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승연
- 조회 수 5162
- 댓글 수 65
- 추천 수 0
제목 : 새로운 아침의 풍경과 만나다.
1. 새벽 시간과 새벽 활동
* 새벽 시간 : 아침 5시 ~ 7시
* 새벽 활동 : 다양한 책읽기, 전공책읽기
2. 나의 전체적인 목표
* 밤 11시 취침하기, 새벽 기상 습관화
* 새벽 책읽기의 일상화
3. 중간 목표
* 새벽에 일어나 5시~ 7시까지 책상에 앉아 있기
* 40일간 책 5권 읽기
* 70일간 책 10권 읽기
* 100일간 책 15~20권 읽기
4. 목표 달성 과정에서 직면하게 될 난관과 극복 방안
* 밤늦게까지 라디오를 들으며 새벽녘까지 깨어 있다가 5시에 출석체크하고 잠드는 장면이 스쳐간다.
새벽을 맞이하려고 밤새우다가 정작 새벽을 놓친 일이 허다하다.
우선 한 달간은 밤 11시 취침을 목표로 한다.
* 알람을 끄고 깨어 침대에서 눈만 뜨고 이런저런 생각하는 나의 모습을 발견할 것이다.
요즘 한겨울의 아침을 맞는 나의 모습이다.
알람소리를 듣고 바로 침대에서 일어나 세수를 한 후 책상에 앉는 것을 습관화하려고 노력할 것이다.
그 모습 속에서 스스로 작은 성취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5. 목표를 달성했을 때 내 삶에서 일어날 긍정적인 변화 묘사
* 새벽 깨어있기의 오랜 소망을 이루었으니, 뭔가 이루어 낼 것이다.
* 새벽이 주는 기쁨을 매일 만끽하며 살아있음을 감사할 것이다.
6. 목표를 달성했을 때 나에게 줄 보상
* 바비킴 콘서트 가기(그때쯤 했으면 좋겠다)
* 설악산 or 지리산 가기

빨리 인터넷 해결을 해야겠다. 여러분한테 폐를 끼치는 듯...
어제 밤에는 해야할 일이 많아 새벽늦게까지 잠을 못자고 있었다.
3시 넘어 자려고 하니, 5시전에 못일어날 것 같아 그냥 안자고 새벽을 맞이...
문자출석하고 나서, 바로 잠이 들었고 7시 넘어 일어남...
그냥 일찍 자고 새벽에 일어나서 하면
더 집중도 잘되고 좋은데, 알면서 유혹(?)을 뿌리치지 못했다...
다시 옛날로 돌아가면 안되는데...
지금까지 힘써서 새벽기상의 습관을 들이려고 노력했는데, 물거품인가.
다시 이전의 생활로 돌아가는 것 아닌가 하는 불안한 생각이 잠깐동안 스쳤다.
그러나 다시 힘을 내어 보기로 한다! 아자!
앞으로 새벽수련은 전공 책 깊이있게 읽기~
계속 조금씩 발 내딛기...

요즘 새벽기상과 새벽수련활동이 쉽지 않다.
잠을 많이 자고 쉬는 데도, 계속 피곤하다.
입병이 나고 특히 혓바늘이 7개씩 나서
모든 신경이 거기로 쏠려있다.
몸의 면역력이 많이 떨어졌다고 한다...
이번 겨울은 혼자 독립한 첫 겨울나기여서 그런지 자주 아팠다.
그동안 부모님의 그늘이 컸던 모양이다.
근데, 어쩌랴! 이제는 그렇게 살아내야 하는게 나의 현실인걸.
오전에 서호천을 산책하면서 주변의 나무와 시냇물소리, 오리들의 노니는 모습 등의
자연풍경이 꿀꿀하고 쓸쓸했던 마음을 위로한다.
나에게 자연은 언제나 치유의 풍경으로 다가온다.

오랜만에 단군일지를 쓴다.
사실, 단군일지가 언젠가부터 활동에 대한 얘기보단
쓰다보면 일기장에나 써야할 것들이 조금씩 나와, 나도 모르게 부담으로 다가오기도 했다.
앞으로는 후회, 자기반성, 이런 거 말고 새벽수련활동에 대한 내용과 느낌에 초점을 맞춰 써나가야지...
새벽수련활동에 대해 좀더 고민과 탐색이 필요할 듯하다.
처음에 계획한 대로, 책읽기와 글쓰기 등 하다가 중간에 손을 놓게 된 이유에 대해
나름 분석해 보았다.
우선, 책읽기. 책 선정이 잘못되었다. 너무 어렵고 지루했다. 올해 고전 책읽기에 대한 목표를 세워
연초에 몇권을 사두어 그것을 읽었는데, 역시... 또한 밑줄친 부분 옮겨적기를 워드로 작성안하고,
독서노트에 손으로 옮겨 적었다. 시간이 너무 많이 걸려 새벽활동 시간이 훌쩍 지나가 버렸고 능률도 안올랐다.
그리고, 글쓰기. 아침에 일어나서 떠오르는 대로 글을 쓰는데, 이것도 새로 산 다이어리에 손으로 써 내려갔다.
이것 역시 시간이 많이 걸려 시간을 초과하기 일쑤였다. 손이 머리를 못 따라가고 있었다. ㅜ.ㅜ
그러다 보니, 흥이 안나고 지루하기 시작했던 것 같다.
사실 내가 노트북에 작성 안한 것은 이유가 있다. 작년인가 아니 재작년인가 노트북 하드가 나가
자료 전부를 날려 보낸 적이 있다. 혹시나 해서 중요한 것은 D 드라이브에 옮겨놓았는데, 그것마저...
몇 년간의 정말 중요한 자료들과 추억들이 고스란히 사라져 버렸다. ㅜ.ㅜ
하드 복구는 안했다. 비싸기도 했지만, 그냥 새로이 시작하고 싶은 맘도 있어서...
(그리고 요즘은 USB 마저 안 읽혀 고생중이기도 하다...)
내가 기계랑은 별로 안친하지만, 안 친하게 만드는 부분도 기계가 어느 정도 제공하고 있다!
아무튼, 그렇게해서, 난 그냥 아나로그 방식으로 하고자 맘을 먹었는데,
이제 너무 키보드에 익숙해져서 인지, 내가 못 따라가고 있는 듯하다...
다시 한번 새벽수련활동에 대한 탐색과 함께 생활에 대한 틀을 다시 짜보려고 한다.
내가 고민하며 생각하고 지켜왔던 삶에 대한 가치와 의미, 그리고 현재의 나의 모습.
앞으로의 나의 삶의 방향 등을...
요즘 내가 가장 많이 하는 생각은, 공부해야 할 것들이 너무 많다는 사실!
전공과 관련해서 그렇구, 삶의 부분에서도.
우선 책을 많이 읽는 것이 최선일 것 같다. 그 속에서 내면의 성숙도 함께 이루어 나가길 바라며...
조금 전에, "고 이태석신부님의 울지마 톤즈" 동영상을 보았다...
그분의 숭고한 삶에 머리숙여 경의를 표하고 싶었고, 그분을 위해 기도했다...
오늘 새벽수련활동 : 묵상과 책읽기(새벽에너지)

새벽수련활동 : 묵상과 책읽기(자전거 못타는 아이), 산책
"자전거 못타는 아이" 를 읽었다. 장 자크 상뻬의 그림이 우선 마음을 끈다.
30분이면 읽는 책이었지만 많은 것을 시사해주는 책이다.
자신의 약점을 인정하지 못하고 남을 의식하면서 평생을 사는 라울 따뷔랭.
우리가 살면서 무엇이 중요한가를 생각해 보게 한다.
상뻬의 그림을 보니 소질이 없어 포기했던 아니 나중에 배우리라 미뤄놓았던
그림을 다시 배우고 싶어졌다.
어느 정도 밖이 밝아지자 산책하러 나갔다.
서호공원의 호수에는 안개가 짙게 깔려 있어 길이 잘 안보였지만
나름대로 좋았다.
근데, 집에서 좀 멀다. 왕복 1시간 20분 정도 걸렸다.
매일 아침에 가기에는 시간이 많이 걸려 좀 생각해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