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연
- 조회 수 2315
- 댓글 수 0
- 추천 수 0
"북 리뷰 및 칼럼 제출 현황 본인이 계산하여 자신의 성적표 들고 참석해라.
전체적으로 하는 모임은 웨버 중심으로 논의하여 즐거운 여행이 되게 해라. 별도로 개인 면담 있다.
1년 전 면접 여행을 떠올리며 하고 싶은 이야기/질문을 들고 참가 해라."
연구원 마지막 오프수업과 수료여행을 공지하신 스승의 글이다. 내어주신 과제를 작은 수업에 적었었다.
하고 싶은 이야기 / 질문
"꾸준히 열심히 해 봐야겠다. 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연구원 시작하기 전에 인문학적 소양이 부족한 것은 알고 있었지만 이 정도인 줄은 몰랐거든요. 난독증 환자가 된 기분입니다. 글을 읽어도 그 의미가 정리되지 않는 상태는 제가 미물이 된 느낌이었거든요. 파리나 바퀴벌레 하루살이, 초파리만한 사이즈의 곤충이 생각났어요. 지금은 열등감의 실체가 보이고 그 분수령에 서 있는 것 같습니다. 이제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한 주에 한 권의 책을 읽고 리뷰, 컬럼, 하루 한 문장의 글을 생활화 하는 삶 말입니다. 이런 삶을 살아가는데 다른 사람이 아닌 너(길수)는 이렇게 하면 좋지 않겠니? 한마디를 듣고 싶었습니다."
다른 생각 하나.
'책은 아무나 쓰는 거다. 그래서 나는 쓰지 않을 테다'에서 '책은 아무나 쓰는 것이 아니다. 그러니 나는 책을 써야겠다'로 출간에 대한 생각이 바뀌었다. 적어도 3권을 쓴다. 왜? 세 권을 쓰고 나면 작가로의 삶이 가능하다라는 말을 들었기 때문이다.
생生의
친구는 말한다. “그렇게 살아서 뭘 할건데?”나는 답한다. “뭘 할려고 하는 것 아닌데….”
뭔가 이루려고 하는 삶이 아니다. 목표가 정해진 삶이 아니다. 그냥 사는 거다. 한마디 덧붙인다.
“살아보니 이게 제일 재미나서 그런 건데…, 다른 재미있는 것이 있으면 알려줘”그는 대답한다. “없어”
이루어야 하는 목표가 있는 것은 좋은 일이다. 모아야 하는 돈의 액수가 있는 것도 괜챦다. 넓혀야 하는 아파트 평수가 있는 것도 나쁘지 않다. 문제는 그 다음이다. 그 다음에는 뭘 할건데? 목표는 늘어날 거고 돈은 더 많이 있었으면 할 테고 집을 마련하고 나면 별장이 필요할거다. 물욕은 끝이 없다. 바닷물이 갈증을 해소해 주지 않듯이 인간이 가지고 있는 욕망은 제어하지 않으면 끝을 모른다. 지식에 대한 욕구라도 다르기야 하겠나 싶다. 읽을 꺼리도 넘쳐나고 알아야 할 지식도 끝이 없다. 글에 대한 욕심도 끝이 없겠지. 어쩌면 눈에 보이는, 돈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보다 더 고독하게 할지 모른다. 더 허탈하게 할지도 모른다.
연구원 마지막 과제로 읽은 순자荀子 16편 강국彊國에는 이런 글이 있다.
“미세한 것을 쌓아 가는 데 있어서는 月이 日을 이기지 못하고, 철時이 달을 이기지 못하고 해歲가 철을 이기지 못한다. 대체로 사람들은 작은 일은 가벼이 보고, 큰 일이 닥친 뒤에야 흥분하여 대책에 힘쓴다. 그래서는 늘 작은 일을 잘 처리하고 있는 사람을 이겨내지 못한다. 그것은 어떤 이유 때문인가? 작은 일은 자주 닥치고, 거기에 쓰이는 날도 많아서, 그것으로 인해 쌓이는 성과는 크다. 큰 일은 드물게 닥치고, 거기에 쓰이는 날도 적어, 그것으로 인해 쌓이는 성과는 작다. 그러므로 날을 잘 쓰는 사람은 왕자王子가 되고, 철을 잘 쓰는 사람은 패자覇者가 되고, 일이 잘못된 후에야 보충하는 사람은 위태로워지고, 매우 태만히 구는 사람은 망하게 된다. 재물이나 보물은 클수록 존중되지만, 정치와 교화와 공적과 명성은 이와는 반대로 미세한 것들을 잘 쌓아 가는 사람이 빨리 그것을 성취시킨다. 시경詩經에 “덕德은 터럭과 같이 가벼우나, 사람들 중에는 그것을 잘 들어 올리는 이가 드무네.”라고 읊은 것도 이것을 뜻하는 것이다.”
작은 일부터 잘해가야 큰 공적을 이룰 수가 있다는 의미이다.
“중요한 일을 먼저 해라”는 익히 잘 알고 있는 자기계발서 들의 슬로건이다. 급하지 않고 중요한 일을 놓쳐버리면 후회하게 된다는 말을 하고 싶은 게다. 속도의 삶이 필요한 구간도 있다. 중요한 일만 하고 있을 수도 없다. 중요한 일과 작은 일은 어찌 보면 다른 이야기일수 있으나 다시 생각하면 같은 의미이기도 하다. 이제 중요하고 작은 일을 하고자 한다. 하루를 해도 재미있고 매일 해도 질리지 그런 일 말이다. 삶의 시선을 바꾸고 속도를 바꾸어서 살기로 한다. 해가 바꾸지 못하고 철이 바꾸지 못하는, 달이 바꾸지 못 하지만 하루는 바꿀 수 있는 그런 삶 말이다.
수료여행에 동행을 못한 스승은 이렇게 말씀하시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길수야! 너는 네 문제를 혼자 잘 해결하니 네가 알아서 하도록 해라”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432 |
마음을 이어주는 이야기 ![]() | 한젤리타 | 2013.04.01 | 2727 |
3431 | 고대 히타이트인들은 기록의 달인 [3] | ![]() | 2013.04.01 | 4376 |
3430 | 안타까운 죽음들 [2] | 용용^^ | 2013.03.25 | 2191 |
3429 | 너의 미궁으로 들어가라 [4] | 콩두 | 2013.03.25 | 2330 |
» | 그냥쓰기#10_삶은 진행형일까. [1] | 서연 | 2013.03.25 | 2315 |
3427 | 인간은 마음속으로 하고 싶은 것을 할 때, 가장 열정적인 모습을 보인다. [1] | 학이시습 | 2013.03.25 | 2620 |
3426 |
닥치고 실행. ![]() | 샐리올리브 | 2013.03.25 | 2576 |
3425 | 청소년에게 진로란 | 세린 | 2013.03.25 | 2880 |
3424 | 떨림으로 오는 먼 그대 | ![]() | 2013.03.25 | 1906 |
3423 | 오늘 날이 밝았다. | 레몬 | 2013.03.25 | 2393 |
3422 | 뮤즈를 만나다. | 한젤리타 | 2013.03.24 | 2499 |
3421 | Climbing - 2. 유(柔)는 강(强)을 제압한다 [1] | 書元 | 2013.03.24 | 2028 |
3420 | 니체는 "왜 살아야 하는가?"의 문제를 해결했는가? [6] | 레몬 | 2013.03.19 | 9169 |
3419 | 할머니두레반과 엄마콩나물시루 [4] | 콩두 | 2013.03.18 | 2418 |
3418 | 어느 중소 기업 사장님 과의 대화 [2] | 학이시습 | 2013.03.18 | 2841 |
3417 | 스스로가 미울 때는 떠나야 할 때 [6] | 용용^^ | 2013.03.18 | 2349 |
3416 |
꽃잎과 바람도 잠시 머물다. ![]() | 샐리올리브 | 2013.03.18 | 2335 |
3415 | 그냥쓰기#9_삼년만의 외출 [6] | 서연 | 2013.03.18 | 2401 |
3414 | 수학책을 쓰는 꿈 강사의 고민 [4] | 세린 | 2013.03.18 | 2365 |
3413 | 아내의 보물상자 [6] | 한젤리타 | 2013.03.18 | 246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