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문요한
  • 조회 수 3075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09년 10월 21일 13시 40분 등록


나를 여태까지 키운 것은 불안이었다
아침으로 먹고 점심으로 먹고 저녁으로 먹는다
내 몸에는 항상 불안이 소화되는 중이다
어쩌다 불안을 굶으면 배에서 꼬르륵거리는 소리가 난다
불안이 제일 먹고 싶다 파를 송송 썰어 넣고
양파를 벗겨 넣고 나중엔 달걀을 풀어 휘휘 젓는다
불안 냄새로 온 실내가 진동하고
불안이 마침내 익으면 불안을 꺼내 후후 불어가며
맛있게 먹는다 꼭꼭 씹어 먹는다

- 시인 박 찬일의 詩 ‘마음에 대한 보고서’ 중에서 -

-------------------------------



아이들과 <괴물들이 사는 나라>라는 동화책을 본 뒤부터 작가인 모리스 샌닥을 좋아하게 되었습니다. 그의 책이 유난히 흥미를 끄는 것은 아이들의 세계를 관념적으로 미화시키지 않고, 아이들의 내면에 있는 부모에 대한 갈등과 불안을 잘 담아 냈기 때문입니다. 홧김이지만 엄마를 잡아먹어 버릴 거라는 이야기가 실려 있을 정도니까요. 어렸을 때부터 유난히 병약했던 샌닥은 자주 병석에 누워있어야만 했고, 누군가에 의해 ‘잡아 먹히는’ 두려움에 많이 시달렸다고 합니다. 그 외로움과 불안을 이기는 방법은 자연스럽게 공상의 세계에 빠져드는 것이었습니다. 결국 그는 어른이 되어서도 불안과 공상으로 채워진 어린 시절과 단절되지 않았기에 동화작가가 될 수 있었습니다.


베르베르는 작가가 된 동기를 ‘불안증’을 해소하기 위해서였다고 늘 밝히곤 합니다. 게다가 자신의 상상력의 원천을 ‘엄청난 불안’때문이라고까지 이야기합니다. 그는 삶과 단절에 대한 불안을 해소하기 위하여 16살 때부터 4시간 30분씩 꼬박꼬박 글을 써왔다고 하며, 하루라도 글을 쓰지 않으면 마음이 불안해진다고 합니다. 화가 뭉크는 그의 나이 5살 때 어머니를 여읜 것을 필두로 누이, 아버지 등 가족들을 차례로 잃어가면서 평생 죽음의 공포와 불안에 시달렸습니다. 스스로를 ‘요람에서부터 죽음을 안 사람’이라고 부를 정도였으니까요. 그 불안을 잠재울 수 있는 유일한 방식이 아마 그림이었을 것입니다. 어디 그 뿐인가요? 작가 브레히트와 카프카, 다윈, 프로이트 등은 모두 심각한 불안장애 환자였습니다. 하지만 그 불안이 그들의 영혼을 마비시켰다기보다는 오히려 그 영혼을 더 비상하게 만들었다고 보는 것이 맞지 않을까요?  



불안은 영혼을 잠식한다고 했나요? 하지만 모든 불안이 병적이지는 않습니다. 설사 당신의 불안이 병적이라 하더라도 그것이 인생 전체를 놓고 보았을 때 당신의 영혼을 파괴할지 혹은 깨워낼지 쉽게 단정할 수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불안 자체보다는 그 불안에 당신이 무엇을 가지고 어떻게 대처하느냐이겠지요.   

   

- 2009. 10. 21. '당신의 삶을 깨우는' 문요한의 Energy Plus 333호-




IP *.131.5.204

프로필 이미지
discount
2010.05.31 16:20:58 *.55.51.22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76 [월요편지 16] 용기를 주는 대화법 file 습관의 완성 2020.07.12 1195
775 [화요편지]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file 아난다 2020.07.14 1087
774 막스 베버는 왜 그랬을까? 장재용 2020.07.15 1145
773 [용기충전소] 랜선시대, 피할 수 없다면 김글리 2020.07.17 933
772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머리보다는 몸이 움직이는 춤 file 알로하 2020.07.19 925
771 [월요편지 17] 말 안 해도 내 맘 알지? 그럴 리가요? file 습관의 완성 2020.07.19 1066
770 [화요편지] 이번엔 그냥 넘어가지 않겠어요! file 아난다 2020.07.20 1213
769 닿을 수 없는 곳 [2] 장재용 2020.07.22 1073
768 목요편지 - 장마 [1] 운제 2020.07.23 927
767 [용기충전소] 본색이 드러나는 순간 [2] 김글리 2020.07.23 1289
766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나비를 꿈꾸며… 1 file 알로하 2020.07.26 1054
765 [월요편지 18] 처음엔 누구나 근사한 계획을 가지고 있다. 현실에 쳐 맞기 전까지는 [1] 습관의 완성 2020.07.26 1222
764 [화요편지]욕심, 실은 깊은 두려움 file 아난다 2020.07.27 1240
763 월급쟁이 알바트로스 장재용 2020.07.28 1088
762 목요편지 - 생활의 발견 운제 2020.07.30 915
761 [용기충전소] 인생이 각색되는 순간 김글리 2020.07.30 1617
760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나비를 꿈꾸며... 2 file 알로하 2020.08.02 903
759 [월요편지 19] 내가 글을 쓰는 근사한 이유 5가지 file [1] 습관의 완성 2020.08.02 989
758 [화요편지] 엄마를 기다리는 시간 file 아난다 2020.08.03 1074
757 몸 가진 것들이 사는 법 장재용 2020.08.05 9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