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문요한
  • 조회 수 5290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08년 9월 16일 13시 53분 등록




‘새는 알에서 나오려고 투쟁한다. 알은 세계이다.
태어나려는 자는 하나의 세계를 깨뜨리지 않으면 안 된다.’


-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 중에서 -

-------------------------------------------------



껍질에서 벗어나야만 생명은 시작합니다. 씨앗이 껍질을 벗지 않으면, 동물이 알에서 깨어나지 못하면 그것은 죽음을 의미합니다. 생명은 껍질을 벗음으로 시작합니다. 하지만 생명은 새로운 껍질을 입지 않으면 살아갈 수 없습니다. 껍질이 없거나 약하다면 생명체는 바스러지고, 체온이나 수분을 조절할 수 없을뿐더러, 천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도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껍질이 굳어지면 다시 성장의 장애물이 됩니다. 껍질은 속살보다 질기고 단단해지기에 내부의 성장을 억누르게 됩니다. 그렇기에 많은 생명체들은 껍질을 벗고 또 벗는 변태와 탈피를 거듭하며 자라납니다. 사람도 몸을 감싸주는 피부는 물론, 마음을 감싸는 단단한 틀이 있기에 상처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마음의 틀 역시 결국 성장을 가로막는 족쇄가 되고 맙니다.


껍질을 벗으면 맨살을 드러내는 고통과 불편이 따릅니다. 특히 자신을 잘 보호해주는 껍질을 벗는다는 것은 그 필요조차 느끼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마음의 껍질벗기가 없는 한 삶은 성장할 수 없을 뿐더러 서서히 죽어가게 됩니다. 벗지 않으면 클 수도, 존재할 수도 없는 것이 생명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껍질은 삶의 형식이 아닌 본질이며 껍질벗기는 생명활동의 에센스입니다.



- 2008. 9. 16 週 2회 '당신의 삶을 깨우는' 문요한의 Energy Plus [233호]-



IP *.131.5.125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36 세상의 모든 쿠키는 수제입니다 [2] 이철민 2017.12.14 868
3835 [금욜편지 21- 심연통과 5: 책쓰기 전략 (상편)] [2] 수희향 2018.01.19 868
3834 가족처방전 -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열여덟 번째 이야기 제산 2019.10.28 868
3833 [금욜편지 112- 책쓰기는 기획이다] 수희향 2019.11.15 868
3832 목요편지 - 모내기 운제 2020.05.21 868
3831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이번주 쉽니다 알로하 2020.08.30 868
3830 [라이프충전소]자꾸만 조급해지려고 할 때 [9] 김글리 2022.02.11 868
3829 [수요편지] 대체 뭐가 문제야 [1] 불씨 2022.08.24 868
3828 [내 삶의 단어장] 차렷, 억수로 [1] 에움길~ 2023.11.06 868
3827 65세, 경제적 문제없이 잘 살고자 한다면?(1편) [4] 차칸양 2018.09.18 870
3826 화요편지 - 침몰하는 가족과 느슨한 연대 사이, 코타로는 1인 가구 종종 2022.03.22 870
3825 [수요편지] 미스토리 [1] 불씨 2022.04.06 870
3824 화요편지 - 결국은 사람의 일 [2] 종종 2022.08.09 870
3823 [화요편지] 여인을 위한 삶의 경전 [3] 아난다 2019.04.23 871
3822 [화요편지] 1주차 워크숍_새로운 '나'와의 만남 file 아난다 2019.07.02 871
3821 이렇게 살 수도, 죽을 수도 없는 서른 다섯 워킹맘의 선택 아난다 2020.02.18 871
3820 목요편지 - 여름이 지나간 자리 운제 2020.08.13 871
3819 제대로 보는 방법 [1] 불씨 2022.02.15 871
3818 <목요편지> 나답게 말하는 법 [2] 운제 2019.01.24 872
3817 [수요편지] 세상의 가운데로 보낸 자기유배 [1] 장재용 2019.07.17 8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