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강
- 조회 수 5459
- 댓글 수 11
- 추천 수 0
1. 제목
: 내 안의 신화를 찾아서. (새벽이 있는 삶을 통한 근본적 성찰)
2. 새벽시간과 새벽활동
1) 새벽시간 05:00~ 07:00 (2시간)
2) 새벽활동 <나의 동양고전 독법 강의> 읽기
3. 나의 전체적인 목표
1) 100일간 책 1독하기
2) 매일 할 일: 인상적인 구절, 발췌하여 기록하기
4. 중간목표
1) 주1회 독서기록 정리
2) 월1회 독서기록 정리
5. 목표 달성 과정에서 직면하게 될 난관과 극복방안
1) 난관 : 기상시간
2) 극복방안 : 규칙적 생활 (야근,회식 피하기)
6. 목표를 달성했을 때 내 삶에 일어날 긍정적인 변화 묘사
1) 새벽이 있는 삶을 통해 자기 안의 신화를 발견 (자신의 특징, 장점, 소명을 발견한다. )
2) 육체적 건강 (규칙적 생활)
7. 목표를 달성했을 때 나에게 줄 보상
1) 일본 2박3일 여행 (근래 방문하지 못했던 일본여행 다녀오기)
2) 타블렛 사기 (2013년부터는 컴퓨터를 활용한 일러스트 및 디자인 작업 능력을 키워보고 싶다)
댓글
11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사실과 전설 가운데에서 어느 것이 더 진실한가를 우리는 물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어쩌면 사실보다 전설 쪽이 더 진실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문학이란 그런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실의 내면을 파고 들어갈 수 있는 어떤 혼이 있어야 하는 것이지요. <시경> 이란 결국 진실을 구성하는 조각 그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실의 조합에 의하여 비로소 진실이 창조되는 것이지요. 이것이 문학의 세계이고 시의 세계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
(61-62쪽, 2장 오래된 시와 언)
얼마 전에 본 영화 <파이이야기>와 맞닿아 있는 문학에 대한 해설을 이 책에서 보았습니다. 영화의 후반부에 감독은 잔혹한 사실과 전설같은 이야기 중 무엇을 믿을 것이냐, 그리고 무엇이 진실이냐에 대해 질문을 던지는데요, 위 글에서 저는 명확한 답을 얻을 수 있었어요.
오늘같이 현재의 나( 혹은 사회)에 대한 고민의 답을 찾았을 때, 마치 우연과도 같은 그 순간을 맞이했을 때-독서의 기쁨, 소중함을 느끼게 되네요.
(61-62쪽, 2장 오래된 시와 언)
얼마 전에 본 영화 <파이이야기>와 맞닿아 있는 문학에 대한 해설을 이 책에서 보았습니다. 영화의 후반부에 감독은 잔혹한 사실과 전설같은 이야기 중 무엇을 믿을 것이냐, 그리고 무엇이 진실이냐에 대해 질문을 던지는데요, 위 글에서 저는 명확한 답을 얻을 수 있었어요.
오늘같이 현재의 나( 혹은 사회)에 대한 고민의 답을 찾았을 때, 마치 우연과도 같은 그 순간을 맞이했을 때-독서의 기쁨, 소중함을 느끼게 되네요.
"목표의 올바름을 선 이라고 하고 목표에 이르는 과정의 올바름을 미 라 합니다. 목표와 과정이 함께 올바른 때를 일컬어 진선진미 라 합니다.
목표와 과정은 서로 통일되어 있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진선하지 않으면 진미할 수 없고, 진미하지 않고 진선할 수 없는 법입니다. 목적과 수단은 통일되어 있습니다. 목적은 높은 단계의 수단이며 수단은 낮은 단계의 목적입니다. 나는 이 미제괘에서 우리들의 삶과 사회의 매카니즘을 다시 생각합니다. 무엇 때문에 그토록 바쁘게 살지 않으면 안 되는지를 생각합니다. 그리고 노동이 노동의 생산물로부터 소외될 뿐 아니라 생산 과정에서 소외되어 있는 현실을 생각합니다. 목표와 과정이 하나로 통일되어 있다면 우리는 생산물의 분배에 주목하기보다는 생산 과정 그 자체를 인간적인 것으로 바꾸는 과제에 대해서도 생각해야 한다고 믿습니다. "
- 129쪽, 3장 주역의 관계론 <나의 동양고전 독법 강의>
"육신이 전구라면 그리고 전구가 나가 버린다면, 더 이상은 전기가 없다는 의미가 되는 것일까? 에너지의 원천은 여전히 남아있다. 우리는 육신을 내버리고 계속 나아갈 수 있다. 우리가 바로 원천이기 때문이다. "
"변화하는 사람은 거의 누구든지 옛허물을 벗어 버리는 경험을 하게 마련이다. 여러분이 뱀처럼 허물을 벗는데, 하필이면 그 중 일부를 꽁무니에 그대로 남겨 놓고 싶다고 치자. 이것은 중대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그렇게 뒤에 매달린 것이 바로 근심이다. 여러분은 그걸 떼어내 버릴 수 있어야 한다. 거기 매달려 있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
"성스러운 공간에서는 무슨 일을 하건 간에 그 주위는 은유가 된다."
by <신화와 탄생> Joseph campbell
VR Le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