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오병곤
  • 조회 수 3558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07년 3월 18일 20시 16분 등록
눈물은 인생의 한 매듭이 된다....... 남자도 때론 눈물을 흘려야 한다. 눈물이 날 정도로 인생의 매듭을 지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당신은 아직 최선을 다한 것이 아니다.
- 조운호의 "아무도 하지 않는다면 내가 한다" 중에서


존경하는 구본형 사부님이 제 인생의 첫 책인 ‘대한민국 개발자 희망보고서’에 추천사를 써주셨습니다. 추천사를 읽고 또 읽었습니다. 저를 성실한 독종이라고 치켜세워주시면서 최선을 다해 썼기 때문에 좋은 책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사부님의 애정이 듬뿍 느껴졌습니다. 눈으로 읽다가 마음으로 읽게 되었고 마침내 눈시울이 그렁그렁거렸습니다.

나에게 눈물이 나오다니…… 이미 눈물을 자극하는 뇌세포가 굳어 있으리라고 체념해 버렸건만 의외의 눈물이 너무 반갑고 푸근했습니다. 그러고 보니 내가 진짜(?) 눈물을 흘린 적이 언제이던가?

약 3년 전, 2004년 4월은 제가 군대생활 이후 펑펑 울어본 날로 기억됩니다. 그 날은 국가적으로 커다란 이슈가 있었고, 공교롭게도 회사에서 가장 친한 분이 명예 퇴직을 통보 받은 날이기도 했습니다. 또 한 분은 고생을 많이 했는데 승진에서 탈락이 결정된 날이었습니다.

그 날 저녁 나는 소주 한잔 하면서 불만과 푸념을 늘어 놓았습니다. 포장마차로 이어지는 술자리에서 마침내 설움에 복받쳐 엉엉 울음을 토해냈습니다. 솔직히 술기운 때문인지 창피함은 안중에도 없었습니다. 왜 세상은 정의와 순수를 외면하고 권모술수에 의해 움직이고 있는가? 이 해답 없는 질문은 그 당시 저에게는 가슴을 찌르는 비수와도 같았습니다. 그 날 제가 그들을 위해 해 줄 수 있는 건 울어주는 것 밖에 없었습니다.

돌이켜보면 태어나서 제가 흘렸던 눈물은 대부분 서러움과 억울함의 눈물이었던 것 같습니다. 외로워서, 분해서 흘렸던 눈물은 퇴폐적 낭만주의나 적개심으로 나타나기 일쑤입니다. 그러나 그 날의 눈물은 안타까움과 설익은 희망의 눈물이었습니다.

남자는 태어날 때, 부모님 돌아가실 때, 조국이 망할 때 세 번만 울어야 한다고 합니다. 그만큼 남자는 눈물이 헤퍼서는 안되고 눈물을 아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요즘 저는 이 말에 동의하기 어렵습니다. 위의 경우는 우리의 의지와 무관한 어쩔 수 없는 경우입니다. 내가 기꺼이 주도적으로 눈물을 흘릴 수 있다는 건 여자만이 아닌 남자의 무기가 될 수도 있습니다. 바야흐로 감성의 시대에는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솔직함과 이해심이 필수적인 덕목입니다. 상대방을 긍휼히 여기고, 배려하고, 감사하는 마음에서 자연스럽게 솟구치는 눈물은 더 이상 창피함이 아닌 상대방을 움직이는 감동입니다.

앞으로 우리가 흘릴 눈물은 서러움과 억울함에서 분출되는 것이 아닌 진실과 배려, 감동에서 용솟음치는 그것이었으면 정말 좋겠습니다. 당신의 인생을 아름답게 매듭짓는 계단마다 따뜻한 눈물이 함께 했으면 좋겠습니다.
IP *.189.235.111

프로필 이미지
한정화
2007.03.19 14:51:17 *.72.153.12
책 내신 것 축하합니다.
저도 그렇게 울어보고 싶군요.
눈물이 매듭이라니... 정말 그런 것 같습니다.
저는 눈물이 많은 편입니다. 억울해서도 울고, 슬퍼서도 울고, 그리고, 세상이 너무 아름다워도 웁니다. 너무 좋아서 울기도 하고....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136 백스물일곱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원더우먼 송년회 재키제동 2017.12.01 780
4135 [일상에 스민 문학] 통증의 미학 [6] 정재엽 2018.04.18 780
4134 <월급쟁이 짠테크 도전기>와 <펀드 & ETF 투자 도전기> [2] 차칸양 2018.07.31 780
4133 나를 찾는 방법으로써의 글쓰기 불씨 2022.02.08 780
4132 가족처방전 – 딸과 사이가 좋지 않습니다 file [1] 제산 2018.04.23 781
4131 목요편지 - 어떤 주례사 [2] 운제 2018.04.26 781
4130 [일상에 스민 문학] 초코렛 한 개의 행복 정재엽 2018.09.05 781
4129 [수요편지] 자유의 공기 방비엥 [1] 장재용 2019.06.05 781
4128 [금욜편지 99- 10년의 책읽기를 마치며] 수희향 2019.08.02 781
4127 쓸모없음이 쓸모있음을 빛낸다. 옹박 2017.11.24 782
4126 시련의 빛과 그림자 [1] 어니언 2022.01.13 782
4125 [월요편지 91] 뒤로 미루려는 아이에게 필요한 시간 관리 습관 [1] 습관의 완성 2022.01.23 782
4124 백스물여덟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2017 10대 뉴스 재키제동 2017.12.09 783
4123 [일상에 스민 문학] - 2018 이상문학상 대상작 정재엽 2018.06.20 783
4122 [수요편지] 스승은 어디 있는가 장재용 2019.04.10 783
4121 [수요편지] 개와 같이 [1] 장재용 2019.05.08 783
4120 [변화경영연구소]#따로또같이 월요편지 106_우리집 가훈 [1] 습관의 완성 2022.05.01 783
4119 화요편지 - 함께라면 어디라도, '다음 달에는' [1] 종종 2022.05.10 783
4118 [수요편지] 자기 자신을 등불로 삼아라 [1] 불씨 2022.05.10 783
4117 [라이프충전소] 나만의 오리지널리티를 구축하는 법 2. 많이 모방할 것 [1] 김글리 2022.05.27 7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