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써니
  • 조회 수 2797
  • 댓글 수 6
  • 추천 수 0
2007년 7월 31일 11시 11분 등록
그때 <그냥>이라는 전화를 받았었다. 왜? “그냥....... .”
<그냥>이라고 했다. 그래, 그랬다. 나 역시도 그렇게 그냥 걸고 싶었을지 모른다. 그러나 너이기에 나에게 그래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다. 그냥? 그냥이라니? 말꼬리를 올리며 화를 내고 싶었을 것이다. 물론 그럴 기분도 아니고 기운도 없었지만, 미련이란 참으로 속절없는 기대가 아니던가.

<그냥>이라는 이유에 대해 생각해본다. 그때에 분명 오만가지 이유가 있었을 것이다. 차라리 말하기조차 싫을 만큼의 갖가지 상처가 분명 있었다. 그렇게 오장육부를 뒤틀면서 더 이상의 생채기가 서로에게 아무 가치가 없으며, 그렇게 한들 무슨 소용이 있을까를 오래 고민한 끝에 내린 離別이었다. 그런데, 그렇게 모질게 돌아선 후 걸려온 전화는 떨렁 <그냥>이라는 외마디 단어였다. 어처구니가 없었다.

장난해? “아니.”....... . 마치 폰팅이나 하듯, 수면을 위한 캔 맥주를 찾듯, 오만과 비소를 곁들인, 그러나 조금은 믿기지 않는 듯 덤덤하면서도 갈팡질팡 엇갈리는 침묵을 남기며....... .
그래, 그랬을지도 모르겠구나. 왜 여태 이 생각이 떠오르지 않았을까.
자유로움과 속박 사이에서 신나게 잣대를 굴리고 있었을지도 모르겠네. 계륵鷄肋같이 마땅찮아 스스로가 뱉어버린, 퍼드러지고 널브러진 하찮은 먹잇감을 다시 물어 삼키고 싶지 않으셨겠지.
더 새롭고 폭신한 앞 가슴살, 쫄깃하며 부드러운 날개, 어쩌면 목살마저도 감미로웠을지 모르지. 새로움에 대한 동경으로 날이 새고, 우습다던 닭발까지도 정신없이 기어들어 핥았을 테니까.

그래, 좋아. 그렇게 한 세월 흘렀지.
너 그렇게, 나 이렇게.
그런데....... 뭐? 뭐라고?
오랜 세월 지나 널 닮은 바람 같은 어느 나그네의 한마디. <아무런 이유가 없다>고 하네.

<아무것도 아닌>, <아무런 이유가 없다>는 어쩌면 너조차 모를 이유 앞에 맞닥뜨리며, 한동안 애써 잊으려 달래 온 그놈의 협심증이 되살아나고, 무거운 돌덩이가 화염 속을 짓누르며 뻗쳐오르듯 심장 한복판을 치밀고 들어차는 데....... .

아니야, 결코 그렇게 말해서는 안 돼. 이제 와서 그렇게 말도 안 되는 이유를 댄다는 것은 있을 수가 없는 일이야. 우리, 서로를 기만하지 말자. 아니, 당신과 나, 솔직 하자. 으하하.
그래, 맞아. 그때도 그랬었지. 그래서 내가 여기까지 왔지. 그런데 또 그럴 듯해. 제기랄.

난, 기억하지. 잊지 않아, 잊을 수가 없었지. 해답을 찾지 못했으니까. 으흐흑. 이히히...
당신이 내게 해준 최고의 찬사, 최고의 언어, 지상 최대의 간결하고 당당한 한마디.......
<싫어졌어.>
....... .

난, 아직도 대응할 한마디 말을 찾지 못했지. 내 부질없는 양심과 내 초라한 책임과 천형의 팔자를 다 뒤집어 까 봐도 나는 찾을 수가 없어요. 나는 찾아지지가 않아.......
<나도>가 아닌 <그래>, 그렇다면 <그렇게 하자.>
내가 할 수 있는 최선, 내가 선택한 최고, 내가 죽은 이유, 내가 멍하니 살아가는 까닭....... .

알아, 알아요. 이것 역시도 아무것도 아니라는 것을, 아무런 이유가 될 수 없다는 것을요.
그래서 늘 바라지요, <그대 잘 살아가시길.>
이것이 내가 사는 동안에 바라는 한마디라는 것을요.
모쪼록 행복해야만 그나마 최선이라는 걸.
부디 그래야 한다는 것을 잊지마시구려.

당신 건강한 가슴일 때, 짧은 인연 긴 삶이 고스란히 남아 있으리란 걸.
모진 세월 살아낸 장함이 있으리란 걸.
그리고 다소라도 더 참아 살아갈 수 있는 거란 걸.
들리지 않을 메아리 나의 바람 전합니다.

삶과 죽음이 다르지 않을 진데,
행여
이승인 듯 기쁘고 저승인 냥 늘 평안하소서!

IP *.70.72.121

프로필 이미지
형산 파란바다
2007.07.31 12:55:35 *.134.25.52
...

내려놓기가 쉽지 않은 것이 과거인가 합니다.
바다는 지나간 배의 흔적을 다시 지워주는 포용을 발휘하지만,
나무는 박힌 못을 다시 빼내도 상처를 다 감추이지 못하지요.
하물며 우리네 인간들이야...

우리에게는 과거와 과거가 될 지금과 다가오는 또 다른 과거만이 있다데요. 과거가 될 지금만이 지나간 과거를 아우를 수 있겠지요.

몽골 잘 다녀오세요. 그 사이에 저는 서울을 다녀가겠네요. 막걸리 약속은 무위로 돌아갈 공산이 크지만 그 정도 작은 인연이야 또 닿겠지요.
프로필 이미지
소현
2007.07.31 16:09:02 *.231.50.64
언니야~~ 토닥, 토닥,
프로필 이미지
써니
2007.08.01 07:50:27 *.70.72.121
파란바다...
시원한 바닷바람 여기 서울까지 불어옵니다. 지난 번 경주에서 초아선생님 강연은 잘 들으셨는지요? 많은 벗들을 만나셨겠네요. 참석하고 싶었으나 저가 워낙 여러모로 달리는 게 많아 그냥 꾹 참았네요. 너무 나대기 보다 좀 진중해질까 하고요.ㅋㅋ 뭐든 쓸데없이 왜 그리 시간을 잡아먹는지요. 아직도 허욕은 많고 몸은 못 따라가네요.

막걸리 약속은 안 잊어요. 이번에 공교롭게 혹시 만나기 쉽지 않을지 모르지만 언제고 기회가 될 거에요. 그때 더 기쁘게 뵙지요.^-^

요즘 서울이 너무 더워 그런지 바다가 있는 부산이 자주 떠오르네요. 해운대 백사장은 아련한 추억 하나 있어요. 언제고 내 글 속에 나올 테지만.
지나간 배의 흔적을 지워주는 바다 이야기 참 좋으네요. 물은 그 포용력과 거대함과 유용성에서 그 어떤 것과도 비교될 수 없는 것 같아요.
바다를 자주 느껴봐야 겠어요. 덧글 고마워요. 서울 잘 다녀가세요. 작은 인연 기대하고 있을게요.^^


모모야, 그냥 썼다. 어디에다 올릴까 나그네 심정으로 방황하다가 여기가 되었네. 때로 나도 춤추고 싶단다. 물론 향인이야 말리겠지만.^^
프로필 이미지
백산
2007.08.04 16:29:23 *.165.174.111

과거!

없어지지는 않지...
그러나 돌이키지 않으면 신경쓸일도 없지...

쐬주나 한 잔 한세..!
프로필 이미지
써니
2007.08.05 02:03:55 *.70.72.121
과거라기보다 그리움으로 간직하고 살아요. 그렇게 거기에서 멈추고 싶었지요. 그리운 사진첩처럼 뽐낼 수 없어도 내 삶의 흔적, 소중하고 지울 수 없는 부분이지요.
내 삶의 방식은 최악의 상황으로 치달으며 반목하고 피폐해가는 전쟁보다 그리움에 두고 싶었어요. 내 안의 또 다른 괴물 같은 나와 기를 쓰고 달려드는 무모한 전쟁에 지치고 나자빠지며 무척 아파했지요. 어차피 흘리는 눈물, 그리움으로 흘려보내기로 매몰차게 작정했죠. 그게 나을 것 같아서........

그렇게 철없고 부질 없었네요. 이득은 아직 살아남은 것, 아픔은 살아남은 자의 고통이지요. 삶이 죽음과 맞닿고 기쁨이 슬픔과 한가지라면 고통 또한 일상의 행복일 런지요.

지나온 삶보다 앞으로의 하루가 더 만만치 않음은 낙오자의 청승인지 피딱지처럼 눌어붙어 말라비틀어진 야속한 이성의 지꺼기 같은 것인지요.

그때 충실한 사랑마저 誤道하는 이기적 현명함보다 다시 살아감으로 인해 당연 부끄럽고 죄스러운 마음 숨길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내게 주어진 길, 내 운명 너머에 있을 내가 그리고 싶었던 조촐한 삶, 그것 꼭 살아내야 하는데.

술은 마셔도 취하지 않으나 다가설 수도 물러날 수도 없는 애뜻한 그리움은 언제나 흠뻑 취한 잠을 청하게 하는군요. 살아남은 자의 슬픈 꿈 꾸러 갑니다. 세상의 모든 하루살이님들 안녕........ . 새로운 하루살이로 모두들 다시 태어나시길.
프로필 이미지
백산
2007.08.05 03:48:27 *.165.174.111
이해가 되기는 하지만 그러면 많이 아플텐데...

그리움이 있는 사람은 미련이 남은 사람이지요...
분노라는 감정에 그 그리움이 억압되어 있다하더라도
모습을 바뀌어 있을 뿐... 아프기는 매 한가지 인데....

오늘 토할 수 있으니 점점 좋아지실겁니다.
고통스런 과거를 미화할 수 있다는 것은
극복하고 있다는 것이기도 하니까요....

절실하고 유일한 사랑이 무너지면
그 다음 부터는 누구든 사랑할 수 있게 됩니다.
그것은 파괴가 아니라 자유라고 생각합니다.

그것의 질서는 자신에게 있습니다....
저의 질서는 !%가 부족하지만,
그 맛에 삽니다.... ^^

삶이란 기쁨만이 아닌 것처럼 분명 고통만도 아닌 거 같아요,
그것은 그저 나의 현실과 비교되어 이것도 되고 저것도 되는 것
같지는 않는지요...
감정보다 더 깊은 밑바닥에는 생명의 근본적인 힘이 있고
그것은 오늘을 살게 하고 자신의 생각에 갖힌 삶을 극복하게
하는 힘이라는 생각을 합니다.

그 근원적인 힘... 뭘까? ... 늘 생각합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12 [33] 시련(11) 자장면 한 그릇의 기억 secret [2] 2009.01.12 205
5211 [36] 시련12. 잘못 꿴 인연 secret [6] 지희 2009.01.20 209
5210 [38] 시련 14. 당신이 사랑을 고백하는 그 사람. secret 지희 2009.02.10 258
5209 [32] 시련 10. 용맹한 투사 같은 당신 secret [2] 2008.12.29 283
5208 [37] 시련. 13. 다시 만날 이름 아빠 secret [3] 2009.01.27 283
5207 [28] 시련(7) 우리가 정말 사랑했을까 secret [8] 지희 2008.11.17 330
5206 칼럼 #18 스프레이 락카 사건 (정승훈) [4] 정승훈 2017.09.09 1661
5205 마흔, 유혹할 수 없는 나이 [7] 모닝 2017.04.16 1663
5204 [칼럼3] 편지, 그 아련한 기억들(정승훈) [1] 오늘 후회없이 2017.04.29 1717
5203 9월 오프모임 후기_느리게 걷기 [1] 뚱냥이 2017.09.24 1747
5202 우리의 삶이 길을 걷는 여정과 많이 닮아 있습니다 file 송의섭 2017.12.25 1751
5201 2. 가장 비우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 아난다 2018.03.05 1779
5200 결혼도 계약이다 (이정학) file [2] 모닝 2017.12.25 1781
5199 7. 사랑스런 나의 영웅 file [8] 해피맘CEO 2018.04.23 1790
5198 11월 오프수업 후기: 돌아온 뚱냥 외 [1] 보따리아 2017.11.19 1796
5197 (보따리아 칼럼) 나는 존재한다. 그러나 생각은? [4] 보따리아 2017.07.02 1798
5196 12월 오프수업 후기 정승훈 2018.12.17 1800
5195 일상의 아름다움 [4] 불씨 2018.09.02 1806
5194 칼럼 #27) 좋아하는 일로 먹고 사는 법 (윤정욱) [1] 윤정욱 2017.12.04 1809
5193 [칼럼 #14] 연극과 화해하기 (정승훈) [2] 정승훈 2017.08.05 1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