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병진
- 조회 수 13006
- 댓글 수 166
- 추천 수 0
※ 새벽 시간과 새벽 활동
1. 새벽 시간 : 오전 4시 ~ 6시
2. 새벽 활동
1) 1 ~ 21일차, ‘이노체인지(가제)’ 집필 완성
2) 22 ~ 30일차, 출간 계획서 작성 및 들이대기
3) 31 ~ 100일차
-. 처음 1시간 : 하루에 한 꼭지 글 쓰기
-. 두 번째 1시간 : 레알 돋는 내면탐험
※ 나의 전체적인 목표 (1~3가지)
1. ‘이노체인지(가제)’ 집필을 마친다. 그리고, 출간 계획서도 만든다.
2. 다양한 종류의 글을 쓴다. 글 글의 결과를 단군일지로 작성한다. 컬럼, 시놉시스 등
3. 세미나에 대한 결과물로 내면탐험을 다시 한다. 최근 내가 알고 있던 나와 다른 성향의 나를 만났다. 그것도 나를 대표하는 성향이 나와는 맞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중간 목표 (3~5가지)
1. ‘이노체인지(가제)’ 집필을 완성한다. (9월 26일까지)
2. ‘이노체인지(가제)’의 출간 계획서를 만든다. (10월 6일까지)
3. 내면 탐험 Season1에서 모은 자료를 다시 살펴보고, 새벽에 벌거벗은 나와 다시 대면한다.
4. 다양한 글을 접해본다.
※ 목표 달성 과정에서 직면하게 될 난관과 극복 방안 (2~3가지)
1. 저질 체력
첫 100일을 하면서 체력적으로 많이 힘들었다. 여름의 무더위가 큰 몫을 했지만, 운동부족에 따른 체력저하를 극복하기 힘들었다. 점심시간을 이용해 매일 운동을 할 것이다. 첫 100일 때에도 병행하다 못했지만, 걷기부터 다시 시작한다.
2. 새벽 2시간 몰입하기
새벽시간을 온전히 몰입하기는 쉽지 않았다. 내 성소와 조금 친해졌으니 집중하고 졸음을 핑계로 인터넷에 손대지 않겠다.
3. 새로운 업무
공교롭게도 200일차 첫 날이 새로 맡은 업무의 시작일이기도 하다. 한 달에 2~3일씩 밤샘을 한다. 별로 얘기하고 싶지 않다.
※ 목표를 달성했을 때 내 삶에서 일어날 긍정적인 변화 묘사 (1~2가지)
1. 첫 책 완성
1월부터 시작한 책을 쓰는 경험이 내게는 커다란 자산이다. 스토리텔링은 책을 쓰는 방식이 다르지만, 하나의 주제로 이렇게 오랜 기간 동안 고민해 본적이 없었다. 작은 고통이면서 새로운 경험에 마침표를 내 손으로 꼭 찍는다. 내 스스로 포기하지 않기로 한 내 자신과의 약속도 지킨다. 알고보니 태어나 처음으로 내 자신과의 약속을 지키게 된다.
2. 내면 탐험 Season2
정답을 찾아보겠다고 시작했던 내면 탐험 Season1의 결과는 참패였다. 과욕이었다. 좋은 기회가 생겼으니 다시 내면탐험을 시작한다. 검사도구를 통해 나온 내 성향 대표는 임박착수였다. 크나큰 오해였다. 난 임박착수가 아니다. D-day를 정해놓고 내 스스로 임박착수라 강요하며 스트레스를 받았기에 날카로운 승냥이의 모습이 나타났다. 아는 만큼 보인다. 다시 내면탐험을 시작한다. 내면탐험을 통해 또 다른, 잃어버린 나와 대면해 보기로 한다.
※ 목표를 달성했을 때 나에게 줄 보상 (1~3가지)
1. 해보지 않은 경험에 대한 환상과 즐김의 미학.
누구나 그렇듯이 해보지 않은 경험을 한다는 것은 사람을 흥분시킨다. 내가 책을 좋아하는 이유 중 하나가 새로움이다. 책마다 다른 색을 가지고 있다. 읽기도 그렇고, 쓰기도 그렇다. 읽기만 하던 경험에 쓰는 경험이 더해지니 새롭다. 신난다. 재미난다. 이런 재미만으로 나에게는 충분한 보상이 된다. 난 재물에 욕심이 없는 편이다. 아직은 재미가 나에게는 가장 큰 보상이다.
※ 작은 승리들: 새벽 기상을 지키기 위해 절제할 저녁 활동
1. 나도 끊는다.
승완이의 출사표를 보고 놀랐다. 요즘 들어 폐가 타 들어 가는 느낌을 자주 받는다. 하루에도 몇 번씩 금연을 생각하지만 어렵다. 나라에서 마약으로 규정했으면 좋겠지만 그런 나라가 되기를 기다리는 것보다 내가 담배를 끊는 게 더 빠를 것이다. 나도 끊는다.
2. 술
참여하는 회의마다 뒤풀이가 항상 있다. 친한 동기들과의 술자리가 2주에 한 번은 있다. 여기 저기서 회식이 많다. 어쩔 수 없이 참석은 해야 한다. 첫 100일 때와 마찬가지로 구석자리, 맥주 2잔 이하로 마신다.
어쩌면 그대야는 마음이 참 따듯한 좋은 경영자가 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했어요.
아직은 어딘가 거친 원석같은 그대야의 모습 속에 담고 있는 내면 속 부드러움이 한껏 세상으로 표현될 때
참 아름다울 것 같다는 생각이.. 물론 IT Product를 꿈꾼다면 그 또한 멋진 일이겠지만..^^
담에 만나면 우리 같이 말놓을까낭? 난 나이 많다고 일방적으로 말놓는거 안좋아하는 사람 중의 한 사람^^
그니까 서로 말놓을까낭? 실은 내도 불편해~! ㅋㅋㅋ 그대야 말처럼 해는 넘기지 말아보자공~ ㅋㅋㅋ
무튼 시차 적응 잘하고, 남은 한달도 멋진 수호장의 모습 기대할게요. 없으니 넘 조용하더라는~ ㅎㅎ

지금 장난해?
책장에 있는 책들은 왜 본거야?
네 무의식속에 있는거 맞아?
쳐다 보기도 싫다.
이건 아니다. 정말 아니다.
하루 종일 부정적인 생각만 떠오른다.
책속에서 영혼을 구하고 거기서 머무른다면 책 읽기는 시간 떼우기에 불과하다.
변하자. 변해야 한다.
간절함은 어디로 갔느냐.
사방을 둘러봐도 널 지켜줄 사람은 아무도 없다.
네 스스로 일어나라!
일어나야 한다.
남은 머리카락이 하나도 없더라도 일어나야 한다.
너에게 주어진 숙명이다.
사비의 꽃처럼 한 순간에 만발할 것이다.
참고 견디고 또 참아야 한다.
걷고 싶다. 무작정 걷고 싶다.

[단군일지_182_2010/11/26(금)] 기리며....
스물 여섯의 아리따운 슬픈 영(靈)이여.
그대 스스로 선택한 길이기에 이대로 보냅니다.
오랜 기간 힘들어 했을 그대를
찰나도 위로해 주지 못한
무거운 마음이 어깨 통증으로 그대로 전해집니다.
곱게 차려입은 영정 사진속의 그대가
어찌 그리 아름다운지 눈물조차 나오지 않았습니다.
힘겨움의 한 숨만으로 보낸 그대의 다음 생은
찬란하게 빛나게 해달라고 빌고 다시 빌었습니다.
그대의 잘못은 없습니다.
엇갈린 인생의 고리도
스스로 택한 혼자의 외로움도
치료의 거부도
하염없이 눈물만 흘리는 언니도
친구의 영정앞에서 웃고 떠드는 철없는 친구들도
그리고, 먼저 가신 부모님들도.....
그대의 잘못은 단 하나도 없습니다.
훨훨 날아가 그대가 쉬고 싶은 곳에 머무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