경험한 이야기를 진짜 재미나
고 섹시하게 써 낼 수 있다고 강력하게 믿는다.
그런데 나는 이 사실을 왜 이제서야 깨달았단 말인가? 이제서야 구라쟁이의 정체가 명확히 밝혀
지는 것 같아서 속은 시원한데 뒷수습은 어찌해야 할지 잘 모르겠다. 이를 어쩌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