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효인
  • 조회 수 1877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13년 9월 12일 11시 09분 등록


내 안의 신화적 공간

 

영화 매트릭스Matrix’에서 삶을 움직여가는 것은 질문question’이라 한다. 질문은 답을 갈망한다. 물론 질문을 던지는 것 자체로 만족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마음에 품은 질문은 답을 요구하기 마련이다.

 

내 삶을 움직여가는 질문question은 무엇인가?”

질문을 던진다는 것은 채워지지 않는 공간이 있다는 것이다.

질문을 던진다는 것은 올챙이가 개구리가 되는 것처럼 성장을 향한 움직임이다.

자기의 운명을 발견하고 완수하고 싶은 한 인간의 소리 없는 아우성이다.

 

영화 매트릭스에서 네오는 매트릭스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품고 답을 찾기 시작한다.

답을 찾는 과정에서 네오는 진실의 사막에 이르게 되고 매트릭스가 무엇인지 알게 된다.

영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서 앨리스는 나비넥타이를 한 토끼를 보고 궁금해 한다. 토끼를 뒤쫓아 간다. 토끼가 들어간 구멍을 들여다 보다 심연의 구멍으로 빠지게 되고 새로운 모험을 시작하게 된다. 이처럼 질문을 던진다는 것은 익숙한 것들에 의문을 품는 것이며 더 나아가 새로운 것을 향한 호기심의 탄생과 새로운 모험의 시작을 의미한다.

 

내 삶을 움직여가는 질문은 무엇인가?”

 

우리 삶을 움직여가는 근본적인 질문은 무엇보다도 자기에 대한 앎일 것이다.

 

나는 누구인가?”

누구의 딸이며, 엄마이며, 아내인 것이 나인가?

직업이 무엇이며, 직위가 무엇이며, 취미가 무엇인 것이 나인가?

사는 곳은 어디며 무슨 집에 살고 가족이 몇인가가 나인가?

과거에 이룬 성취들과 미래에 이룰 성취들이 나인가?

 

우린 자신이 누구인지를 알기 위해 일차적으로 사회적 관계 속에서 실마리를 찾는다. 하지만 로빈손 크루소처럼 무인도에 홀로 살고 있다면 그대는 누구란 말인가?

 

사회적 관계에서 본 나는 일종의 과거의 기억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살아오면서 만들어진 과거의 기억들은 마치 자궁의 모태처럼 작용한다. 과거의 기억에 연결되어 내가 누구인지 아는 것이 나의 전부를 말해주는 것일까?

 

나에 대한 앎이 과거로부터 만들어진 의미의 지평에서만 찾을 수 있는 것일까?

지금까지 내 삶에 의미를 부여해왔던, 나를 붙들고 있던 정신적 탯줄을 잘라버린다면 내가 서 있는 발밑에서부터 지반이 무너져 내려 지하 깊은 곳으로 추락하며 자신을 잃어버릴 것이다.

 

중년은 지금까지 의지했던 닫힌 의미 속 탯줄을 자르고 열린 의미 속 탯줄에 연결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사회적 관계 속에서 바라본 자신에 대한 조망은 과거에서 만들어진 닫힌 의미의 지평에 연결되어 있다. 지금까지 나에 조망은 과거의 무덤에 탯줄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닫힌 의미의 지평은 오해들과 잘못된 동일시들의 그물망이다. 과거의 무덤에 연결된 탯줄의 끊어짐이 바로 정신적 죽음이다. 사회적 상징의 그물망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메트릭스3편에서 네오와 트리니티가 기계들의 도시에서 하늘에 낀 먹구름을 벗어 낫을 때 바라보게 되는 찬란한 하늘! 트루먼 쇼에서 그림으로 그려진 수평선을 사다리타고 올라가 문을 열고 인사하는 장면! 사냥꾼의 올무에서 새가 벗어나는 것처럼!

 

내 안의 신화적 공간은 바로 닫힌 의미의 지평에서 열린 의미의 지평으로 거듭나기 위한 모태적 공간이다.

 

 

 

IP *.249.254.110

프로필 이미지
2013.09.12 12:51:15 *.12.2.67

나도 좋은 질문을 할 수 었으면 좋겠어. 그리고 멋지게 답을 달고.

선지자들은 좋은 질문을 하고 그 답을 하기 위해 깊이 사유하고 통찰을 얻더라고. 질문없이 살아온, 그래서 좋은 질문을 할 줄 모르는 나이기에 그런 능력을 가지고 싶은거 있지.

오라버니의 질문에도 답하려면 내 안으로 들어가봐야 겠어. 깊이 깊이.

 

참, 근데 오빠, 신화에서 여인의 변화를 다루겠다고 하지 않았어?

잔뜩 기대하고 있었는데....

프로필 이미지
2013.09.18 09:56:58 *.153.23.18

<!--[if !supportEmptyParas]--> <!--[endif]-->--->이런 게 보여서 읽기가 불편해요.

이거 좀 없애주세요.  

 

신화적 공간이 자궁이 될 수 있다구요? 흥미로와요.

내게 있는 커다란 질문은 "밑이 뚫린 항아리에 어떻게 물을 채울 수 있을까?" 입니다.

 

나를 향해 풍부한 질문을 던지게 하는 글 잘 읽었습니다.

 

추석 잘 보내시구요.^^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52 #16. 김기덕과 그림자 [4] 땟쑤나무 2013.09.02 1814
1551 '내 속의 나'와 벌이는 숨바꼭질 [4] 유형선 2013.09.02 4516
1550 삶은 세상에 대한 적극적인 해석 [4] 오미경 2013.09.02 2087
1549 [No.5-1] 엄마, 엄마, 엄마? 엄마 아니야...-9기 서은경. file [10] 서은경 2013.09.02 2344
1548 #3_가치투자? 나는 개뿔이라고 생각한다. [2] 서연 2013.09.03 3955
1547 변화는 나의 벗 file [1] 효인 2013.09.05 2115
1546 맞다. 우리 집에는 뒤 안이 있었다. [1] 정야 2013.09.05 2338
1545 방문판매 세일즈 - 1. TAXI 법칙을 기억하라 [1] 書元 2013.09.08 1993
1544 #17. 구선생님의 서재에서 할머니가 떠올랐다. [2] 쭌영 2013.09.09 2109
1543 #4_고통 바라보기 [1] 서연 2013.09.09 2078
1542 #17. 인생이란 이름의 퍼즐맞추기 [2] 땟쑤나무 2013.09.09 2019
1541 낙타의 노래 [4] 유형선 2013.09.09 2242
1540 [9월 2주차] 과거를 회상하다... [5] 라비나비 2013.09.09 2024
1539 몸이 영혼이다. [4] 오미경 2013.09.09 1922
1538 활력있는 삶 [2] 최재용 2013.09.09 2110
1537 [No.5-2] 엄마 보다 세상- 호기심과 모험심.-9기 서은경. [3] 서은경 2013.09.09 2283
1536 #5_경제기사 읽는 코드 [1] 서연 2013.09.10 2047
1535 모든 아이들은 가정을 가질 권리가 있다 [1] 단경(旦京) 2013.09.11 2432
1534 [날팸] 쓸쓸한 가을밤, 사부를 그리다 [4] 땟쑤나무 2013.09.12 1900
» 신화적 공간 [2] 효인 2013.09.12 18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