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2012년 11월 5일 09시 38분 등록

 햇볕이 내리쬐는 여름, 주말이었다. 도로에는 수 많은 차들이 줄지어 서 있다. 놀러 가는 차들로 도로가 꽉 막혀있다. 소년은 아빠와 함께 고향으로 내려가고 있었다. 차 앞에는 똥차 한대가 서 있다. 초록색 탱크에 푸른색 호스가 칭칭 감겨져 있는 똥차였다. 똥차에 묻어 있던 냄새들이 차 안으로 들어오자, 아빠는 모든 창문을 닫았다. 그래도 조금씩 냄새가 스며들어 왔다. 옆 차선으로 옮기려 해도 차 간격이 좁았다.

 

 '하필이면 똥차야.'


 
아빠는 혼잣말로 중얼거렸다. 조금씩 차가 움직이자, 아빠는 좌측 방향 등을 켜고 차선을 옮겼다. 똥차 옆으로 천천히 지나가면서, 소년은 똥차 아저씨를 볼 수 있었다. 아저씨는 창문을 모두 열어 놓았다. 똥차 안으로 햇살이 쏟아졌다. 예상했던 것보다 얼굴은 하얗고 운전대를 잡고 있는 손은 거칠지 않았다. 힘든 일을 하는 사람처럼 느껴지지 않고 그냥 평범한 모습이었다. 그리고 여유가 있어 보였다. 아빠 차 뒤로 다른 차들도 줄지어 똥차를 피해 좌측으로 방향을 돌리고 있었다. 소년은 아빠의 얼굴을 쳐다보면서 웃음을 지었다.

 

 어른들은 똥 냄새를 싫어한다. 자신들이 싸는 똥 냄새는 어떻게 생각할까?

 

 

 

 소년과 아빠는 신호등 앞에서 손을 잡고 서 있다. 어디선가 여자의 향기가 바람에 실려왔다. 두 남자는 똑같은 방향으로 고개를 돌렸다. 하이힐에 미니 스커트를 입은 여자가 걸어오고 있었다.  그녀는 소년 옆에 멈춰 섰다. 그리고는 함께 신호를 기다렸다. 그녀의 진한 향수가 바람에 다시 묻어 왔다. 소년은 얼굴을 찌푸리면서 말했다.

 

 "아빠, 똥냄새 나"

 

 갑작스런 소년의 말에 아빠는 당황해서 신호가 바뀌지 않았는데 건너려 했다. 큰일날 뻔 했다. 그녀는 똥 씹은 표정으로 소년과 아빠를 쳐다보았고 신호가 바뀌자, 빠른 걸음으로 도망치듯 건너갔다. 아빠는 소년을 몇 번이나 쳐다보면서 무슨 말을 하려고 것 같았다. 하지만, 그녀가 멀리 사라지자, 큰 소리로 웃으셨다.  

 

  아이들은 향수 냄새를 싫어한다. 향수는 똥 냄새를 지우기 위해서 만들어졌다고 하는데, 과연 어른들은 자신들의 마음을 향수로 가릴 수 있을까? 

 

 

 

 소년은 꿈에서 똥을 보았다. 아빠는 말했다.

 "똥을 밟았니? 아니면 똥물을 뒤집어 쓴 거니? 몸에 똥칠을 해야 좋은 일이 생기는데 말이야"

 그냥 지나가는데 똥을 본 거라고 말하자, 아빠는 아쉬운 표정을 지었다. 그리고 다음 번에 다시 꿈에서 똥을 보면, 꼭 밟거나 만져보라고 말한다.

 

 현실에서 불쾌한 똥을 꿈 속에서 만나면 왜 좋은 일이 생길까? 음식물이 몸 속에 들어가면 분해되면서 똥으로 축적되듯이 인간이 생각하고 느끼는 기운(氣運)들도 함께 쌓인다. 어쩌면 만물의 정기(精氣), 또는 인간이 간절히 바라는 꿈이 함께 묻어있기 때문이 아닐까? 행복한 사람일수록 몸 속의 기운이 맑아지고 나오는 똥도 즐겁다.

 

 

 

 우주에는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 외에도 지구와 비슷한 수 많은 행성이 있다. 은하계에서는 4천억 개의 별이 있다고 한다. 그래서, 우주에서 인간만이 유일한 생명체라고는 믿기 힘들다. 분명 다른 생명체들이 인간의 모습을 지켜보고 있다. 어쩌면 지금 우리 가까이에서 살아가고 있을지도 모른다. 만약 다른 행성에서 온 생명체들이 지구에서 인간들에게 들키지 않고 살아간다면 무슨 일을 하고 있을까?

 

 먼저 인간들의 가까이 하기 싫은 일을 선택할 것이다. 더럽고 냄새 나는 일이라면 인간들은 얼씬도 하지 않는다. 우연히 마주치더라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인간들이 알아서 먼저 피해주기 때문이다. 마음 놓고 인간들의 세상을 활보할 수 있는 직업은 바로 똥 푸는 일이다. 이렇게 먼 우주에서 지구를 찾아온 생명체는 똥을 푸면서 똥차를 타고 다닌다. 그 아저씨의 이름은 뿌꼬다뿌꼬아저씨는 지구의 인간들이 가장 귀하게 여기는 보물을 찾아 다닌다. 뿌꼬아저씨의 정체를 알아본 어느 소년과 함께 말이다.

IP *.246.77.36

프로필 이미지
2012.11.05 14:42:55 *.196.23.76

우와~!~! 시작 됐다.

<<뿌꼬아저씨와 어느 한 소년>>

 

그나저나 향수 냄새 맡고 "아빠 똥냄새나"한 건 정말 웃기네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승욱오빠 글에서 왠지 모르겠는 '신비'를 느낌. 뭔가 궁금해요.

어떻게 풀어나갈지.

 

뿌꼬 아저씨가 탄생한 것에 박수를 보내요!!

프로필 이미지
2012.11.06 08:25:53 *.35.158.67

다행이다. 도입부에서 독자들에게 재미있고, 신비한 느낌을

주고 싶었는데 말이야. 

세린이 응원에 힘난다. 이번 주인공은 그가 가고 싶은 데로

놓아주고 싶어, 나는 뒷자석에 앉아 그가 보는 세상을

글로 옮기는 역활만 하고 싶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92 러셀의 무대 공포증 file [2] 샐리올리브 2012.10.29 3697
1991 시칠리아 미칠리아 8.황야를 떠도는 승냥이 [2] 레몬 2012.10.29 2516
1990 그녀, 인간의 산 [4] 장재용 2012.10.29 2218
1989 쌀과자#26_내려가는 길 [2] 서연 2012.10.29 2257
1988 예비 독자들의 속마음 - '세린쌤을 도와줘!' 프로젝트 1 [2] 세린 2012.10.29 2308
1987 40에 숲으로 가자 [4] 콩두 2012.10.29 2905
1986 마지막회. 시칠리아 미칠리아 _ 더 보스 [3] 레몬 2012.11.05 2323
» 수상한 뿌꼬 아저씨 #1 [2] [1] 한젤리타 2012.11.05 2472
1984 중년여성이 다산으로부터 배워야 할 것들 [2] id: 깔리여신 2012.11.05 3262
1983 21세기 샐리올리브 끌림의 법칙 file [7] [1] 샐리올리브 2012.11.05 2417
1982 쌀과자#27_경제기사 읽는 코드 [5] 서연 2012.11.05 2169
1981 ‘지금 여기’ 에 기초 해야 한다. [3] 학이시습 2012.11.05 2537
1980 나의 오지 (prologue) [3] [1] 장재용 2012.11.05 2199
1979 쌍둥이는 합동일까? 닮음일까? file [4] [1] 세린 2012.11.05 4041
1978 사람이 날아다니고 물이 거꾸로 흐르는 곳 [3] 콩두 2012.11.05 3826
1977 꿈쟁이 뿌꼬 - 서문 [2] 한젤리타 2012.11.07 2709
1976 꿈쟁이 뿌꼬 - 꼭지글 [1] 한젤리타 2012.11.08 2601
1975 11월 OFF 수업 과제 (서문, 꼭지글 포함) 장재용 2012.11.09 2205
1974 11월 오프 수업 과제 서문과 대표 꼭지글 file [1] 세린 2012.11.09 6720
1973 11월과제 서문과 꼭지글 서연 2012.11.09 23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