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김용규
  • 조회 수 2923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10년 6월 3일 09시 03분 등록


IMG_1343.jpg

어제는 모처럼 고요했습니다. 지방선거 당일이어서 한동안 이 숲까지 어지럽게 들리던 후보자들의 확성기 소리가 완전히 소멸한 탓이었습니다. 투표를 마치고 돌아와 모처럼 오후 내내 숲 속에 앉아 책을 읽었습니다. 벌통들 뒤에 자리를 잡고 앉았습니다. 그곳엔 작은 옹달샘이 있고, 물을 좋아하는 아주 커다란 버드나무가 그늘을 드리우고 있습니다. 내게 처음으로 나무의 언어를 들려주었던 가죽나무도 서 있는 곳입니다.

 

분봉 벌을 지키는 날이면 그곳에 앉아 그렇게 책을 읽곤 하는데 그 곳이 곧 병원이요 도서관이요 절입니다. 그곳에 가만히 앉아 있으면 숲이 내는 소리와 향기와 바람이 몸으로 스미고 차올라 내가 숲으로 녹아든 것 같은 느낌을 갖게 됩니다. 벌들의 부지런한 날개짓 소리, 바람을 맞는 나무 이파리들의 떨림, 새들의 노래 소리소리는 모두 제 각각이지만, 그들이 모이고 어울려 빚는 소리는 확성기로는 도저히 흉내 낼 수 없을 어울림을 갖고 있습니다. 이 즈음 새 소리 중에서는 검은등뻐꾸기 짝 찾는 소리가 백미입니다. 그들의 독특한 소리를 글로는 그대에게 들려주지 못하는 것이 아쉬울 뿐입니다.

 

아카시꽃 활짝 피었다 슬며시 져가는 요즘 숲에는 단연 찔레꽃 향기가 으뜸입니다. 벌들도 나도 모두 하얀색 그 향기에 취해 환장할 것 같습니다. 장사익선생의 노래 찔레꽃의 환장할 것 같은 애절함의 연원을 온전히 이해할 만큼 그 향기의 매력은 진합니다. 신기한 것은 나의 오감이 이토록 무수한 자극들을 향해 활짝 열려 있는데도 책 속의 글들이 흐트러짐 없이 가슴 깊숙이 파고들어온다는 것입니다.

 

너는 네 세상 어디에 있느냐? 너에게 주어진 몇몇 해가 지나고 몇몇 날이 지났는데, 그래 너는 네 세상 어디쯤에 와 있느냐?”

 

이 한 대목을 소리를 내어 열 번쯤 읽었습니다. 너무 깊고 충만하여 그대로 책을 덮고 눈을 감은 채 가만히 있었습니다. 모든 소리가 사라지고 모든 향기가 사라졌습니다. 이윽고 나도 사라졌습니다. 숲의 모든 존재 속으로 내가 다가가 닿고 마침내 연결되어 하나가 되는 황홀함이 몇 년 만에 다시 찾아 들었습니다.

 

그대 삶이 떠돌고 어지러워 견딜 수 없을 때, 하여 스스로를 가누기 버거운 때, 그대 이 경험을 나누고자 이 숲에 오시는 날이면 저 파란색 의자 기꺼이 내어드리겠습니다.

IP *.229.183.209

프로필 이미지
2010.06.03 13:40:34 *.246.146.138
뜨거운 여름에 그대의 의자를 빌릴 여유가 생기기를...
마음에도 물리적인 시간에도...

그나저나 좀 있으면 최 모모 선생처럼
 그대도 파란 의자 하나 남겨두고 산 속에 묻혀가는 거 아녀? ㅋㅋ
프로필 이미지
바람처럼~
2010.06.05 07:03:58 *.149.8.82
봉침도 맞고,
새똥도 맞아가며
한없이 꾸벅꾸벅
쉬엄쉬엄 하루를
보내고 싶군요. 산방의 그윽한 풍경 소리~
IMG_0625 copy.jpg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16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성실의 아이콘 또는 짜증 대마왕?? file 알로하 2020.08.23 985
3415 [라이프충전소] 이 길이 내 길일까? 묻고 있다면 [4] 김글리 2022.04.08 985
3414 화요편지 - 인사담당자와 커피 한 잔 하실래요? [2] 종종 2022.08.02 985
3413 [수요편지] 모든 나뭇조각은 진짜 [2] 불씨 2023.04.11 985
3412 가난한 결혼, 그리고 돈을 모은다는 것(6편) 차칸양 2017.08.08 986
3411 [금욜편지 115- 책쓰기는 설득이다] 수희향 2019.12.06 986
3410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_시인과 와인의 나라 3 file [1] 알로하 2020.01.19 986
3409 다시 걷습니다 書元 2016.10.29 987
3408 가난한 결혼, 그리고 돈을 모은다는 것(4편) 차칸양 2017.07.25 987
3407 [금욜편지 67- 기질별 인생전환 로드맵- 2번 교만한 애정실천가] file [2] 수희향 2018.12.14 987
3406 [용기충전소] 추임새의 마법 [1] 김글리 2020.11.13 987
3405 [라이프충전소] 결국 누가 글을 잘 쓰게 되는가 [1] 김글리 2022.12.08 987
3404 [수요편지] 혁명으로 가는 길 [1] 불씨 2023.03.15 988
3403 트럼피즘(Trumpism), 불확실성을 대표하는 키워드 file 차칸양(양재우) 2016.11.15 990
3402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 네 번째 이야기 제산 2018.10.21 990
3401 [월요편지 19] 내가 글을 쓰는 근사한 이유 5가지 file [1] 습관의 완성 2020.08.02 990
3400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21] 유머 감각이 당신을 구원하리라 file 습관의 완성 2020.08.16 990
3399 [수요편지] 고민이 고민인 사람들에게 [1] 불씨 2022.11.02 990
3398 가족처방전 – “엄마, OO해도 돼요?” 라는 질문에 대하여, 첫번째 이야기 제산 2018.07.16 991
3397 [라이프충전소] '그렇게 될때까지 하라'는 말에 숨겨진 비밀 [3] 김글리 2022.03.25 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