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2013년 4월 21일 23시 50분 등록

스승이 남긴 시()와 그림, 그리고 댓글

 

 

호수 위에 쓴 시()

 

 20123 24, 스승과의 첫 만남. 실제 작가의 모습을 그렇게 가까이 다가가서 본 것은 처음이었다. 충북 괴산의 산막이옛길에서 그와의 동행이 시작되었다. 앞서 걸어가는 스승의 뒷모습을 보면서 머릿속에는 박노해의 굽이 돌아가는 길을 떠올리고 있었다. 좋아하는 시를 외워오라는 그의 첫 과제였다. 빠른 길을 쫓아 살아온 나는 그 날 이후로 스승의 발자국을 따라 삶을 에돌아갔다. 그의 어깨 너머에 산과 나무가 보였고, 그 위에는 푸른 하늘, 굽은 길 아래는 커다란 호수가 나머지 여백을 채워주었다. 조금은 쌀쌀한 날씨였지만, 꽃들은 봄 햇살을 맞으며 웃고 있었다.

 

 전망대에 올라서서 호수를 내려다 보았다. 걸으면서 보았던 산이며 나무며 하늘이 호수 위에 모두 그려졌다. 조금 전까지 홀로 서 있었는데, 호수는 그 모두를 담아내고 있었다. 나무는 산과 손을 잡고, 산은 하늘과 어깨 동무를 하였다. 어디선가 바람이 불어와 물결이 일렁이자, 흔들흔들 춤까지 추었다. 뮤즈의 숨결이었을까? 그 순간, 내 안의 어휘들은 호수 위로 내려 앉아 시()를 섰다. 나는 알았다. 처음부터 고요하고, 깊고, 끊임없이 움직이면서 움직이지 않는 것처럼 보였던 호수가 바로 스승의 마음이라는 것을 말이다. 누군가의 슬픔을 아픔을 고통까지도 다 감싸 안으며 자신의 넉넉한 마음 위로 시()를 쓰게 했다.

 

 

두 아들을 위한 스승의 그림

 

2012 9 9, 선배의 결혼식에 스승은 주례를 보았다. 두 아들에게 나의 스승을 보여주기 위해 아침 일찍부터 서둘러서 결혼식에 도착했다. 지금까지 보았던 결혼 주례사와는 달랐다. 스승은 결혼에 대한 축복과 아울러 신랑 신부에게 앞으로 결혼 생활에 대한 다짐을 하게 했다. 주례를 보는 스승을 가리키며 아빠 책상 위에 꽂혀 있는 책을 쓴 작가라고 말하자, 둘째 아이가 나에게 싸인을 해달라고 졸랐다. 스승은 두 아이의 눈을 한참 동안 들여다 보더니, 종이 위에 그림을 그렸다. 아이들을 쳐다보는 스승의 얼굴에는 장난끼 많은 아이의 웃음이 가득했다. 그가 그린 그림을 받아 들고, 나는 신화 속에 등장하는 아폴로와 디오니소스를 떠올렸다. 아침 일찍 일어나 부지런을 떠는 큰 아이 지상이에게는 태양의 신 아폴로를 그려 주었고, 자유로운 영혼으로 살아가는 둘째 아이 준상이에게는 디오니소스 그림을 그려주었다.

 

지금 다시 보아도 두 아이에게 꼭 어울리는 그림이었다. 스승은 두 아이의 눈을 보며 그 아이의 영혼을 알아본 것이다. 깊고 그윽한 스승의 눈을 잊을 수 없다. 그리고 하루에도 수 없이 아폴로와 디오니소스를 오가는 나의 모습을 뒤돌아보며, 그 대립과 갈등을 조화와 균형으로 살아가라는 스승의 가르침을 다시 한 번 떠올려본다.

 

 

나의 서른 아홉을 행복과 기적으로 채워준 스승의 댓글

 

처음 연구원 생활을 하면서 주말 여행은 꿈도 꾸지 못했다. 하지만, 나는 해외 여행을 감행했고, 여행지에서 밤 늦도록 책을 읽고 글을 썼다. 터키로 떠나는 금요일 저녁, 그 주 과제는 제임스 조이스의 율리시스였다. 제임스 조이스처럼 의식의 흐름대로 글을 써내려 가서였을까? 여행 준비를 위한 의식을 내려 놓은 탓에 출국 수속을 할 때, 집에 여권을 두고 온 것을 알았다. 비행기 출발시간을 두 시간 남겨둔 상황이었다. 가족은 처갓집으로 내려가고 수원 집에는 아무도 없었다. 그 때 떠오른 것은 대학교 때 여자친구. 그녀가 마침 집 옆에 살고 있었다. 그녀는 퀵서비스를 불렀고 나는 가슴을 졸이며 기다렸다. 그 상황에서도 다음 주 과제인 단테 <신곡>은 손에서 놓지 않았다. 덕분에 비행기가 5분 늦게 출발했지만, 무사히 터키여행을 다녀왔다. 그 내용을 칼럼으로 올리자, 스승은 댓글을 달았다.

 

너는 자석이구나무수한 재미부스러기들이 마구 달라 붙는구나. ㅋㅋㅋ

변경연에 와서 재미있고 즐거운 일로 가득합니다. 그리고행운까지 달라 붙어서 너무 행복합니다. 스승님, 감사합니다.” 

 

 

두 번째 기억에 남은 댓글은 클레임처리를 위해 고객을 방문했던 내용이었다. 그녀는 앞을 못 보는 장님이었다. 보이지 않는 순간의 움직임까지 잡아내려는 그녀의 모습을 보면서 문득 호메로스를 떠올렸다. <일리아스>, <오디세이아>의 영웅 신화를 썼던 그도 역시 앞을 보지 못했다. 나는 칼럼을 쓰는 동안, 잠시 눈을 감고 호메로스에게 떠올렸다. 어둠 속에서 호메로스는 나에게 말했다. "너의 이야기를 나에게 끝까지 들려주면, 너에게 너의 영웅 신화를 선물로 주겠다"

 

나도 모르는 나를 찾아간다. 그것은 어쩌면 비극일지도 모른다여행이 내면을 향하면 눈은 소용없다오이디푸스를 봐라제 눈을 뽑아냄으로 비극의 끝에 이르고, 그의 발은 땅에 닿는다비로소 내가 보인다. 그리하여 그의 남루한 육신은 콜로노스에서 성화한다. 그는 구원 받은 것이다.”

 

빛이라는 믿음은 시선을 자신의 내면으로 돌릴 때 확인된다고 스승은 말했다. 스스로 밝음을 더 할 수 있다는 긍정은 매일의 삶을 축복으로 이끈다고 말했다. 그 빛으로 나를 발견하고 변화시켜 간다면 새로운 삶을 얻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스승인 남긴 댓글은 나의 첫 책을 위한 지침이었다. 수없이 방황하며 글에 중심을 잡지 못하고 있을 때, 스승은 따뜻한 격려와 함께 다시 한 번 부지깽이가 되어 주었다.

 

쉬운 교훈과 위로를 빼고 삶의 다양한 시선을 주어 네 책이 삶에 기여하게 해라. ‘꾸베씨의 행복 여행’도 좋은 모델이다. 구성을 면밀히 연구하여 너에 맞게 변용하도록 해라조각을 잇지 말고, 전체가 하나의 책으로 통하게 해라분리된 단편의 구도가 아니라 이어진 장편의 유기적 구도를 갖게 해봐라.”

 

연구원 2년차. 이제는 넓은 바다로 향해 닻을 올려야 한다. 비록 스승은 떠나고 없지만, 그의 영혼은 내 안에 다시 부활하여 언제나 나와 함께 있다. 글을 쓰다가 막히면 그와 함께 마주 앉아 대화를 나눌 것이며, 그를 향한 그리움은 더욱 더 나를 성장시켜 나갈 것이다.

 

 

 

봄 길

 

정호승

 

 

길이 끝나는 곳에서도

길이 있다.

길이 끝나는 곳에서도

길이 되는 사람이 있다.

스스로 봄길이 되어

끝없이 걸어가는 사람이 있다.

강물은 흐르다가 멈추고

새들은 날아가 돌아오지 않고

하늘과 땅 사이의 모든 꽃잎은 흩어져도

보라

사랑이 끝난 곳에서도

사랑으로 남아 있는 사람이 있다

스스로 사랑이 되어

한없이 봄길을 걸어가는 사람이 있다.

 

 

IP *.33.18.163

프로필 이미지
2013.04.22 13:38:05 *.216.38.13

참, 정감이 가는 글입니다.

마지막의 정호승의 시가 참 마음에 와닿습니다.

특별한 인연을 특별하게 만드는 행복을 지니셨습니다.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3.04.22 17:30:11 *.229.250.5

감사합니다. 선배님~^^

저도 '봄길'을 읽으면서 한참동안 서성거렸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3.04.22 22:40:48 *.68.54.72

오늘 시를 학생들에게 읽어주었네요.

좋은 시 감상할 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스스로 사랑이 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요?

프로필 이미지
2013.04.23 06:02:36 *.33.18.163

스승은 만나고 떠날때마다 우리를 꼭 안아주셨습니다.

마지막 순간에도 변함이 없으셨습니다.

우리가 무엇으로 살아가야 하는지 

스스로 사랑이 되어 알려주셨습니다.  

 

햇빛처럼님, 다시 한 번 스승에 대한 사랑을 음미하게

해줘서 감사드립니다. 늘 사랑이 충만하세요~^^

 

프로필 이미지
2013.04.25 10:16:39 *.43.131.14

저 시 손으로 써서 주머니에 넣고 오늘 소리내어 읽어봐야겠네요.

한젤리타의 두 아들, 어떤 멋진 사나이들이 될 지 기대가 됩니다.

한젤리타의 여행은 계속 될거라고 믿는 1인^^

프로필 이미지
2013.04.25 10:48:44 *.229.250.5

스승님이 느낀대로 멋진 나무로 성장할 거예요. 

저는 스승의 가르침대로 나무 아래 똥과 거름이 되어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는 아빠가 되겠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3.04.25 19:25:50 *.30.254.29

좋은 글과

아름다운 시입니다.

감사합니다. 잘 읽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3.04.26 06:05:14 *.33.18.163

감사합니다. 선배님~^^

계속해서 이어가도록 하겠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3.04.26 11:21:13 *.209.202.142

좋은 시 잘 읽었어요.

승욱씨의 마음과 오버랩되어 울림이 크네요.

 

계속  온갖 이야기가 와서 달라붙는 자석으로 살아가기를!

프로필 이미지
2013.04.28 21:51:47 *.33.18.163

선배님의 댓글이 꼭 스승님의 댓글처럼 가슴에 자석처럼 와 닿습니다.

무수한 이야기들을 끌어들이고 풀어낼 수 있는 자석이 되겠습니다.

그렇게 부지런한 자석이 되어 저의 길을 가도록 하겠습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2 니체와 살로메의 짧은사랑 [8] id: 깔리여신 2012.10.21 5845
231 칼럼 29 - Amor fati , 너의 운명을 사랑하라 [3] 범해 좌경숙 2009.11.02 5846
230 어제보다 나은 식당(9) - 대박식당 엿보기 2 박노진 2006.06.10 5861
229 졸업여행 후기 [3] 왕참치 2015.03.31 5868
228 노동과 경영 연재7회 - 블루칼라의 종말 박노진 2006.02.20 5876
227 3-8. 미세수정 이러쿵저러쿵 [4] 콩두 2014.06.03 5884
226 [사자#7] 비틀즈 사례연구 - 첫번째 성공요인은 '좋은 음악' 희산 2009.11.30 5891
225 < 박제가 되어 버린 천재 - 애드거 앨런 포우 > 5. file [6] 정재엽 2010.05.08 5900
224 직장의 미래 모습 박노진 2005.10.28 5904
223 [36] 윤리경영과 개인의 윤리의식 정산 2009.02.03 5906
222 어제보다 나은 식당(27) - 단체손님을 받아야 돈이 되지 박노진 2006.07.04 5909
221 [11] 우즈베키스탄 입국기 [9] 정산 2008.06.23 5910
» 스승이 남긴 시(詩)와 그림, 그리고 댓글 file [10] 한젤리타 2013.04.21 5920
219 어제보다 나은 식당(21) - 이것이 경쟁력이다(인터뷰 분석) 박노진 2006.06.26 5932
218 어떤 '여가'를 보내셨는지요? 유형선 2014.03.10 5934
217 집으로 가는 길 file 콩두 2012.12.17 5939
216 -->[re]내가 쓰고 싶은 첫 번째 책 file 강미영 2006.05.24 5942
215 [스몰비즈 마케팅 사례] 9. 먹을 수 있는 세제, 슈가버블 file [1] 오세나 2009.10.13 5983
214 No 46. 몰래한 사랑(2)- 19금 file [9] 미스테리 2014.03.18 5987
213 고수와 하수 _찰나 칼럼 #15 [10] 찰나 2014.07.21 6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