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재용
- 조회 수 1146
- 댓글 수 0
- 추천 수 0
사이공(Sai Gon)에 관하여
호찌민에 사는 사람이 물었다. “사이공이 어딘지 아세요?” 호찌민은 알아도 사이공은 모르는 사람이 많다. 호찌민(Ho Chi Minh)과 사이공(Sai Gon)은 같은 도시 다른 이름이다. 길게 늘어선 베트남 땅 남부에서 가장 큰 도시가 지금의 호찌민, 과거의 사이공이다. 사이공은 원래 베트남 땅이 아니었다. 오래전 사이공은 캄보디아 항구 도시였다. 종족간 내전을 피해 내려온 베트남 난민들에게 캄보디아는 이 지역에 정착할 수 있게 허용했다. 이주민의 수가 증가하면서 캄보디아계 크메르인들을 압도했고 마침 세력이 약해진 캄보디아는 이 땅을 통제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는데 시간이 지나며 자연스럽게 사이공은 베트남에 편입됐다.
베트남은 한때 프랑스 식민 지배하에 있었다. 1858년 라오스를 비롯해 인도차이나 반도의 대부분을 복속시킨다. 1954년까지 거의 백 년에 가까운 세월 동안 식민지배를 받으며 프랑스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는데 이 때문에 ‘동아시아의 진주’, ‘동양의 파리’라는 별명으로 불리게 됐다. 이후 남베트남과 북베트남으로 나뉘게 되었을 때 사이공은 남베트남의 수도였다. 남과 북이 하나의 베트남으로 통일된 이후 사이공은 수도로서의 역할을 내려놓게 되고 도시 이름은 호찌민이라는 통일 영웅의 이름으로 갈아 입는다. (박지훈 저, ‘몽선생의 서공잡기 西貢雜記’를 참고함)
내가 발 딛고 선 이곳이 어디인지 알고는 있어야겠다는 생각에 얇게 알아본다, 사이공. 누군가 ‘자기가 머무는 땅을 축복하지 않는 사람은 그 땅에 머물 자격이 없다.’고 말했다. 안타깝게도 축복해야 살 수 있다는 자격의 문제라면 나는 어디서도 머물 수 없을 것 같다. 다만, ‘머무는 땅’을 축복하는 일과 ‘자기가 머무는’ 곳의 징그러운 삶이 별개의 문제라면 나는 어디서도 살 수 있을 것 같다. 말하자면 지구에 사는 호모 사피엔스로서 내가 저주하는 땅은 이 세상에 없지만, 어지러운 삶을 이어가야 하는 부자유한 월급쟁이로서는 살 자격을 부여 받더라도 그곳이 어디든 축복해줄 용의는 없다. 스스로도 참 어렵게 산다 싶다.
한국에서, 그 땅의 축복은커녕 싫었던 적도 많았는데, 그래서 누군가 나에게 ‘머물 자격’을 물어 결국 해외로 나오게 된 게 아닐까 여기기도 한다. 역설적이게도 낯선 땅에 살고 보니 한국을 축복하고 싶은 생각이 아주 많이 들게 됐다. 향수병이다. 그러나 고의적 자해, 즉 자살이 10대부터 30대까지 사망원인 1위, 40대와 50대 사망원인 2위를 차지했다는 오늘 자 통계청 발표는 나에게 향수병 백신을 놓는다. 자살을 택한 그들의 심정을 가늠하고 가슴 한 구석이 무너지고, 사이공 도시의 내력을 알아보는 일을 내려 놓았다. 한국에서 들려오는 소식이 어지러울 때마다 ‘여우가 죽을 때 머리를 자기가 살던 굴 쪽으로 바르게 하고 죽는다’는 수구초심 首丘初心, 그 마음 한쪽이 떨어져 나간다. 사이공이든 서울이든 부산이던 그냥 호모 사피엔스로 지구에 살 순 없을까.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057 | 신화는 처음이시죠? - 신화 작가편 | 제산 | 2019.09.01 | 1230 |
1056 | [화요편지]6주차 미션보드_OO씨의 행복여행 | 아난다 | 2019.09.03 | 1219 |
1055 | [수요편지] 그대, 할말을 어디에 두고 왔는가 | 장재용 | 2019.09.04 | 1185 |
1054 | 목요편지 - 아! 가을인가 | 운제 | 2019.09.06 | 1181 |
1053 | [금욜편지 104- 책쓰기준비 3- 경비] | 수희향 | 2019.09.06 | 1178 |
1052 |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세상에서 가장 유명한 치즈 ![]() | 알로하 | 2019.09.08 | 1431 |
1051 |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열두 번째 이야기 | 제산 | 2019.09.09 | 1513 |
1050 | [화요편지]6주차 워크숍_Shall we dance? | 아난다 | 2019.09.10 | 1226 |
1049 | [수요편지] 호찌민에서 만난 쓸쓸한 표정의 사내 | 장재용 | 2019.09.11 | 1280 |
1048 | [화요편지]7주차 미션보드_ 새 삶을 채울 100가지 기쁨 | 아난다 | 2019.09.17 | 1154 |
1047 | [수요편지] 오토바이, 그 자유의 바람 | 장재용 | 2019.09.18 | 1239 |
1046 | [금욜편지 105- 책쓰기준비 4- 기질] | 수희향 | 2019.09.20 | 1190 |
1045 | 목요편지 - 오스카와일드 | 운제 | 2019.09.20 | 1171 |
1044 |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_은하수가 담긴 와인 ![]() | 알로하 | 2019.09.22 | 1371 |
1043 |
가족처방전 -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열세 번째 이야기 ![]() | 제산 | 2019.09.23 | 1550 |
1042 |
[화요편지]7주차 워크숍_새 삶의 키워드 ![]() | 아난다 | 2019.09.24 | 1164 |
» | 사이공에 관하여 | 장재용 | 2019.09.25 | 1146 |
1040 | 목요편지 - 명언 | 운제 | 2019.09.27 | 1265 |
1039 | [금욜편지 106- 책쓰기준비 5- 관계] | 수희향 | 2019.09.27 | 1146 |
1038 |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_축제로 즐기는 와인 ![]() | 알로하 | 2019.09.30 | 19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