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연지원
  • 조회 수 1382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5년 8월 24일 14시 05분 등록

 

[짧은 소설] 목요일 밤, 시민대학에서는 수업이 한창 진행되고 있었다. 강연자인 김 교수는 섬세하고 유능했다. 청중의 반응을 포착할 줄도 알고, 포착한 반응에 어찌 대처해야 하는지도 체험으로 터득한 베테랑 교육자였다. 연구에도 성실하여 강연 내용에 대한 전문성은 모두가 인정했다. 12명의 청중들은 하나같이 열렬히 경청했다. 은영은 가장 적극적으로 호응하며 강연의 흐름에 동참한 청중이다. 그녀가 고개를 끄덕일 때마다 교수는 흥을 얻었다. 청중의 적극적 참여가 선생의 열정을 이끌어냈다.

 

김 교수는 기분 좋게 흥분했다. 은영을 위시한 청중들이 열렬히 배우려는 이들이라 판단했다. 평소에는 청중의 수용력이 어떠한지를 가늠하는 센서를 켜 두고 강연했지만 이 날은 센서가 필요 없었다. 편안하게 열강을 토해냈다. 평소의 생각도 내놓았다. “여러분 강연은 일종의 환상을 줍니다. 뭔가 성장한다는 느낌을 주지만 해당 텍스트를 읽지 않고 강연만 듣는다고 해서 지력이 성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은영은 여전히 고개를 끄덕였다. 강연이 끝났고 은영은 김 교수에게 고맙다는 인사를 전하고 강의실을 떠났다. 지하철역으로 내려가는 중에 남자친구에게서 전화가 왔다.

 

강연? 그저 그랬어. 초반에는 좋았는데 후반부로 가면서 어려워졌어. 내가 반응이 좀 좋잖아. 초반에 크게 반응했더니 교수님이 나를 자주 쳐다보셔서 끝까지 반응하느라 혼났네. 어떤 말은 기분도 좀 나빴고. 그래도 나름 좋았어.” 은영은 서울 도심의 이곳저곳을 관통하는 12개의 지하철 중 두 개의 호선을 갈아탔다. 서울은 길 위로 수많은 사람들이 지나다니는데, 지하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지하철역의 모습은 비슷한데, 도착하는 지역은 사람마다 달랐다. 이 날 강연에 참석했던 K는 방화역에 도착했다. 그에게 김 교수의 강연은 고민 해결에 실마리가 되어 준 하나의 빛이었다. 은영도 비슷한 시각에 7호선 내방역에 내려 자기만의 세계로 걸어 들어갔다. ()

IP *.162.189.177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16 길은 묻지 않는다 [1] 장재용 2021.08.24 1383
2715 [화요편지]통찰은 어떻게 일상이 되는가? [2] 아난다 2021.08.31 1384
2714 [월요편지 30] 도미노 효과, 성공이 쌓이는 비밀 file 습관의 완성 2020.10.18 1385
2713 [용기충전소] 커밍아웃; 나는 000입니다 [4] 김글리 2020.10.23 1385
2712 다 사는 것 [1] 장재용 2021.11.09 1386
2711 다섯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마켓 file 재키제동 2015.05.29 1387
2710 첨단의 변증법 [2] 장재용 2021.04.27 1388
2709 가슴 철렁하게 부러운 한 명석 2016.01.06 1389
2708 이 아이를 어쩌면 좋을까요? 김용규 2016.01.21 1390
2707 온 더 로드 file 한 명석 2015.09.09 1392
2706 소유하지 않고 향유하기(제주에서의 실험) ) file 한 명석 2017.01.25 1392
2705 [화요편지]세상에서 가장 친절하고 부드러운 혁명 아난다 2021.08.17 1393
2704 마흔아홉, 생긴 대로 살기 5 [1] 書元 2016.03.03 1394
2703 [수요편지] 인턴이라는 야만 [3] 장재용 2019.02.27 1394
2702 전입신고 어니언 2021.07.15 1394
2701 [용기충전소] 잡초에게 배우는 생의 전략 김글리 2021.08.27 1394
2700 관광객 말고 여행자로 살기 김용규 2015.11.19 1395
2699 [목요편지] 세계관 최고 훈남의 조건 [1] 어니언 2021.01.28 1395
2698 [화요편지] 가난한 부모의 돈걱정 모르는 아이 file 아난다 2020.06.02 1396
2697 나이만 먹은 어른들 연지원 2016.10.03 13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