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변화경영연구소-김용규
- 조회 수 5660
- 댓글 수 0
- 추천 수 0
나무이고 싶은 욕심
지구상에는 50여만 종의 식물이 산다고 하죠? 그들 중 몇 가지 이름 만을 아는 저의 무식함은 그들을 그저 크게 나무와 풀 두 종류로 구분해서 인식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최근에는 '나무와 풀은 제대로 구별할 줄 아는가' 하는 회의가 들어 그 구별법이 궁금해졌습니다. 찾아 보니 전문가들은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 있군요.
“우선 나무의 조건은 이렇다. 뿌리에서 잎까지 양분과 수분을 운반할 수 있을 전문적인 기관, 즉 관다발이라는 조직을 적어도 수십 년 동안 가지고 있어야 한다. 관다발은 껍질 바로 아래에 있는 부름켜를 기준하여 바깥으로 체부, 안쪽으로 목부를 만들어내면서 평생 동안 지름을 키워간다. 아울러서 적어도 몇 년에서 길게는 몇 천 년까지 오랫동안 살아 있어야 한다.
풀은 관다발은 있지만 부름켜가 없어서 지름을 키우지 못하고 봄에 싹이 나와 가을이면 꽃피우고 열매 맺은 다음, 대부분 그 해에 죽어버리는 식물을 말한다. 종류에 따라서는 땅속에 뿌리를 두고 해마다 다시 싹이 나오는 풀도 있다. 대부분 1년 단위, 적어도 몇 년이라는 일정기간을 두고 죽어버리는 식물은 모두 풀이다.
간단히 말하여 겨울에도 땅위의 줄기가 살아 있는 식물은 나무이고, 겨울에 줄기가 죽어버리면 풀이라고 알아두면 크게 틀리지 않는다.”(@ 우리숲)
식물도 우주의 섭리대로 주어진 일생을 살 테고, 그러니 소중하지 않은 풀 한 포기, 나무 한 그루 없겠다 싶으면서도 문득 ‘이왕이면 나는 풀보다는 나무를 닮은 인간으로 살고 싶다’ 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짧은 시간 에너지를 모아 싹 틔우고 꽃 피워 열매를 맺는 일생 보다는, 더디게 굵어지고 단단해 지더라도 오래오래 깊고 푸르렀으면 좋겠다’는 생각이지요.
여기 까지 생각이 이르고 나니, 나는 참 욕심이 많은 인간이구나 생각하게 됩니다.
IP *.189.235.111
지구상에는 50여만 종의 식물이 산다고 하죠? 그들 중 몇 가지 이름 만을 아는 저의 무식함은 그들을 그저 크게 나무와 풀 두 종류로 구분해서 인식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최근에는 '나무와 풀은 제대로 구별할 줄 아는가' 하는 회의가 들어 그 구별법이 궁금해졌습니다. 찾아 보니 전문가들은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 있군요.
“우선 나무의 조건은 이렇다. 뿌리에서 잎까지 양분과 수분을 운반할 수 있을 전문적인 기관, 즉 관다발이라는 조직을 적어도 수십 년 동안 가지고 있어야 한다. 관다발은 껍질 바로 아래에 있는 부름켜를 기준하여 바깥으로 체부, 안쪽으로 목부를 만들어내면서 평생 동안 지름을 키워간다. 아울러서 적어도 몇 년에서 길게는 몇 천 년까지 오랫동안 살아 있어야 한다.
풀은 관다발은 있지만 부름켜가 없어서 지름을 키우지 못하고 봄에 싹이 나와 가을이면 꽃피우고 열매 맺은 다음, 대부분 그 해에 죽어버리는 식물을 말한다. 종류에 따라서는 땅속에 뿌리를 두고 해마다 다시 싹이 나오는 풀도 있다. 대부분 1년 단위, 적어도 몇 년이라는 일정기간을 두고 죽어버리는 식물은 모두 풀이다.
간단히 말하여 겨울에도 땅위의 줄기가 살아 있는 식물은 나무이고, 겨울에 줄기가 죽어버리면 풀이라고 알아두면 크게 틀리지 않는다.”(@ 우리숲)
식물도 우주의 섭리대로 주어진 일생을 살 테고, 그러니 소중하지 않은 풀 한 포기, 나무 한 그루 없겠다 싶으면서도 문득 ‘이왕이면 나는 풀보다는 나무를 닮은 인간으로 살고 싶다’ 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짧은 시간 에너지를 모아 싹 틔우고 꽃 피워 열매를 맺는 일생 보다는, 더디게 굵어지고 단단해 지더라도 오래오래 깊고 푸르렀으면 좋겠다’는 생각이지요.
여기 까지 생각이 이르고 나니, 나는 참 욕심이 많은 인간이구나 생각하게 됩니다.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4377 | 삶의 여정: 호빗과 함께 돌아본 한 해 [1] | 어니언 | 2024.12.26 | 337 |
4376 | [수요편지] 능력의 범위 | 불씨 | 2025.01.08 | 403 |
4375 | [수요편지] 삶과 죽음, 그 사이 [1] | 불씨 | 2025.02.19 | 407 |
4374 | [수요편지] 발심 [2] | 불씨 | 2024.12.18 | 432 |
4373 | 엄마, 자신, 균형 [1] | 어니언 | 2024.12.05 | 453 |
4372 | [목요편지] 별이 가득한 축복의 밤 [3] | 어니언 | 2024.12.19 | 503 |
4371 | [목요편지] 육아의 쓸모 [2] | 어니언 | 2024.10.24 | 567 |
4370 | [수요편지] 언성 히어로 | 불씨 | 2024.10.30 | 664 |
4369 | [목요편지] 두 개의 시선 [1] | 어니언 | 2024.09.05 | 675 |
4368 | [수요편지] 내려놓아야 할 것들 [1] | 불씨 | 2024.10.23 | 692 |
4367 | [내 삶의 단어장] 크리스마스 씰,을 살 수 있나요? [1] | 에움길~ | 2024.08.20 | 696 |
4366 | 가족이 된다는 것 | 어니언 | 2024.10.31 | 698 |
4365 | [수요편지] 타르 한 통에 들어간 꿀 한 숟가락 | 불씨 | 2024.09.11 | 705 |
4364 | [수요편지] 다른 의견을 가질 권리 [1] | 불씨 | 2024.08.28 | 709 |
4363 | 관계라는 불씨 [2] | 어니언 | 2024.12.12 | 716 |
4362 | [수요편지] 레거시의 이유, 뉴페이스의 이유 | 불씨 | 2024.10.02 | 717 |
4361 | [목요편지] 장막을 들춰보면 | 어니언 | 2024.08.22 | 730 |
4360 | [수요편지] 문제의 정의 [1] | 불씨 | 2024.08.21 | 737 |
4359 | 며느리 개구리도 행복한 명절 | 어니언 | 2024.09.12 | 744 |
4358 | [수요편지] 마음의 뺄셈 | 불씨 | 2024.10.16 | 7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