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요한
- 조회 수 5575
- 댓글 수 0
- 추천 수 0
‘새는 알에서 나오려고 투쟁한다. 알은 세계이다.
태어나려는 자는 하나의 세계를 깨뜨리지 않으면 안 된다.’
-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 중에서 -
-------------------------------------------------
껍질에서 벗어나야만 생명은 시작합니다. 씨앗이 껍질을 벗지 않으면, 동물이 알에서 깨어나지 못하면 그것은 죽음을 의미합니다. 생명은 껍질을 벗음으로 시작합니다. 하지만 생명은 새로운 껍질을 입지 않으면 살아갈 수 없습니다. 껍질이 없거나 약하다면 생명체는 바스러지고, 체온이나 수분을 조절할 수 없을뿐더러, 천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도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껍질이 굳어지면 다시 성장의 장애물이 됩니다. 껍질은 속살보다 질기고 단단해지기에 내부의 성장을 억누르게 됩니다. 그렇기에 많은 생명체들은 껍질을 벗고 또 벗는 변태와 탈피를 거듭하며 자라납니다. 사람도 몸을 감싸주는 피부는 물론, 마음을 감싸는 단단한 틀이 있기에 상처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마음의 틀 역시 결국 성장을 가로막는 족쇄가 되고 맙니다.
껍질을 벗으면 맨살을 드러내는 고통과 불편이 따릅니다. 특히 자신을 잘 보호해주는 껍질을 벗는다는 것은 그 필요조차 느끼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마음의 껍질벗기가 없는 한 삶은 성장할 수 없을 뿐더러 서서히 죽어가게 됩니다. 벗지 않으면 클 수도, 존재할 수도 없는 것이 생명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껍질은 삶의 형식이 아닌 본질이며 껍질벗기는 생명활동의 에센스입니다.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877 | 생명이란 온 힘을 다해 살아가는 것 [1] [2] | 문요한 | 2008.08.19 | 5250 |
3876 | 아버지의 굳은살 | 박승오 | 2008.08.25 | 5446 |
3875 | 아버지의 굳은살 | 박승오 | 2008.08.25 | 5201 |
3874 | '할 수 없다' 는 말은 욕이다 [1] [1] | 문요한 | 2008.08.26 | 5830 |
3873 | 두 통의 편지 [1] | 김도윤 | 2008.08.28 | 5115 |
3872 | 경박하지 않게 가벼워지는 법 | 구본형 | 2008.08.29 | 7411 |
3871 | 기도와 기회의 동시성 [1] | 박승오 | 2008.09.01 | 6577 |
3870 | 콤플렉스를 날개로 | 문요한 | 2008.09.02 | 6542 |
3869 | 백 개의 강 [2] | 김도윤 | 2008.09.04 | 6230 |
3868 |
그 속에 내가 있다 - 구름 독서 ![]() | 구본형 | 2008.09.05 | 6967 |
3867 | 넘침과 모자람의 중간에서 [3] | 박승오 | 2008.09.08 | 6204 |
3866 | 존재가 적을수록 소외는 깊어진다 [6] | 문요한 | 2008.09.09 | 7084 |
3865 | 밤, 바다를 거닐다 [3] | 김도윤 | 2008.09.11 | 5867 |
3864 |
편지 속의 편지 ![]() | 구본형 | 2008.09.12 | 5312 |
3863 |
이태백이 놀던 달처럼 ![]() | 박승오 | 2008.09.15 | 5961 |
» | 벗는다. 그러므로 존재한다. | 문요한 | 2008.09.16 | 5575 |
3861 | 끝의 시작 [4] | 김도윤 | 2008.09.18 | 5006 |
3860 |
새로운 이름 하나 지어 주세요 ![]() | 구본형 | 2008.09.19 | 5972 |
3859 |
너를 기다리며 나에게 간다 ![]() | 박승오 | 2008.09.22 | 5952 |
3858 | 거인의 어깨위로 올라서라 [2] | 문요한 | 2008.09.23 | 53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