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승완
- 조회 수 3838
- 댓글 수 0
- 추천 수 0
* 본 칼럼은 변화경영연구소 1기 연구원 오병곤 님의 글입니다
멀어져 가는 저 뒷 모습을 바라보면서
난 아직도 이순간을 이별이라 하지 않겠네
달콤했었지 그 수많았던 추억 속에서
흠뻑 젖은 두 마음을 우린 어떻게 잊을까
아 다시 올 거야 너는 외로움을 견딜 수 없어
아 나의 곁으로 다시 돌아 올 거야
그러나 그 시절에 나를 또 만나서 사랑 할 수 있을까
흐르는 그 세월에 나는 또 얼마나 많은 눈물을 흘리려나
달콤했었지 그 수많았던 추억 속에서
흠뻑 젖은 두 마음을 우린 어떻게 잊을까
아 다시 올 거야 너는 외로움을 견딜 수 없어
아 나의 곁으로 다시 돌아 올 거야
그러나 그 시절에 나를 또 만나서 사랑 할 수 있을까
흐르는 그 세월에 나는 또 얼마나 많은 눈물을 흘리려나
그러나 그 시절에 나를 또 만나서 사랑 할 수 있을까
흐르는 그 세월에 나는 또 얼마나 많은 눈물을 흘리려나
[음악 듣기]
http://www.youtube.com/watch?v=Gyf08anHyLY&feature=player_detailpage
그 해 6월의 TMO(군용열차)는 쉰 냄새로 진동했다. 대학을 졸업하고 전방에 배치되었을 때 내 마음은 불안을 넘은 공포에 가까운 것이었다. 서너 살 어린 고참들에게 당한 수모는 그래도 견딜 만했지만 어디 하나 의지할 곳 없이 정처 없이 떠도는 내 마음을 붙잡을 수 없다는 게 서글픈 시절이었다.
그러던 어느 날 키가 작고 피부가 까무잡잡한 고참과 외곽 보초를 나갔다. 말 수가 없었지만 똑 부러진 성격이었다. 무료한 두 시간을 견디기 위해 그는 내게 애인 유무를 포함한 신상정보를 한참 동안 신문했다. 밑천이 떨어지자 그는 이 노래를 읇조리기 시작했다. ‘아 다시 올 거야 너는 외로움을 견딜 수 없어. 아 나의 곁으로 다시 돌아 올 거야.’ 별이 우리 가르마 사이로 간절하게 떨어졌다.
그 후에도 고참의 이 노래를 무수히 들었다. 별다방 미스 리와 쌍화차를 마시면서도, 샤워장에서도, 화장실에서도, 행군 길에서도 주구장창 불렀다. 심지어 잠꼬대도 이 노래로 대신했다. 가끔씩 커다란 눈망울이 촉촉해졌다. 그 노래의 횟수만큼 그와의 나의 전우애(?)는 깊어갔다. 나는 이 노래에 얽힌 사연을 묻지 않았지만 능히 짐작할 수 있었다. 이별을 통보한 애인의 뒷 모습을 보면서 이 노래가 영문 없이 떠올랐다고 한다. 그렇다. 멀어져 가는 뒤태는 원래 슬픈 법이다.
‘그러나 그 시절에 나를 또 만나서 사랑 할 수 있을까? 흐르는 그 세월에 나는 또 얼마나 많은 눈물을 흘리려나’ 이 구절을 부를 때 나는 만해 한용운의 시 구절이 스쳐 지나갔다. ‘아아 님은 갔지마는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하였습니다. 제 곡조를 못 이기는 사랑의 노래는 님의 침묵을 휩싸고 돕니다.’ 그녀는 떠났지만 다시 만나고 싶은 간절함이 사무친다. 그러나 그녀는 부재하고 눈물과 노래가 그 빈 자리를 대신할 뿐이다. 젊은 날, 헤어짐의 슬픔을 눈물과 노래로 위로하는 그 마음이 짠하여 이 노래가 아직도 마음을 울리는 가보다.
삶은 이별과 만남의 연속이다. 만남의 기쁨도 이별의 슬픔도 긴 인생의
한 순간이지만 그 여운은 두고두고 남는다. 이별을 대하는 마음은 분노와 체념에서 머무르기 쉽다. 이별을 넘어서 아름다운 추억으로 새길 수 있다면, 다시 새로운
현실의 출발로 인식할 수 있다면 그 이별도 빛나리라. 이별을 아름답게 잘 할 줄 알아야 다시 아름답게
만날 수 있다. 이별도 능력이다.
이 노래는 015B, 이은미, 화요비, 아이유 등 많은 가수가 부를 정도로 리메이크의 단골곡이지만 오리지널은 댄스가수 나미다. 나미의 허스키하면서도 애절한 보이스가 압권이다.
- 오병곤, kksobg@naver.com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96 | 이 에미는 니가 숫제 미서워 (by 김미영) | 승완 | 2012.11.18 | 4380 |
195 | 모순... 그래서 사랑_한정화 | 옹박 | 2012.11.14 | 5316 |
194 | My Start (박소정, 2006년 5월) | 경빈 | 2012.11.13 | 3510 |
193 | 철딱 선이가 (by 이선이) [1] | 승완 | 2012.11.12 | 4475 |
192 | 내가 누구인지 말할 수 있는 자는 누구인가 (by 박상현) | 은주 | 2012.11.10 | 4086 |
191 | 내 속의 두 모습 (by 장성우) | 희산 | 2012.11.09 | 3819 |
190 | 단계5의 리더 찾기 (짐콜린스 다시읽기 中에서) | 경빈 | 2012.11.06 | 5492 |
» | [뮤직 라이프] 슬픈 인연 (by 오병곤) | 승완 | 2012.11.04 | 3838 |
188 | 거위의 꿈_최영훈 [1] | 옹박 | 2012.10.31 | 3899 |
187 | 두 시간 (by한명석) | 경빈 | 2012.10.30 | 3217 |
186 | 죽음 (by 김미영) | 승완 | 2012.10.29 | 3396 |
185 | 장미밭에서 춤 추기 (by 좌경숙) | 희산 | 2012.10.26 | 3925 |
184 | 끝의 시작_김도윤 | 옹박 | 2012.10.24 | 3900 |
183 | 공동체 (도명수) | 경빈 | 2012.10.23 | 3653 |
182 | 별 (by 이선이) | 승완 | 2012.10.21 | 3610 |
181 | 겁나는 반성문(by 김연주) | 은주 | 2012.10.21 | 4137 |
180 | 사표대신 출사표를 던져라 (by 오병곤) | 승완 | 2012.10.15 | 4417 |
179 | 만경강 백리길 (by 신진철) | 은주 | 2012.10.15 | 3726 |
178 | 가자, 태안반도로!_신종윤 | 옹박 | 2012.10.10 | 3286 |
177 | '굿바이 게으름'과 '여관' (by 정재엽) | 경빈 | 2012.10.09 | 40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