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김용규
  • 조회 수 2854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3년 12월 5일 00시 24분 등록

 

 

얼마 전 한 기업의 신입사원들을 만났습니다. 좁은 취업의 문을 열고 들어온 그들을 나는 진심으로 축하했습니다. 문 밖은 춥고 그곳에는 아직도 넘쳐나는 청년 백수들이 서성이고 있는데, 그동안 갈고 닦은 열쇠를 저 문의 열쇠에 찔러 넣고 돌려 문을 열었고, 그 결과 이렇게 따뜻한 공간의 한 자리에 앉아 있을 수 있게 되었으니 기꺼이 축하받고 기뻐할 일이라며 진심으로 축하를 건넸습니다.

 

하지만 나는 그들에게 한편 이 시대에 운이 참 좋은 청년들이라고 언급하며 강의를 시작했습니다. 문 밖을 서성이는 사람들 중에도 회사의 문을 여는 데 필요한 비슷비슷한 열쇠를 가진 사람들이 참 많은데, 그대들이 찔러 넣은 열쇠에 때마침 문이 열린 행운인지도 모른다는 이야기를 한 것이었습니다. 언짢아 할 줄 알았는데 의외로 상당히 많은 청년들이 공감을 표시하며 고개를 끄덕였습니다. 참 착하고 겸손한 청년들이었습니다.

 

또한 앞으로 직장인들에게는 십몇 년 동안 갈고 닦아 마침 문을 열고 들어설 수 있었던 그 열쇠의 유효기간이 그리 길지 않을 것이라는 이야기도 해주었습니다. 특히 첨단 기술의 영역에 기반한 회사이니 새로움을 따라잡지 못하는 열쇠는 언제든 새로운 문을 열지 못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그러니 이제부터 제대로 공부를 시작하라고 권해주었습니다. 선생님이나 세상이 제시한 보기 중에서 답을 잘 고르는 것이 실력으로 인정받는 시간은 입사와 함께 종말을 맞았으니 보기 밖에서 답을 찾을 수도 있어야 하고, 나아가 스스로 문제를 내고 스스로 문제를 풀어낼 수 있을 만큼 성장하는 시간을 만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했습니다.

 

특히 철학을 잊은 시간을 보내온 청춘이라면 철학을 세우는 작업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철학을 공부하고, 철학을 하다보면 분노가 커질 것이라고 일러주었습니다. 그간은 저 문을 열어야 한다는 절박감에 철학을 잊고 자연스레 분노마저 잊은 시간을 살아온 청춘이라면 이제 스스로 마주하는 중요한 사안들에 대해 틈나는 대로 궁극적 질문을 던지고 궁극적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꼭 거치라 보탰습니다. ‘직장이란 무엇인가? 사랑은 무엇이고, 일은 또 무엇인가? 부모는? 배우자는? 돈은? 행복은? 그리고 삶은 정말 무엇이란 말인가? ...’

 

이런 말도 덧붙여 주었습니다. ‘나는 청춘의 시절에 분노가 컸었다. 그런데 이 시대의 청춘은 분노를 잊고 사는 것 같다. 88만원 세대라고 명명되고 있는 청춘의 자화상이 어디에서 비롯된 것인지를 고민하기 보다는, 오직 그것을 불변의 조건으로 받아들이고 취업의 문을 열 열쇠 하나를 갖는 일에 크게 몰두하고 있다는 인상을 지울 수가 없다. 운 좋게 문을 열고 안온한 자리 하나를 얻은 자신을 다행으로 여기는 청춘이 많아지는 세상은 그리 희망적이지 않다. 직업정신이나 청년정신, 나아가 시대정신은 무엇으로 대치되고 있는가? 유효기간이 그리 길지 않은 열쇠 하나 가진 지금이 지나고 그때서야 분노를 품는다면 그건 너무 늦을 것이다. 무서운 무기력감과 다행감만이 재생산되는 세상은 얼마나 절망적인 세상인가? 그러니 이제 분노가 일고, 그 분노가 정신으로 승화될 수 있도록 수련하는 시간을 가져야 하지 않겠는가!’

 

그날은 청년들에게 쓴 소리를 했지만 돌아보니 실은 나 역시 한 동안 분노를 잊은 시간을 보내온 아저씨로 살았구나 반성하는 하루였던 것 같습니다.

IP *.20.202.74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76 저 꽃이 선(善)이요 진(眞)이며 미(美)인 까닭 김용규 2016.05.26 1255
1875 쉰여섯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네번째 토크쇼 재키제동 2016.05.27 1420
1874 중년 부부 사랑 재생법, 5편(마지막) 차칸양(양재우) 2016.05.27 1901
1873 마흔아홉, 내가 있습니다 書元 2016.05.28 1449
1872 사진이랑 많이 다르네요 연지원 2016.05.30 1426
1871 '저축의 패러독스', O or X? file 차칸양(양재우) 2016.05.31 1405
1870 사라지는걸 인정하면 엄한데 힘주고살지 않는다 한 명석 2016.06.01 3623
1869 내가 제수리재에 서는 날은 김용규 2016.06.02 1460
1868 쉰일곱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책임 재키제동 2016.06.03 1590
1867 마음의 전쟁을 그치려면 로이스(旦京) 2016.06.06 1351
1866 에곤 실레의 이루지 못한 꿈, <가족> file 차칸양(양재우) 2016.06.07 4266
1865 그냥 행복한것과 책을 써서 행복한것 한 명석 2016.06.09 1145
1864 절박한 놈들의 향기 김용규 2016.06.10 1245
1863 쉰여덟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좋아하는 일 [2] 재키제동 2016.06.10 1456
1862 마흔아홉,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 書元 2016.06.10 1319
1861 멋진 글쟁이, 좋은 사람 연지원 2016.06.13 1244
1860 사상 최저 기준금리 인하 조치, 어떻게 봐야 할까요? [2] 차칸양(양재우) 2016.06.14 1201
1859 삶은 어디에 있는가? 한 명석 2016.06.15 1347
1858 쉰아홉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혼자 있는 시간 재키제동 2016.06.17 1682
1857 생고생을 많이 하면 할수록 인생이 드라마틱해진다 차칸양(양재우) 2016.06.21 1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