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연구원의

변화경영연구소의

  • 승완
  • 조회 수 3446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2년 11월 4일 23시 31분 등록

* 본 칼럼은 변화경영연구소 1기 연구원 오병곤 님의 글입니다

 

멀어져 가는 저 뒷 모습을 바라보면서

난 아직도 이순간을 이별이라 하지 않겠네

달콤했었지 그 수많았던 추억 속에서

흠뻑 젖은 두 마음을 우린 어떻게 잊을까

아 다시 올 거야 너는 외로움을 견딜 수 없어

아 나의 곁으로 다시 돌아 올 거야

그러나 그 시절에 나를 또 만나서 사랑 할 수 있을까

흐르는 그 세월에 나는 또 얼마나 많은 눈물을 흘리려나

 

달콤했었지 그 수많았던 추억 속에서

흠뻑 젖은 두 마음을 우린 어떻게 잊을까

아 다시 올 거야 너는 외로움을 견딜 수 없어

아 나의 곁으로 다시 돌아 올 거야

그러나 그 시절에 나를 또 만나서 사랑 할 수 있을까

흐르는 그 세월에 나는 또 얼마나 많은 눈물을 흘리려나

 

그러나 그 시절에 나를 또 만나서 사랑 할 수 있을까

흐르는 그 세월에 나는 또 얼마나 많은 눈물을 흘리려나

 

 

[음악 듣기]

http://www.youtube.com/watch?v=Gyf08anHyLY&feature=player_detailpage

 

 

그 해 6월의 TMO(군용열차)는 쉰 냄새로 진동했다. 대학을 졸업하고 전방에 배치되었을 때 내 마음은 불안을 넘은 공포에 가까운 것이었다. 서너 살 어린 고참들에게 당한 수모는 그래도 견딜 만했지만 어디 하나 의지할 곳 없이 정처 없이 떠도는 내 마음을 붙잡을 수 없다는 게 서글픈 시절이었다.

 

그러던 어느 날 키가 작고 피부가 까무잡잡한 고참과 외곽 보초를 나갔다. 말 수가 없었지만 똑 부러진 성격이었다. 무료한 두 시간을 견디기 위해 그는 내게 애인 유무를 포함한 신상정보를 한참 동안 신문했다. 밑천이 떨어지자 그는 이 노래를 읇조리기 시작했다. ‘아 다시 올 거야 너는 외로움을 견딜 수 없어. 아 나의 곁으로 다시 돌아 올 거야.’ 별이 우리 가르마 사이로 간절하게 떨어졌다.

 

그 후에도 고참의 이 노래를 무수히 들었다. 별다방 미스 리와 쌍화차를 마시면서도, 샤워장에서도, 화장실에서도, 행군 길에서도 주구장창 불렀다. 심지어 잠꼬대도 이 노래로 대신했다. 가끔씩 커다란 눈망울이 촉촉해졌다. 그 노래의 횟수만큼 그와의 나의 전우애(?)는 깊어갔다. 나는 이 노래에 얽힌 사연을 묻지 않았지만 능히 짐작할 수 있었다. 이별을 통보한 애인의 뒷 모습을 보면서 이 노래가 영문 없이 떠올랐다고 한다. 그렇다. 멀어져 가는 뒤태는 원래 슬픈 법이다.

 

‘그러나 그 시절에 나를 또 만나서 사랑 할 수 있을까? 흐르는 그 세월에 나는 또 얼마나 많은 눈물을 흘리려나’ 이 구절을 부를 때 나는 만해 한용운의 시 구절이 스쳐 지나갔다. ‘아아 님은 갔지마는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하였습니다. 제 곡조를 못 이기는 사랑의 노래는 님의 침묵을 휩싸고 돕니다.’ 그녀는 떠났지만 다시 만나고 싶은 간절함이 사무친다. 그러나 그녀는 부재하고 눈물과 노래가 그 빈 자리를 대신할 뿐이다. 젊은 날, 헤어짐의 슬픔을 눈물과 노래로 위로하는 그 마음이 짠하여 이 노래가 아직도 마음을 울리는 가보다.

 

삶은 이별과 만남의 연속이다. 만남의 기쁨도 이별의 슬픔도 긴 인생의 한 순간이지만 그 여운은 두고두고 남는다. 이별을 대하는 마음은 분노와 체념에서 머무르기 쉽다. 이별을 넘어서 아름다운 추억으로 새길 수 있다면, 다시 새로운 현실의 출발로 인식할 수 있다면 그 이별도 빛나리라. 이별을 아름답게 잘 할 줄 알아야 다시 아름답게 만날 수 있다. 이별도 능력이다.

 

이 노래는 015B, 이은미, 화요비, 아이유 등 많은 가수가 부를 정도로 리메이크의 단골곡이지만 오리지널은 댄스가수 나미다. 나미의 허스키하면서도 애절한 보이스가 압권이다.

 

- 오병곤, kksobg@naver.com

 

 

IP *.34.180.245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6 고향을 잃어버린 사람들의 눈물 진철 2015.01.02 3688
195 정예서/ ‘묵이식지(默而識之)' 효우 2015.03.18 3704
194 '굿바이 게으름'과 '여관' (by 정재엽) 경빈 2012.10.09 3708
193 인생, 그 서글픈 미학- 오스카 와일드 (정재엽) [1] 경빈 2012.07.10 3716
192 내가 누구인지 말할 수 있는 자는 누구인가 (by 박상현) 은주 2012.11.10 3723
191 먼 길 (by 이선이) 승완 2012.05.07 3725
190 겁나는 반성문(by 김연주) 은주 2012.10.21 3725
189 뼈가 많아야 진국이다 옹박 2013.01.21 3725
188 상(喪) (by 박소정) 경빈 2012.09.25 3731
187 주말부부 (by 김미영) 승완 2012.07.30 3735
186 꽃보다 아름다워질 사람들에게 - 이희석 file [4] [1] 옹박 2012.03.28 3739
185 교황 비밀투표 콘클라베 - 로베르토 파치, <콘클라베> file 뫼르소 2013.03.12 3740
184 당신의 하늘에는 몇 개의 달이 떠 있습니까? - 무라카미 ... file [4] 정재엽 2013.06.25 3744
183 과거로의 외출 - 이은남 옹박 2012.02.29 3746
182 모자란 당신에게 캠벨이 로이스 2012.01.26 3754
181 [뮤직 라이프] 그림자 (by 오병곤) 승완 2012.11.25 3755
180 [뮤직라이프] 회상의 힘 [4] 승완 2012.01.30 3763
179 보험 컨설턴트를 위한 변명 (by 박중환) [1] 최코치 2012.07.11 3772
178 고마워요 내 사랑 (by 김미영) 승완 2012.12.10 3778
177 드디어 방송을 타다 - 송창용 옹박 2012.02.15 37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