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書元
  • 조회 수 2099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11년 9월 18일 12시 55분 등록
소원을 말해봐.JPG

가톨릭 기도의 형식 중에 화살기도라는 것이 있다.

명칭의 어원은 옛날 세상 가장 빠른 것이 화살 이었는데 말 그대로 바람 같이 날아가 과녁에 소원이 꽂힌다는 이유 때문이었다.

그래서 사람들이 애용하는 기도가 되었는데 여기에는 두 가지 법칙이 따른다.

 

1. 지극한 정성

예전에 인기리에 방영 되었던 ‘전설의 고향’ 프로그램의 장면을 굳이 떠올리지 않더라도, 우리의 어머니 세대 분들은 소원을 빌시 꼭 이른 새벽 시간에 일어나 정화수 한 그릇 떠다놓고 두 손을 가지런히 모아 기도를 올렸다.

진심어린 이 같은 기도는 에너지가 되고 파동이 되어 세상을 향해 전달이 되었고 산신령 분들의 마음을 움직였다. 기도의 반은 정성이다.

2. 개인의 노력

어느 한사람이 있었다. 그는 날마다 이렇게 소원을 간구 하였다.

“신이시여, 나에게 로또 복권 당첨의 기회를 허락하소서.”

간절히 빌고 비는 염원에 보다 못한 신이 꿈에 나타났다.

“너의 정성이 갸륵해서 소원을 들어 주겠노라. 그런데 제발 로또를 먼저 사고 나서 이야기하려무나.”

이 이야기는 소원을 빌 때에도 자신이 할 수 있는 개인의 노력이 먼저 수반이 되어야 한다는 뜻이리라.

 

이십대 초반 무언가의 열병에 휩싸인 적이 있었다.

왠지 모르게 몸이 아프고 마음 둘곳 몰라 방황하는 가운데 우연히 대학 교정내 벽보판에서 나의 시선을 잡아끄는 하나의 전단지를 발견 하였다.

‘소록도 하계 봉사자 모집.’

소록도? 문둥이 환자들이 살고 있다는 그 소록도?

미쳤나. 그런 곳에 더구나 개인 경비를 들여 방문하는 이유가 뭐지라는 의문 속에 나도 한번 가볼까 라는 호기심이 들던 차, 작은 사슴을 닮았다는 그 섬은 상처투성이 손을 내밀었다.

 

문드러진 살과 몸, 코가 없고 귀가 없는 얼굴의 그들을 직접적으로 처음 만나 두려워 가까이 가지 못하는 가운데, 라면을 함께 먹자고 권하는 노인 내외분의 성의를 나는 무시하고 도망을 올수밖에 없었다.

무서워서, 겁이 나서, 문둥이 병이 옮을까봐. 구차한 변명을 대고 싶었다.

하지만 그런 그네들은 한평생 일그러진 육신을 어렵게 이끌고 새벽 4시만 되면 지팡이에 흔들거리는 몸을 의지하여 교회로 향한다. 그리고 뜨겁게 하늘의 보이지 않는 그분에게 기도를 올린다.

그런데 그런 그네들의 기도 제목은 웃긴다.

자신을 버린 이들을 욕하고 세상 사람들로부터 잊힌 사무치는 원망감을 한탄하고 하소연 하는 것이 아니다.

자신의 상처에 자신의 사무치는 고통에 자신의 병고를 낫게 해달라는 기도가 아니다.

김일성 부자의 회개를 위해서

대한민국의 평화 통일을 위해서

이 땅의 동량인 자라나는 청소년들을 위해서 등 타인과 세상에 대한 기도가 먼저이고 우선이다.

부끄러웠다.

매일 갈 곳 몰라 방황하는 나의 길을 밝혀 주소서 라고 생떼 쓰듯이 기도하는 나 자신이 너무나 부끄러웠다.

 

나는 오늘도 행운을 바라는 기도를 올린다.

발뒤꿈치를 대고 턴을 하면 소원을 들어 준다는 그 혹한 발림에 또 목이 메여 불쌍한 중생은 오늘도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기도를 올린다.

나는 어떤 소원을 빌고 있나?

우린 무엇을 소원하나?

IP *.117.112.95

프로필 이미지
백산
2011.09.18 18:19:20 *.8.230.253
그대의 소원이 무엇일찌  상상이 가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12 [늑대20] 너는 누구냐 & 나의 프로필 [18] 강훈 2011.09.06 2296
2611 [Sasha] Alternative Lifestyle in Smart World file [11] 사샤 2011.09.06 1990
2610 [Sasha] 9월 오프 수업 과제 - 프로필 file [5] 사샤 2011.09.06 2245
2609 너는 누구냐? [6] 루미 2011.09.06 1980
2608 응애 79 - 내 슬픔을 등에 지고 가는 사람 [8] 범해 좌경숙 2011.09.07 2438
2607 길이 끝나는 곳에서 (4 한국적인 펜싱인가?) [1] 백산 2011.09.10 2613
2606 성공 키워드 아줌마를 보라 - 6. 의처증의 비극 그리고 아내의 생존 [1] 書元 2011.09.10 2356
2605 미나의 모의비행 (1) [10] 미나 2011.09.11 2260
2604 나비 No.20 – 인정받고 싶은 자의 휴식 [14] 유재경 2011.09.12 4624
2603 20. 열등감을 디자인하라! file [9] 미선 2011.09.12 2302
2602 길이 끝나는 곳에서 (5. 사랑은 생각이 아니다) [2] 백산 2011.09.12 2073
2601 [Monday,String Beans-#1] 신두리 여행기 file [14] 양경수 2011.09.12 5683
2600 [늑대21] 무엇으로 헌신을 구할 것이냐? [9] 강훈 2011.09.12 2661
2599 저는 인간입니다 [11] 루미 2011.09.12 2346
2598 [Sasha] 파트라슈와 파블로프의 개 - 조건화된 삶에서 해방되기 file [10] 사샤 2011.09.12 2977
2597 길이 끝나는 곳에서 (6. 그 문은 열 필요가 없다) [4] 백산 2011.09.14 2903
2596 [늑대21-1] 이수일과 김중배 [2] 강훈 2011.09.16 2543
2595 길이 끝나는 곳에서 (7. 한 번만으로 충분하다) [6] 백산 2011.09.17 2638
» 단상(斷想) 80 - 소원을 말해봐 file [1] 書元 2011.09.18 2099
2593 성공 키워드 아줌마를 보라 - 7. 버즈 마케팅(Buzz Marketing)의 주류 [1] 書元 2011.09.18 3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