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空樂齊
- 조회 수 2045
- 댓글 수 1
- 추천 수 0
기업 경영에서 가장 근본적인 것은 무엇일까요?
저는 그것은 '사람에 대한 견해'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답이 무척 진부해 보이지만 사실 일선 경영 현장에서 아직도 구호로만 그치고 있기 때문입니다.
왜 구호로만 그치게 되는 것일까?
경영자가 사람에 대한 초심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 이유들은 무엇일까?
이 세상에 사람만큼 다양성이 큰 종(種)은 없기 때문일 것입니다.
경영자도 그 중의 한 사람일 뿐이고 개성들을 지니고 있습니다.
모든 사람을 다 포용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그러다 보니 직원들에게 실망하고 좌절하기 일쑤입니다.
그렇게 몇 번 반복하게 되면 직원들에게 잘 해 줄 필요가 없다는 생각이 고개를 들게 됩니다.
직원들로부터 마음의 상처를 받게 되는 것이지요.
저 역시 공동창업해서 사업할 때, 또 경영총괄 임원으로 일할 때 그리고 지금도 수시로 겪는 일입니다.
그래서 필연적으로 리더는 외롭고 고독할 수 밖에 없습니다.
창 밖을 내다보며 물끄러미 서 있을 때가 많습니다.
왜냐하면 사람에 대한 감정들을 혼자 삭혀내야 하니까요.
아무리 직원들이 무능해 보이고 월급이 아까운 생각이 들어도 그들을 믿어야 하니까요.
저는 직원에 대한 불만을 떨쳐낼 수 없다면 그 직원과 헤어져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그들을 마음으로 거둘 수 밖에 없는 것이 기업의 리더가 타고난 숙명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니 모든 조직에서 리더의 숙명이겠지요.
그것을 하기 싫다면 또 못한다면 리더의 위치에 있더라도 알아서 내려와야 합니다.
그렇지 못한 리더가 이끄는 기업이나 조직은 모두를 불만과 무기력 속으로 밀어넣으니까요.
이 세상에 사람에 대한 것 만큼 어려운 것이 또 있을까요.
(카페가 하나 있습니다. http://cafe.daum.net/ialone
인연은 소중합니다. 서로 다른 길을 걷더라도...따로 또 같이)
IP *.109.152.197
저는 그것은 '사람에 대한 견해'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답이 무척 진부해 보이지만 사실 일선 경영 현장에서 아직도 구호로만 그치고 있기 때문입니다.
왜 구호로만 그치게 되는 것일까?
경영자가 사람에 대한 초심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 이유들은 무엇일까?
이 세상에 사람만큼 다양성이 큰 종(種)은 없기 때문일 것입니다.
경영자도 그 중의 한 사람일 뿐이고 개성들을 지니고 있습니다.
모든 사람을 다 포용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그러다 보니 직원들에게 실망하고 좌절하기 일쑤입니다.
그렇게 몇 번 반복하게 되면 직원들에게 잘 해 줄 필요가 없다는 생각이 고개를 들게 됩니다.
직원들로부터 마음의 상처를 받게 되는 것이지요.
저 역시 공동창업해서 사업할 때, 또 경영총괄 임원으로 일할 때 그리고 지금도 수시로 겪는 일입니다.
그래서 필연적으로 리더는 외롭고 고독할 수 밖에 없습니다.
창 밖을 내다보며 물끄러미 서 있을 때가 많습니다.
왜냐하면 사람에 대한 감정들을 혼자 삭혀내야 하니까요.
아무리 직원들이 무능해 보이고 월급이 아까운 생각이 들어도 그들을 믿어야 하니까요.
저는 직원에 대한 불만을 떨쳐낼 수 없다면 그 직원과 헤어져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그들을 마음으로 거둘 수 밖에 없는 것이 기업의 리더가 타고난 숙명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니 모든 조직에서 리더의 숙명이겠지요.
그것을 하기 싫다면 또 못한다면 리더의 위치에 있더라도 알아서 내려와야 합니다.
그렇지 못한 리더가 이끄는 기업이나 조직은 모두를 불만과 무기력 속으로 밀어넣으니까요.
이 세상에 사람에 대한 것 만큼 어려운 것이 또 있을까요.
(카페가 하나 있습니다. http://cafe.daum.net/ialone
인연은 소중합니다. 서로 다른 길을 걷더라도...따로 또 같이)
댓글
1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2909 | -->[re]詩라는 좋은 친구 [4] | 이은남 | 2006.09.30 | 2334 |
2908 | 시방 여기가 그 꽃자리여 [7] | 한명석 | 2006.09.30 | 2122 |
2907 | 짙푸른 가을 한라산, 오르다! [2] | 다뎀뵤 | 2006.10.01 | 2100 |
2906 | 감성 대 이성 [3] | 김성렬 | 2006.10.01 | 2035 |
2905 | 사람들 [2] | 자로 | 2006.10.04 | 2074 |
2904 | 너의 웃는얼굴이 좋다! [1] | 다뎀뵤 | 2006.10.04 | 2275 |
2903 | 거인과 가을바다(펀드이야기2) | 황성일 | 2006.10.05 | 1884 |
2902 | 서점에서 놀기 [4] | 경빈 | 2006.10.07 | 2424 |
2901 | '사랑의 찬가'-장 뤽 고다르 1999 | 정재엽 | 2006.10.08 | 2766 |
2900 | '아워뮤직' - 장 뤽 고다르 2004 | 정재엽 | 2006.10.08 | 1998 |
2899 | 브라질 영화 '마꾸나이마' - 페드로 데 안드라데, 1969 | 정재엽 | 2006.10.08 | 2354 |
2898 | 눈마주침 [3] | 다뎀뵤 | 2006.10.09 | 2702 |
2897 | 당신의 유리창 [2] | 김종원 | 2006.10.09 | 2005 |
2896 | 560회 한글날을 맞이하여 [1] | 도명수 | 2006.10.09 | 2229 |
2895 | <부의미래> 속의 '한반도' | 다뎀뵤 | 2006.10.10 | 2269 |
2894 | '귀향' - 페드로 알모도바르 2006 [2] | 정재엽 | 2006.10.10 | 2093 |
2893 | 도선생님께 // 가장 아름다운 우리말 열 개 | 다뎀뵤 | 2006.10.11 | 2164 |
2892 | 인생 후반부를 디자인하는 5가지 원칙 [1] | 오병곤 | 2006.10.14 | 2203 |
2891 | 세월이 지나 꽃다운 소녀는 노피가 되고 [5] | 우리 모습 | 2006.10.15 | 2328 |
» | 기업의 리더의 숙명... [1] | 空樂齊 | 2006.10.16 | 20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