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용용^^
  • 조회 수 1971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13년 2월 12일 10시 51분 등록

마주 대한다는 것

 

흰 산이 가고 싶었다. 얼음 주름살이 금빛으로 빛나는 흰 산 말이다. 여전히 시간은 느리고 수천 년 전에 일었던 바람이 아직도 어슬렁대며 불려 가는 그 곳 말이다. 신의 말을 출렁대는 다리에 걸어놓고 바람에 태워 보내는 룽다가 가는 곳곳마다 넘실대는 곳, 인간은 신을 사랑하고 신은 인간을 보우하여 신과 인간이 한대 어울려 수많은 이야기로 출렁대는 그 곳 말이다. 그러나 산은 하얀 눈을 머금은 만큼  높다. 그리로 가기 위해서는 흰 산보다 더 새하얗게 나를 먼저 다려놓아야 될 터였다. 그 곳은 극한의 삶을 희구하는 자들만이 비벼댈 수 있는 무대고 수직의 길은 죽음을 피하며 오르는 자들의 꿈이었다. 신이 거하는 만큼 삶보다는 외려 죽음과 가까운 곳이고 신을 알현하기 위한 욕망의 인간들이 득실대는 곳이기도 했다. 오르려는 인간들의 열정을 숙연하게 볼 수 있는 곳이기도 하지만 반대로 오르려는 인간들의 욕망의 모습을 민낯으로 볼 수 있는 장이기도 한 그곳은 아이러니하게도 그리도 하얗다.

 

높다, 내 가슴을 뛰게 하는 그 높음. 인간을 죽여놓는 그 높이에 대해 이제 말할 차례다. 흰 산, 높은 흰 산에 대해 내 안으로 들어가 그것과 만난 다음, 나는 다시 흰 산에 대해 쓸테다. 물리적으로 높다는 것은 내 자의식이자 우리의 자의식이 그리 만든 것. 높다, 낮다라는 말은 이미 그 자체에 언어적 제약을 품고 있다. 누가 높음에 대해 낮음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는가. 누구도 규정할 수 없는 그 높음에 대해 나는 스스로 답을 해야만 한다. 산을 오르는 수직의 운동이라는 단편적 사실에 더하여 일상을 거스르는 인식을 재발견해야만 하는 과제가 주어진 거다. 그것은 내 자신을 내가 생각하는 사유의 방식과 언어 너머의 세계를 가늠해야 하는 무겁고도 혹은 무서운 숙제이지 않겠는가.

 

산과 나 사이에 아무런 매개 없이 발가벗기운 채 만나기 위해서는 내 언어와 산의 높음을 먼저 벗어 내야한다. 그리하면 내가 이제껏 지녔던 산에 대한 고착된 이미지를 버릴 수 있겠고 산도 그제야 그 높음을 한껏 낮출 수 있을 것이었다. 그 다음, 비로소 나는 산을 비벼대고 산은 나를 기꺼워 할게다. 그제사 산과 나는 진정한 소통의 장에서 함께 할 수 있을 것 같다. 매개 없는 소통, 物과의 소통의 힌트는 장자에서 찾는다.

 

'제가 귀하게 여기는 것은 기술이 아니라 도입니다. 기술을 넘어 선 것입니다. 제가 처음 소를 잡을 때는 눈에 보이는 것이 온통 소뿐이었습니다. 3년이 지나자 소의 전체 모습은 눈에 띄지 않게 되었지요. 지금은 마음으로 소를 대할 뿐 눈으로 보는 법은 없습니다. 감각은 멈추고 마음이 가는 대로 움직입니다. 천리에 의지하여 큰 틈새에 칼을 찔러 넣고 빈 결을 따라 칼을 움직입니다. 소의 몸 구조를 그대로 따라갈 뿐입니다. 아직 한 번도 인대를 벤 적이 없습니다. 하물며 큰 뼈야 말할 나위가 없습니다. 저 뼈에는 틈이 있고 이 칼에는 두께가 없습니다. 두께가 없는 것으로 틈이 있는 데다 넣으므로 넓고 넓어 칼날을 휘둘러도 반드시 여유가 있습니다.'

 

유명한 포정의 이야기다. 뼈에 틈이 있는 것은 내가 산으로 들어갈 수 있는 자리다. 산이 인간을 위해 비워 놓았으나 아무도 들어가지 않고 들어가려 하지 않았고 들어갈 수도 없었던 자리다. 칼에 두께가 없다는 것은 내가 산에 대한 자의식, 즉 높다, 힘들다, 거칠다, 불편하다, 어렵다, 춥다, 덥다 등의 언어와 인식으로 정의되는 모든 것을 버린 모습이다. 장자는 소통을 위해 매개를 버리라 했다. 그리고 난 후 내가 나임을 지운 후에 모든 만물을 대하면 그것이 곧 소통이라 일렀다.

 

흰 산, 높은 흰 산은 그저 '산'으로 나는 그저 '사람'으로 마주대하는 것이 얼마나 어렵고 힘든 작업인지 안다. 내 마음의 자유만큼이나 멀고, 저 멀리 북극성만큼이나 아득함을 안다. 이 과제에 잘못 들어섰음도 안다. 나를 의기소침하게 만들고 주눅들게 할 것이니까. 그러나 간다. 추구하는 것만으로도 의미 있지 않겠는가. 내가 자유를 말하고 언어를 말하는 것이 가엾기는 하지만 쪽팔린다고 올라간 무대를 내려올 순 없는 노릇이다. 내가 느낄 수 있는 모든 부끄러움을 죄다 느낀 다음 더 이상 내어놓을 부끄러움이 없을 때 나는 흰 산과 그 산의 높이에 다가설 수 있을 것 같다.

IP *.45.64.241

프로필 이미지
2013.02.13 06:09:55 *.154.223.199

재용, 흰 산에 가기 위해 '산의 높음'에 대한 사람의 고정관념을 깨는 게 중요한가요?

처음 듣는 것이네요. 흥미로와요.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12 [33] 시련(11) 자장면 한 그릇의 기억 secret [2] 2009.01.12 205
5211 [36] 시련12. 잘못 꿴 인연 secret [6] 지희 2009.01.20 209
5210 [38] 시련 14. 당신이 사랑을 고백하는 그 사람. secret 지희 2009.02.10 258
5209 [32] 시련 10. 용맹한 투사 같은 당신 secret [2] 2008.12.29 283
5208 [37] 시련. 13. 다시 만날 이름 아빠 secret [3] 2009.01.27 283
5207 [28] 시련(7) 우리가 정말 사랑했을까 secret [8] 지희 2008.11.17 330
5206 칼럼 #18 스프레이 락카 사건 (정승훈) [4] 정승훈 2017.09.09 1662
5205 마흔, 유혹할 수 없는 나이 [7] 모닝 2017.04.16 1664
5204 [칼럼3] 편지, 그 아련한 기억들(정승훈) [1] 오늘 후회없이 2017.04.29 1717
5203 9월 오프모임 후기_느리게 걷기 [1] 뚱냥이 2017.09.24 1748
5202 우리의 삶이 길을 걷는 여정과 많이 닮아 있습니다 file 송의섭 2017.12.25 1751
5201 2. 가장 비우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 아난다 2018.03.05 1779
5200 결혼도 계약이다 (이정학) file [2] 모닝 2017.12.25 1782
5199 7. 사랑스런 나의 영웅 file [8] 해피맘CEO 2018.04.23 1790
5198 11월 오프수업 후기: 돌아온 뚱냥 외 [1] 보따리아 2017.11.19 1797
5197 (보따리아 칼럼) 나는 존재한다. 그러나 생각은? [4] 보따리아 2017.07.02 1799
5196 12월 오프수업 후기 정승훈 2018.12.17 1804
5195 일상의 아름다움 [4] 불씨 2018.09.02 1808
5194 칼럼 #27) 좋아하는 일로 먹고 사는 법 (윤정욱) [1] 윤정욱 2017.12.04 1810
5193 #10 엄마와 딸 2–출생의 비밀_이수정 [5] 알로하 2017.07.03 1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