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김용규
  • 조회 수 3151
  • 댓글 수 6
  • 추천 수 0
2009년 6월 25일 09시 21분 등록
일생을 생명살림운동에 바친 어느 선생님께서 ‘쌀 한 톨 論’을 펼친 바 있습니다. ‘논에 심겨진 벼는 병해충을 견뎌야 제대로 이삭을 단다. 마침내 이삭이 다 익고 고개를 숙이는데, 이때 새들이 취하는 벼는 우리 입에 들어올 수 없다. 벼 벨 때 논바닥에 떨어지면 그 나락 또한 우리 입에 들어오지 못한다. 쌀로 찧을 때 바닥에 떨어지는 볍씨도 우리 입에 들어오지 못하고, 쌀 일어 솥에 앉힐 때 흘리는 쌀 알 또한 입에 들어오지 못한다. 마지막으로 밥그릇에 남겨지거나 흘려 버려지는 밥풀 또한 우리 입에 들어오지 못한다.’ 선생의 말씀은 쌀 한 톨이 우리 입에 들어오기 까지 얼마나 많은 우주적 작용과 관계가 존재해야 하는지에 관한 역설(力說)입니다.

강아지라고 부르기에는 너무 커버린 풍산개(?) 산과 바다의 사냥 본능 때문에 요즘 저는 고민에 빠졌습니다. 산방 옆 밭에 깨를 심어놓으신 할머니가 당신 밭에 들어와 여기 저기 헤집어 놓는 산과 바다를 묶어달라는 청을 여러 번 하셨기 때문입니다. 요청대로 녀석들을 묶어보았지만, 묶어 키우지 않은 탓인지 줄을 끊어버리거나 목이 다 쉴 만큼 짖고 낑낑대며 묶어두는 것에 필사적으로 저항을 하기 때문입니다. 하는 수 없이 잘 감시(?)하며 풀어두었는데, 할머니의 속앓이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요즘은 할머니를 만날 때마다 녀석들이 또 밭을 헤집어 놓았냐고 여쭤봅니다. 할머니 말씀이 “여기저기 파 놓았으나 깨는 다치지 않았네요.” 입니다.

개가 마음껏 밭을 파헤쳐도 다치는 깨는 몇 포기 되지 않습니다. 그것을 돈으로 환산한다 해도 그리 많은 금액이 되지는 않을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선생의 말씀 중에 입으로 들어오지 못하는 쌀 알을 돈으로 환산해 보았자, 몇 푼어치도 안될 것입니다. 두 분의 말씀을 통해 나는 농부가 작물을 심는 것이 그들을 잘 키워 단지 입에 넣거나 돈만을 얻고자 하는 것이 아님을 알게 됩니다. 농부가 쌀 한 톨, 작물 한 포기에 그토록 깊은 애정을 두는 또 다른 이유는 바로 우리의 입으로 들어갈 그 한 포기의 작물 속에 얼마나 많은 물질과 다른 생명의 노고와 희생이 관계해 있는지를 몸으로 기억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지난 주 이야기로 돌아와서, 우리는 누군가를 취해야만 삶을 이을 수 있습니다. 지난 주 편지에 많은 분이 주신 대답처럼, 그것은 그저 진화의 산물이거나 본래 그렇게 형성된 자연의 법칙일 것입니다. 그럴 수 있습니다. 여하튼 타자의 죽음으로 잇는 삶이 우리의 나날이니 하루하루가 헛되지 말아야 한다는 말씀에도 공감하게 됩니다. 하지만 나는 그것으로는 부족하다는 생각을 합니다. 한걸음 더 나아가야 한다고 믿습니다. 우리의 나날이 늘 다른 생명의 죽음으로 이어지는 것을 항상 기억하고, 그 무수한 우주적 작용으로 우리 모두가 살아갈 수 있다는 사실에 고개 숙여야 하며 우리 또한 다른 생명들을 위한 되먹임 과정에 온전히 동참할 수 있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개밥을 줘보면 알게 됩니다. 그들은 밥 한 톨을 남기지 않습니다. 떨어진 밥 알 하나까지도 살뜰하게 핥아 먹습니다. 밥 한 톨 남기는 일이, 지나치게 많은 것을 소유하여 결국 버려지는 것들로 넘쳐나는 세상을 만드는 일에 생각 없이 기여하는 일이 사람에게서만 일어나는 일임을 우리가 절실히 알게 되면 하루의 깊이가 달라질 것이라 믿습니다. 나는 그것으로도 세상이 달라지기 시작하리라 믿습니다.
IP *.229.146.83

프로필 이미지
경환
2009.06.25 11:17:31 *.178.211.219
넵!!!~~^^
프로필 이미지
2009.07.02 09:25:55 *.229.184.208
 ^^
프로필 이미지
김주한
2009.06.25 17:42:19 *.174.66.219
그런 거대한 우주적 작용의 틀 안에서 우리는 만나고 헤어지고 살고 죽고 하지요.
아마 우리가 변화를 꾀함에도 그것이 쉽지 않은 것은 나혼자만의 삶이 아니라 나고 자라고 살고 죽는 것이
그런 우주적 작용에 의해 무수히 많은 생명들과 연관이 되어있기 때문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잘못된 역사를 바로잡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더욱 요즘 세상이 더 어두워 보입니다.
산이, 바다 큰 모습 보러 한번 들르겠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09.07.02 09:30:21 *.229.184.208
말씀대로
변화가 쉽지 않은 이유 중 가장 거시적 원인이
그 우주적 작용 혹은 원리에 귀 기울이지 않거나 거스르며 살기 때문일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해오고 있습니다.
궁금해 하고 있었습니다.
산과 바다 보러 한 번 들르시지요.
프로필 이미지
김덕분
2009.06.29 08:01:39 *.131.197.26
되먹임하지 못한 죄
생명을 자신안에 가두어  흐르게 하지 못한 죄
더불어
발전이라는 미명하에 자행 된 파괴의 역사에 무심한 죄까지
모두
제가 죄인입니다.
저는 미안합니다.
제생명에게 용서를 구하는 일부터 시작하겠습니다.
제 이웃에게서
자신의 시골집에서 키우는 공인흑삽사리가 이웃집 닭을 놀래켰다고
닭값으로 20만원을 주었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ㅎㅎ
덕분에 생명을 생각하는 한 주가 되겠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09.07.02 09:39:33 *.229.184.208
닭을 물어 해한 것이 아니라 놀래켰다 해서 그렇게 배상을 했다구요?
저는 산과 바다가 이웃한 밭작물을 해한다고 수차례 경고를 받고
녀석들과 전쟁을 치르며 보내고 있습니다.
마을 형님들이 농담으로 복날이 가까워 오니 녀석들 단속 잘하라고 합니다. ^^
무더위와 잘 화해하시는 나날 이으시기 바랍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36 화요편지 - 오늘도 덕질로 대동단결! 종종 2022.06.07 645
4335 화요편지 - 생존을 넘어 진화하는, 냉면의 힘 종종 2022.07.12 697
4334 [내 삶의 단어장] 오늘도 내일도 제삿날 [2] 에움길~ 2023.06.12 703
4333 [수요편지] 똑똑함과 현명함 [1] 불씨 2023.11.15 709
4332 역할 실험 [1] 어니언 2022.08.04 710
4331 뭐든지는 아니어도 하고 싶은 것 정도는 할 수 있다는 마음 [2] 어니언 2023.11.23 713
4330 작아도 좋은 것이 있다면 [2] 어니언 2023.11.30 724
4329 [수요편지] 커뮤니케이션이 잘 되는 조직문화 불씨 2023.10.11 731
4328 [늦은 월요 편지][내 삶의 단어장] 2호선, 그 가득하고도 텅빈 에움길~ 2023.09.19 734
4327 목요편지 사람의 마음을 얻는 법 운제 2018.12.06 735
4326 목요편지 - 거짓말 [2] 운제 2019.03.15 737
4325 [수요편지] 허상과의 투쟁 [1] 불씨 2022.12.14 740
4324 목요편지 - 누군가에게 꽃이 되고 싶다 [3] 운제 2019.01.03 741
4323 [월요편지-책과 함께] 인간에 대한 환멸 [1] 에움길~ 2023.10.30 741
4322 등 뒤로 문이 닫히면 새로운 문이 열린다 [3] 어니언 2023.12.28 742
4321 모자라는 즐거움 [2] -창- 2017.08.26 744
4320 65세, 경제적 문제없이 잘 살고자 한다면?(9편-노년의 일과 꿈) [4] 차칸양 2018.12.04 745
4319 이상과 현실 [1] 어니언 2022.05.19 745
4318 두 번째라는 것 어니언 2023.08.03 745
4317 [수요편지] 장미꽃의 의미 [1] 불씨 2023.12.05 7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