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2012년 11월 26일 08시 03분 등록

진정한 자아의 발견(오상아(吾喪我))

 

이 용어는 장자가 한 말인데, 의미는내가 나를 장사 지낸다면 나를 죽임을 청하는 것과

같다고 생각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자살 하라는 말이 아니라, 오히려 황홀한 삶을

누리라는 말이다. 자신을 죽인 이후에야 비로소 다른 사람을 받아드리고 더 큰 뜻을 이룰 수

있다는 의미 이기도 하다. 성경에서도한 알의 밀알이 땅에 떨어져 죽지 아니하면 한 알 그대로

이지만, 떨어져 죽으면 열배, 삼십배, 백배의 결실을 이룬다고 기록하고 있다.

큰 나무 일수록 새들이 와서 둥지를 틀고 사는 법이다.

 

김구 선생도 어려서는 결단력이 약하고 우유부단한 성격을 지니신 분이셨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그의 스승이신

고후조(후조는 고능선의 호)선생이 그(김구 선생)의 결단력을 북돋워주기 위해 가르쳐주신 교훈 가운데,

가지 잡고 나무를 오르는 것은 기이한 일이 아니나, 벼랑에 매달려 잡은 손을 놓는 것이 가히 장부로다라는

글귀를 늘 마음에 두고 살았다고 한다.

백범 일기에치하포 사건에 관한 글에서, 국모인 명성왕후를 살해한 자, ‘미우라 고로로 보이는

일본인을 살해한 기록이 있다.

이때 김구 선생이 스스로 자문 자답할 때 위 글귀가 생각 났다고 한다.

그는 스스로 묻고 답했다.

너는 저 왜놈을 죽여서 원수를 갚는 것이 옳다고 확신하느냐?”

그렇다

너는 어릴 때부터 마음 좋은 사람이 되는게 소원이 아니었느냐?”

그렇다. 그러나 지금 원수 왜놈을 죽이려다가 실패하여 도리어 왜놈의 칼에 죽는다면 한낱 도적놈의 시체로만

세상에 남겨질 것이다

그렇다면 마음 좋은 사람이 되고자 한 너의 소원은 다 거짓이고, 사실은 몸 호강하고 이름 내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이 되려는 바람이 아니냐?”

이렇게 하여 비로소 죽을 마음을 작정하자, 그제야 마음의 바다에서 일던 바람이 자고 파도가

가라앉으면서  온갖 꾀가 꼬리를 물고 떠오른다라고 당시 상황을 소개 하고 있다.

 

성경에서 예수님과 한 율법 학자의 대화에서도 '거듭남'에 관한 내용이 소개되어있다.

예수님께서 천국에 들어가는자는 거듭나야한다고 말 하는걸 듣고, 이 학자는 이런 질문을 한다.

어떻게 사람이 다시 태어 날 수 있습니까?

어머니 자궁에 다시 들어가는 것이 가능한 일 입니까? 라고 묻는다.

예수님의 말씀은,”내가 오해 하였구나, 육으로 나는 것은 어머니 몸에서 나온 것이지만, 성령으로

거듭나는 것은 그렇지 않으니라즉 학자의 질문은 육으로 거듭남을 말하고 있는데, 예수님은

성령으로 '거듭나는 것'을 말 하고 있다. 성령으로 거듭나는 것은 '죄로 단절된 하나님과의 관계가 예수

그리스도로 인해 하나님과의 관계가 회복됨을 의미 한다.

 

개신교에서는이 거듭남의 행사로 세례’식을 거행 한다.

이것은 예전의 나는 죽고, 새로운 내가 다시 태어나는것을 의미 한다.

, 하나님과 죄로 인해 단절된 관계를, 다시 회복함을 의미 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 새로운 세계관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 세계관은 '창조- 타락 -구속 -회복'이라는 과정 안에서 자연과 세계의 질서를 바라보는 관점을 말한다.

 

엄숙한 자세로 자신의 삶을 직시하면서,  스스로를 발견하는 경험을 겪게 되면  우리의 일상에서,

일터에서 무슨 변화를 일어나게 하는 걸까?

 

얼마전 회사 내부 Manager 워크 샆을 가졌는데, 핵심 사항은 회사에서는Managerial Mind 를 가진 리더가 정말

필요 하다. 그렇면 Managerial Mind를 가진 리더은 어떤 방식으로 육성 할 수 있는것인지? 

Manager Worker 와의 의식 차이는 무엇인지? 를 놓고 피터 드러커의 생각을 듣는 시간이 있었다

피터 드러커의 지적은 Managerial Mind의 핵심은공헌력에 달려 있다.

 

공헌력’이란 조직적으로 일을 할때 갖추어야 할  올바른 태도를 전제로 하고 있다.

내가 하는 일이 나의 명성과 나 만의 성공만을 향해 초점이 맞춰져 있다면,

속 해 있는 조직에서 공헌력을 발휘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렇다면, 조직에서 ‘일에 대한 올바른 태도란 과연 어떤 자세여야 하는가?

조직은 평범한 사람들이 모여 비범한 성과를 만들어내야 하는 곳이다.

성과를 창출하는 경영은 마치 '기회' 와 '작업' 의 영원히 반복되는 계주(繼走)와 같다고 생각 한다.

1번 주자인 '기회'선수는 남보다 한 발 앞서서 2번 주자인 '작업'선수에게 바통을 제대로 넘겨주어야만 이길 수 있다.

그리고 2번 주자는 이렇게 이어받은 바통으로 끝까지 앞서서 달리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중요한 사실은 바로 이 2번 주자인 '작업'선수가 어느 순간에 새로운 1번 주자 '기회'선수로 탈바꿈한다는

사실이다. 즉 일 속에서 기회를 찾아냄으로써 그런 변신이 가능합니다.

이런 지적은 피터 드러커의 놀라운 통찰이라고 생각 합니다.

 

'기회'는 특별한 노력이나 재능을 바탕으로 따로 찾는 것이 아니라, 바로 '일'속에서 자연스럽게 찾아야 한다는

것이지요. 이렇게 '기회' 주자로 탈바꿈한 선수는 다시 새로운 '작업'주자에게 바통을 넘깁니다.

이렇듯 '기회' 와 '작업'의 중첩되는 반복이야말로 성과를 창출하는 기업의 진정한 모습이 아니까 생각 합니다.

이 모든것은 조직원 각자의 공헌력을 통해 이루워지는 것이고, 이런 조직원의 결속이 비범한 성과를 만드는 핵심

이라고 생각 한다.

  

결론적으로 장자가 말하는 오상아는 일상에서 접하는 자신의 업무에서도 적용해 보면 놀라운 일이 일어난다.

자신의 일하는 태도를 회사의 Value Chain상에서 점검해 보자.

대부분의 회사 업무가 기능 중심으로 나뉘어져 있기 때문에 스스로 완결된 성과 나 Value를 만들지 못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때문에 서로 합심해서 협력할때 비로소 성과를 내는 것이다.

 

죽음의 목전까지 가 본 사람은 세상을 달리 본다고 한다.

못쓸 병에 걸려 세상에 더 이상 미련을  갖지 못하게 되었을 때, 후회 하는 것은, 그렇게 살았지?” 라고 묻는다.

일을 대하는 직장인, 전문가 집단에서도 조금 아는 지식만 믿고 큰 소리 치고, 거만스런 행동으로 속해 있는 공동체에

()가 되는 일을 서슴지 않는 경우를 볼 때도 비슷한 생각을 하게 된다.

 

공헌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오늘의 나는 죽고, 내 안에 새로운 내가 탄생하는 경험을 하면서 살아 보자.

 

 

IP *.229.239.39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32 컬럼 24-호랑이 #1 나를 시장에 내어놓는 철학적 원칙 5가지 [13] 범해 좌경숙 2009.10.06 3326
931 사자 프로젝트 - 카페 '어라운드 더 코너' 대표 인터뷰 혜향 2010.03.14 3326
930 [재키제동이 만난 쉼즐녀 4] 홍보회사 더 니즈앤씨즈 커뮤니케이션 랩 명성옥 대표 file [12] 재키 제동 2012.07.31 3326
929 선비사숙록 [3] 희산 2010.02.01 3328
928 응애 32 - 잠그림잠그림잠그림......잘그림 file [13] 범해 좌경숙 2010.09.14 3329
927 [貴] 책을 쓰는 마음 [2] 귀한자식 2009.08.03 3336
926 [42] 들이대기 2 현웅 2009.03.06 3337
925 사자 칼럼 2 - 관계를 깊이있게 만드는 아름다운 가치 [5] 혜향 2009.10.19 3337
924 오리엔탈 펜싱 마스터5 -펜싱은 몸으로 하는 체스다 백산 2009.11.20 3338
923 [사자 2- 관계: 창조적 소수란 누구인가?] [9] 수희향 2009.10.20 3340
922 나비No.13 –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인간 이순신 [8] 유재경 2011.06.26 3342
921 [38] 참 위대한 소심 - 어린 시절 소심과 대면하다(2) [1] 양재우 2009.02.03 3343
920 < 박제가 되어 버린 천재 - 애드거 앨런 포우 > 1. file [12] [1] 정재엽 2010.04.27 3343
919 [27] 주말을 앓다. [5] 구라현정 2008.11.25 3345
918 [37] 어설픈 시작 [2] 현웅 2009.01.20 3345
917 사람이 희망이다. [2] 홍현웅 2009.07.06 3345
916 [칼럼 16] 남자는 인생으로 시를 쓰고, 여자는 그 시를 읊어준다 [7] 海瀞 오윤 2007.07.02 3348
915 [35] 헝그리정신 [2] 거암 2009.01.11 3348
914 새로운 네트워킹 조직을 생각해 보며 혁산 2009.08.03 3349
913 Wishing bell file 백산 2009.09.12 3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