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효우
- 조회 수 3568
- 댓글 수 1
- 추천 수 0
그는 배우기를 좋아하는 사람인지라 직장생활을 하면서도 이미 두 개의 학위를 획득했으며 그가 오랫동안 꿈꾸었던 시인이 되기 위해 문학공부를 시작했던 터였습니다.
쉰이 훨씬 넘은 나이에 시<詩> 공부를 시작한 그는, 그토록 그가 기다려왔던 명망 있는 교수님 앞에서 그가 애써 다듬어간 시<詩>를 낭독했고 잔뜩 긴장한 채 교수님의 말씀을 기다렸습니다.
이윽고 말문을 연 교수는 그에게 ‘연과 행만 나누면 시<詩> 인 것처럼 보이나 이것은 시가 아니다’라고 했습니다. 이제껏 이날만을 기다려 왔던, 그에게 그 말은 심한 좌절을 안겨 주었습니다. 몹시 상심한 그는 그날부터 힘겹게 한 줄을 써서 모니터에 띄워 놓고 ‘이글은 과연 시인가?’ 라고 들여다보게 될 뿐, 그동안 줄기차게 마음속에 일어나던 파문을 글로 쓰던 작업을 더 이상 하지 못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그를 보며 문득 파트리크 쥐스킨트의 소설, 『깊이에의 강요』에 등장하는, 작품에 깊이가 없다는 평론가의 말에 작품의 깊이를 고민하다 급기야 죽고 마는 여류화가가 떠올랐습니다. 그런데 정작 여류화가가 죽고 나자 그 평론가는 깊이 있는 작품을 작업하던 작가가 죽었다고 논평합니다. 쥐스킨트의 이 작품은 '아이러니'의 대표성을 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시<詩>를 사전적으로 살펴보면 ‘문학의 한 장르, 자연이나 인생에 대하여 일어나는 감흥과 사상 따위를 함축적이고 운율적인 언어로 표현한 글이다’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비판에도 대안이 있어야 하듯 가르침에도 대안이 있어야 합니다. 학습자가 거절당하는 것 같은 느낌이 아닌 ‘형식을 가르쳐 주려는 애정이 담긴 피드백’이 있어야 하고 학습자는 또 교수자의 그 '전달하려는 마음을 알아듣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 학습자나 교수자에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한 번에 한 걸음씩 앞으로 나간다는 것을 기억하는 것이겠지요.
어느덧 시월인 지금, 입을 열어 시월이라고 읇조려 보시지요. 그리고 마음에서 일어나는 오늘의 감흥대로 시를 읊어 보는 건 어떠실지요. 그리하여 오감을 깨우는 감흥이 인다면 바로 그것이 시<詩>가 아니고 무엇이겠는지요.
창조성은 바로 거기서 시작되는 것이지요. 존중받은 한 줄의 마음 구절, 시<詩>에서 말입니다.
http://cafe.naver.com/east47/20054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36 | 가시 | 김미영 | 2013.08.29 | 3210 |
335 | 범해 1. 아버지의 여행가방 [6] | 범해 좌경숙 | 2013.09.01 | 3365 |
334 | 토크 No.19 - 임원의 자격 | 재키제동 | 2013.09.02 | 8596 |
333 | 버드나무가지 말고는 아무도 슬퍼하지 않았던 그때 [1] | 효우 | 2013.09.04 | 3364 |
332 | 비교를 한다는 건, 건강하다는 증거다 | 김미영 | 2013.09.05 | 5964 |
331 | 범해 2. 한 줄도 너무 길다 [4] | 범해 좌경숙 | 2013.09.08 | 4070 |
330 | 토크 No.20 - 경력계발의 정석 [2] | 재키제동 | 2013.09.09 | 3473 |
329 |
마지막 편지 ![]() | 효우 | 2013.09.11 | 3161 |
328 | 몰입과 쾌락의 상관관계 | 김미영 | 2013.09.12 | 3407 |
327 | 범해 3 . 나는 지금 웰다잉 중이다 [4] | 범해 좌경숙 | 2013.09.15 | 5775 |
326 | 토크 No.21 - 쥐꼬리 월급으로 풍요롭게 사는 법 | 재키제동 | 2013.09.16 | 3751 |
325 | 예서/ 망운지정 『望雲之情』 | 효우 | 2013.09.18 | 3886 |
324 | 범해 4. 당신의 마지막 소원은 무엇입니까? [2] | 범해 좌경숙 | 2013.09.22 | 3534 |
323 | 토크 No.22 - '나'라는 퍼즐이 풀리는 순간 | 재키제동 | 2013.09.23 | 3777 |
322 | 예서/ 타자의 다름 | 효우 | 2013.09.25 | 3350 |
321 | 투명인간 | 김미영 | 2013.09.26 | 3242 |
320 | 범해 5. 책과 밤을 함께주신 신의 아이러니 [2] | 범해 좌경숙 | 2013.09.29 | 3766 |
» | 예서/ 깊이에의 강요 [1] | 효우 | 2013.10.02 | 3568 |
318 | 가을 [4] | 김미영 | 2013.10.03 | 3198 |
317 | 범해 6. 제주 올레 14-1 코스 [4] | 범해 좌경숙 | 2013.10.06 | 328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