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우경
  • 조회 수 3959
  • 댓글 수 7
  • 추천 수 0
2009년 7월 8일 06시 57분 등록

저에게는 두 친구가 있습니다. 저를 포함해 세 사람이 비슷한 일을 하기에 오랜만에 만나도 어제 만난 듯 교감이 됩니다. 몇 년 전에는 저녁을 먹다가 우울하다는 한 친구의 말에 그 길로 밤길을 운전해 동해안으로 내달렸던 기억도 있습니다. 마음이 적막강산일 때 눈빛만 봐도 심중을 헤아릴만큼 함께 건너 온 곰삭은 세월이 있습니다. 그런데 며칠 전 식사자리에서 두 친구사이에 다툼이 있었습니다. 그 다툼의 이유는 아주 소소한 것이었습니다. 어떤 일을 회상하던 두 사람이 극과극으로 다른 표현을 하다 종내는 마음을 상하게 되고 만 것이었습니다.

곁에서 두 사람의 이야기를 들으며 과정을 지켜 보게 된 저는 사태의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슬며시 번지는 웃음을 참아야 했습니다.

결국 두 사람은 그 상황을 함께 겪은 제게 어떤 기억이 맞느냐고 묻기에 이르렀습니다. 그런데 제가 기억하는 그 상황은 두 사람의 의견처럼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기억상자에 담아 둘만큼 특별하지 않은 평이한 하루였습니다. 제가 웃었던 것은 세 사람이 같은 일에 대해 얼마나 다르게 기억하고 있는지를 발견한 흥미로움 때문이었습니다. 제 대답에 어이없어 하던 친구들은 폭소를 터트렸고, 그 자리는 잘 갈무리 되었습니다.

친구들과 헤어져 집으로 돌아오며, 저는 왜 두 사람의 기억이 상반되는 것인지 내내 생각에 잠겼습니다. 그러다 재미있는 사실을 발견 했습니다. 그 상황이 좋았다고 기억하는 친구는 낙관적인 표현을 잘 쓰며 후일을 자주 기약하는 미래지향형이었고, 그 상황이 나빴다고 기억하는 친구는 작은 실수에도 자주 의기소침해지는 과거지향형의 품성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또한 자칭 미래지향형이라고 생각하는 친구는 이야기를 할 때도 "무엇무엇을 했네" 라고 동의를 구하듯이 묻는데, 과거지향인 친구는 "무엇무엇을 했지?" 라고 따지듯이 추측하는 질문을 던집니다. 두 사람 사이에 사소한 다툼이 잦은 것도 그런 표현의 차이 때문이라는 것을 저는 알게 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두 사람은 자주 만나 의견을 교환하는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아마도 서로 다름에 이끌리는 모양입니다. 또 두사람은 저를 무채색이라고 놀리기도 합니다. 저 또한 그 말이 듣기에 나쁘지 않습니다.

두 사람이 또렷하게 기억하고 있는 상황에 대하여 특별한 기억이 없는 저는 누구일까요. 과거지향도, 미래지향도 아닌 현재지향형일까요.  이 편지를 받는 그대는 어떤 기억을 간직하고 싶으신지요.  문득 궁금해지는 아침입니다.

 장마가 시작된 수요일,  앤의 편지였어요.  ^!~

IP *.71.76.251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56 목요편지 - 가을날 운제 2020.08.21 917
3655 함께한 기억(4/14 마음편지) [1] 어니언 2022.04.21 917
3654 [수요편지] 인생을 바꾼 한마디 [1] 불씨 2023.03.21 917
3653 지속가능한 즐거움을 시작하라 file [2] 어니언 2023.06.29 917
3652 소점포 창업, 소박하고 디테일한 그림으로, [14] 이철민 2018.02.08 918
3651 [라이프충전소] 나를 삼고초려 하는 마음 [7] 김글리 2022.07.01 918
3650 [라이프충전소] 실패는 실패로만 끝나지 않는다 김글리 2023.01.27 918
3649 안동 가을 햇살 속 관계의 행복을 느끼며(에코독서방 연합 모임) [3] 차칸양 2018.11.06 919
3648 [금욜편지 63- 기질별 인생전환 로드맵- 9번 평화주의자] file 수희향 2018.11.16 919
3647 목요편지 - 새해 새 마음 운제 2020.01.03 919
3646 [화요편지]그렇게 엄마를 완전히 소화했다고 믿었다. file 아난다 2020.08.11 919
3645 [월요편지 96] 무엇을 하든 2년 이상 지속하면 생기는 일 [1] 습관의 완성 2022.02.20 919
3644 [수요편지] 한해를 마무리하며 [1] 불씨 2022.12.28 919
3643 [자유학년제 가족 독서 #04] 법구경 [2] 제산 2018.06.11 920
3642 철학은 처음이시죠? - 동양철학 제산 2019.07.28 920
3641 신화는 처음이시죠? - 신화 작가편 제산 2019.09.01 920
3640 [월요편지 89] 자녀 습관에 관한 부모의 흔한 착각 [1] 습관의 완성 2022.01.09 920
3639 [수요편지] 심리적 안정감 [1] 불씨 2023.02.21 920
3638 지우개 하나 있으신가요 -창- 2017.06.25 921
3637 [수요편지 15- 명함없는 삶] [2] 수희향 2017.10.11 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