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단군의

/

2단계,

두

  • 조이
  • 조회 수 1943
  • 댓글 수 10
  • 추천 수 0
2013년 10월 12일 22시 26분 등록

제가 좋아하는 사자성어 : 마부작침(磨斧作針) 의 유래 소개합니다.

마[磨 갈 마]   부[斧 도끼 부]    작[作 만들 작]    침[針 바늘 침]
 
도끼를 갈아서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아무리 힘들고 어려운 일이라도 끈기 있게 매달리면 반드시 이룬다는 의미!


당나라의 대표적 시인의 한사람으로 이백(李白)이 있다.
자는 태백(太白)으로 그는 아버지의 임지인 촉(蜀)나라 땅의 성도(成都)에서 자랐다.
5살때 성도(成都)로 가서 자란 이백(李白)은 10세때 어른을 능가하는 글솜씨를 보여 특출한 재능을 보여주었다.
그의 아버지는 그에게 훌륭한 스승을 찾아 주어 상의산(象宜山)에 들어가 학문에 정진하게 했다.
그의 특출한 재능 덕분인가 그는 곧 따분해지기 시작했다.
산생활도 그렇고, 학문도 더 정진함이 없는것 같았다. 
그래서 그는 집으로 돌아오기로 결심하고 산을 내려오고있었다.
한참을 내려오다 시냇가에 이르렀을때 한 노파가 물가에 앉아서 바윗돌에 도끼를 갈고 있는것을 보고 의아해했다.
"왜 바윗돌에다가 도끼를 갈고 있을까?" 혼자 생각을 하다가 노파 곁으로 가서 물어봤다.
 "할머니 왜 바위에다가 도끼를 갈고 계세요?"  "응, 바늘을 만들려고."
노인의 대답에 어이가 없어진 이백(李白)은 할머니에게 반문했다.
"이렇게 큰 도끼가 바위에 간다고 바늘이 되나요?"
"그럼, 되고 말고, 중간에 그만두지만 않는다면 ..."
이백(李白)은 할머니의 그 말에 큰 충격을 받았다.
"그렇다, 중간에 그만 두지만 않는다면 가능한 일이다.
"노력해서 안될일이 어디있는가? 시작도 해보지 않는것이 문제이지. 그보다 더 문제인것은 중간에 포기하는것이다"
이백(李白)은 노파에게 큰 절을 올리고 다시 산으로 올라가서 학문에 더욱 정진하기 시작했다.
그의 마음이 해이해지려면 그 도끼를 갈던 노인을 생각하며, 마음을 다잡곤 했다.


이에서 유래된 말이 마부작침(磨斧作針)이다.

IP *.117.158.86

프로필 이미지
2013.10.13 04:16:24 *.62.172.122

출첵

프로필 이미지
2013.10.13 04:25:03 *.179.252.52

출석!

 

프로필 이미지
에움길~
2013.10.13 04:27:13 *.226.213.168
출석!
프로필 이미지
2013.10.13 04:34:36 *.179.252.52

출석^^

프로필 이미지
2013.10.13 04:50:35 *.223.2.135

출석

프로필 이미지
2013.10.13 04:53:44 *.53.125.18

출석

프로필 이미지
2013.10.13 05:16:33 *.219.47.149
출석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3.10.13 05:19:40 *.62.172.24

출석

프로필 이미지
2013.10.13 05:29:04 *.192.237.135
출첵
프로필 이미지
2013.10.13 06:07:29 *.209.167.208

출석합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9 [단군 10기-천복부족 1차 세미나 안내] 참석여부 댓글 부탁 ^^ file [10] 병진 2013.10.08 2883
448 [단군10기_천복부족_031일차_10월9일(수)] [10] 조이 2013.10.08 2483
447 [단군10기_천복부족_032일차_10월10일(목)] [13] 조이 2013.10.09 2132
446 [단군10기_천복부족_033일차_10월11일(금)] [10] 조이 2013.10.10 1870
445 [단군10기_천복부족_034일차_10월12일(토)] file [11] 조이 2013.10.11 2243
444 [단군10기_천복부족_출석부] 4주차 file 병진 2013.10.12 2121
» [단군10기_천복부족_035일차_10월13일(일)] [10] 조이 2013.10.12 1943
442 [단군10기_천복부족_36일차] 10월 14일 [11] blithesmile 2013.10.13 2053
441 [단군10기_천복부족_37일차] 10월 15일 [12] blithesmile 2013.10.14 2237
440 [단군10기_천복부족_38일차] 10월 16일 [9] blithesmile 2013.10.16 2276
439 [단군10기_천복부족_39일차] 10월 17일 [10] blithesmile 2013.10.17 2193
438 [단군10기_천복부족_40일차] 10월 18일 [13] blithesmile 2013.10.17 2177
437 [단군10기_천복부족_41일치] 10월 19일 [9] blithesmile 2013.10.19 2423
436 [단군10기_천복부족_출석부] 5주차 file 병진 2013.10.19 2204
435 [단군10기_천복부족_42일차] 10월 20일 [7] blithesmile 2013.10.20 2360
434 [단군 10기_천복부족_43일차]10월 21일 [10] neo 2013.10.20 2265
433 [단군 10기_천복부족_44일차]10월 22일 [12] neo 2013.10.21 3285
432 [단군 10기_천복부족_45일차]10월 23일 [12] neo 2013.10.22 2204
431 [단군 10기_천복부족_46일차]10월 24일 [13] neo 2013.10.23 2230
430 [단군 10기_천복부족_47일차]10월 25일 [10] neo 2013.10.24 20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