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구본형
  • 조회 수 3024
  • 댓글 수 3
  • 추천 수 0
2007년 9월 28일 05시 44분 등록

가을 편지가 왔습니다. 초록 물감으로 직접 봉투에 그려놓은 산 그림은 비에 젖어 번진 채 편지함 속에 들어 있었습니다. 잉크로 단정히 쓴 편지는 다행히 많이 젖지 않았습니다. 추사의 시 한편이 정성스럽게 또박또박 쓰여 있었습니다. 시가 청량하여 나대로 외어 머리 속에 넣어 두었습니다.

초가을의 서늘한 기운 (初凉)

뾰죽한 봉우리에 새파란 기운 감돌고
호젓한 물은 비단결인양 흘러가누나
멀고 먼 하늘 길에 외로운 꿈 하나 지쳐나가고
울멍줄멍한 땅에 이슬 내리자
뭇 벌레가 울어 대누나

글씨는 그것을 쓴 사람의 마음을 전해줍니다. 받을 사람을 생각하고 또박또박 한 자 한 자 써 보낸 사람의 마음을 느끼게 해 줍니다. 젖먹이 아이를 돌보느라 새벽까지 잠을 설치고 이른 아침엔 맞벌이 직장인으로 출근하여 새로운 일 하나를 배우고 되돌아오면 하루가 다 지나갑니다. 다행히 그녀는 직장을 생업으로만 생각하지 않게 된 것 같습니다. 그녀가 하는 일을 무슨 전기에 관한 것인데 요즘은 변압기 차단기의 배전 판넬에 대하여 배우는 데 즐겁다 합니다. 그래서 인지 그녀는 마이클 패러데이에 대한 책을 읽고 전기에 대한 시를 쓰고 싶어 합니다.

그녀는 타고난 시인인데 자신의 시 속에 삶의 현장이 빠지는 것을 싫어합니다. 삶이 빠진 시는 ‘정신적 낭비를 누리는 자들의 여유로운 놀음’ 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하는 일이 전기관련 일이니 그 일을 배우고 그 일에 대하여 시를 쓰고 싶다는 것입니다.

결혼하고 그녀는 손에서 시를 놓지 않았습니다. 아이를 낳고는 집과 직장 모두에서 더 바빠지고 잠을 설치는 일이 더 많아 졌지만 시 또한 더 많이 쓰게 된 듯합니다. 그녀야 말로 시와 생활이 섞여 시처럼 하루를 보내는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들이 결혼할 때 내가 주례를 서 주었습니다. 매일 한 줄이라도 읽고 매일 한 줄이라도 쓰며 살게 되길 바랐는데 아프면 아픈 대로 기쁘면 기쁜 대로 시와 함께 시처럼 살고 있는 그녀를 보니 가을이 갑자기 깊어집니다. 마음속에서 어떤 힘이 솟구쳐 오르며 이렇게 외쳐댑니다.

“하루를 시처럼 소설처럼 살아라. 하고 싶은 일을 하고 새로운 일을 배워라. 알지 못한 일을 알게 된 감탄 속에서 하루를 보내라. 누군가에게 그 사람의 기쁨이 되라. 그리고 한 줄의 깨달음을 세상에 더하라” 하루야 말로 온 힘을 다해 싸워야하는 가장 치열한 격전지로군요. 여기서 지면 삶이 설 곳을 잃고 마는 교두보군요.
IP *.189.235.111

프로필 이미지
써니
2007.09.28 07:15:01 *.70.72.121
시인도 시어도 사부님에 대한 깊은 사랑과 존경심도 아, 멋지다. 가을 편지...
프로필 이미지
앨리스
2007.09.28 09:14:29 *.248.16.2
'시처럼 산다'란 말은 너무 멋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소설처럼 산다는 것은 어쩐지..복잡할 것 같은 느낌이 ^^ 전기 관련 일을 하시면서 시인을 꿈꾸는 그 분 멋진 삶을 사시는 것 같아요. 저도 다소 시적이지 않은 일을 하고 있지만 나날이 배우며 일하는 것은 또한 보람이네요.
구본형 선생님 글을 읽으며 오늘 하루도 열심히 살아야겠다 다짐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기원
2007.09.28 11:21:49 *.248.64.225
그녀의 섬세함이 보입니다. ^*^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36 [일상에 스민 문학] 우리가 빚어내는 최고의 문학은- [5] 정재엽 2018.09.12 809
4035 65세, 경제적 문제없이 잘 살고자 한다면?(5편-개인연금) file [2] 차칸양 2018.10.23 809
4034 [금욜편지 81- 낯선 내가 이끄는 삶] [4] 수희향 2019.03.22 809
4033 화요편지 -종종의 종종덕질, 나를 넘어 너에게 가기 위해 성장하는 기적 [2] 종종 2022.01.25 809
4032 돈과 시선과 관계되지 않은 자기만의 창조적인 일 [1] 어니언 2022.01.27 809
4031 [수요편지] 가을, 그리고 마흔, 나를 사랑할 적기 [1] 불씨 2022.09.06 809
4030 [수요편지] 마음의 심리학 [1] 불씨 2023.10.17 809
4029 [금욜편지 23- 첫 책 출간] file [2] 수희향 2018.02.02 810
4028 [금욜편지 62- 기질별 인생전환 로드맵- 1번 완벽주의자- 로드맵] 수희향 2018.11.09 810
4027 [자유학년제 인문독서] 30. 독서는 모든 것의 기본이다 2 제산 2019.07.15 810
4026 목요편지 - 빼앗긴 봄 [1] 운제 2020.03.06 810
4025 화요편지 - 일요일밤에 코미디를 보는 이유 [2] 종종 2022.03.08 810
4024 [목요편지] 달콤한 휴식을 위해 꼭 필요한 것 [1] 어니언 2022.07.07 810
4023 말하지 않는 대화의 기술 [3] -창- 2017.08.12 811
4022 Business Tip - 당신의 자리. 문제없나요 [3] 書元 2017.11.04 811
4021 “노을치맥” 한번 해보실래요? file [2] 차칸양 2018.07.03 811
4020 [수요편지] 불안의 짐짝들에게 장재용 2019.10.23 811
4019 Ready, Set, Go! [1] 어니언 2022.06.30 811
4018 [수요편지] 당신이 지금 보는 색깔은 어떤 색인가요? [1] 불씨 2022.07.12 811
4017 백열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2기 나비들에게 [2] 재키제동 2017.07.14 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