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조회 수 2940
  • 댓글 수 7
  • 추천 수 0
2008년 6월 29일 21시 28분 등록

12층 구내식당에는 천사가 있다. 하늘에서 쫓겨나 숨어있는 천사인 것 같지는 않다. 배가 고파서 식당에 숨어있는 것도 아니다. 천사이기는 한데 천사의 모습은 아니다. 우선 날개가 없다. 흔히 천사하면 떠올리는 날개는 아무리 찾아봐도 없다. 혹시 어디 숨겨놓지 않았을까하고 슬쩍슬쩍 살펴보기도 했지만 날개는 찾지 못했다. 날개를 찾기는커녕 이상한 인간으로 소문날 뻔 했다. 옷도 예쁘고 고운 천의 고급스런 옷이 아니다. 그냥 하얀색 가운이다. 섬섬옥수의 손을 지닌 것도 아니다. 얼굴도 영화에 나오는 천사처럼 예쁘지 않다. 어디서나 흔히 볼 수 있는 평범한 얼굴이다.
그게 무슨 천사냐고? 천사 맞다. 천사라고 다 예쁘고 날개가 달려야 하는 건 아니지 않는가. 당신에 열애에 빠져 눈에 콩깍지가 씌워졌던 연애시절, 그 여자는 천사처럼 보이지 않던가. 지금 그 여자와 함께 살고 있다면 한번 돌아보라. 지금도 그 여자가 천사처럼 보이는지. 그렇지 않다면 어떻게 된 일인가. 그 때 그 시절 당신은 천사의 탈을 쓴 악마에게 속았던 것인가? 더 말하지 말자.
세상 많은 일이 그렇다. 생각하기 나름이다. 그녀는 천사일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그렇지만 나는 천사라고 부른다. 물론 속으로 혼자서 하는 생각이다. 아마 천사가 아닐까하고… 그녀는 천사의 날개와 옷 대신에 하얀 가운을 입고 손에는 고무장갑 그리고 장화를 신고 있다. 천사의 복장치고는 참 어울리지 않는다. 그렇지만 당신은 이제 살짝 그녀가 무슨 일을 하는지 눈치 챘을 것이다.
그녀는 구내식당에서 설거지를 한다. 구내식당에서는 점심과 저녁을 제공하는데 그녀는 점심시간에만 설거지를 하는 파트타임 노동자다. 그녀를 천사라고 하는 이유는 단 한가지다. 미소 때문이다. 그녀는 천사의 미소를 가지고 있다. 천사의 날개와 천사의 옷은 없지만 그녀는 그보다 빛날 것 같은 미소를 가지고 있다.
수백 명이 식당을 이용하는 점심시간. 사람들이 끊임없이 몰려든다. 식사를 마친 사람들은 식판을 들고 그릇을 반납하는 곳으로 몰린다. 식판에는 먹고 남은 음식들이 쌓여있다. 사람들이 먹고 남은 음식을 아무리 깔끔하게 갈무리 한다고 해도 지저분할 수밖에 없다. 국물이 넘쳐서 흐르기도 하고 순식간에 쌓인 식판은 여기저기서 흔들거리다 와장창 소리와 함께 떨어지기도 한다. 설거지 창구를 혼자 맡고 있는 그녀는 그런 상황에서도 미소를 잃지 않는다. 식판을 가져다놓으면 웃어주고, 밀려있는 식판을 조금 밀어주거나 정리해주면 ‘고맙습니다’하고 큰 소리로 말하며 활짝 웃는다.
서비스 정신이 아닐까 하고 생각했다. 교육을 받은 게 아닐까 하고 생각도 했다. 그렇지만 그것도 아니었다. 밥과 반찬을 배식하는 창구에는 웃음이 없다. 그녀만 그런 것이다. 뭐 대단한 일이라고 서비스 정신을 발휘할 것도 아니고 누가 교육을 시킨 것도 아니다. 그럼 도대체 뭘까. 도대체 뭐가 즐거워서 저렇게 환한 미소를 지으며 일할 수 있을까. 식당의 설거지라는 일. 파트타이머. 고된 삶이라는 생각이 먼저 떠오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래도 그녀는 항상 웃는다. 최소한 점심을 먹고 식판을 가져다주는 그 순간은 항상 웃고 있다.
흔히들 하듯이 ‘내가 저 자리에 있다면’이라고 생각을 해봤다. 나는 웃을 수 있을까. 형식적으로라도 웃을 수 있을까. 아닐 것이다. 아마 절대 웃지 못 할 것이다. 짜증내고 인상 쓰는 일이 일상이리라. 그 일이 뭐가 즐거워서 웃으며 일하겠는가. 많은 사람들이 그러하듯이 고되고 힘든 삶을 누가 좋아할까. 피곤한 삶은 상상만으로도 짜증을 불러일으킨다. 그런데 정작 그 한가운데서 웃고 있는 그녀는 도대체 무얼까.
천사가 여기에 있었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웃음의 의미, 삶의 의미를 알려 주려고 하늘에서 잠깐 내려온 천사가 아닐까. 삶은 이럴 수도 저럴 수도 있는 것이고, 그 순간 또한 생각하기에 따라 이럴 수도 저럴 수도 있다는 것을 알려 주려고 내려 온 것은 아닐까. 분명 그녀보다 형편이 훨씬 좋을, 그녀와 비교하면 행복해서 쓰러질 수밖에 없는 사람들도 그렇게 활짝 웃는 것을 본 적이 없다. 웃기는커녕 많은 사람들이 그녀의 미소조차 모른다. 뜻밖에 그녀가 그렇게 웃고 있다는 것을 많은 사람들이 모르고 있었다. 묵묵히 밥을 먹고 묵묵히 돌아서서 묵묵히 또 일을 하러 갈 뿐이었다. 그들의 눈에 웃음은 보이지 않았다.
한 끼의 밥을 먹고 그 웃음을 볼 때마다 가끔씩 생각하곤 한다. 부럽고 부끄럽다고. 그래도 웃는 게 부럽고, 웃음을 아예 잊어버린 듯 사는 게 부끄럽다고. 그 웃음을 볼 때는 무언가 배웠다고 생각하지만 몸을 돌려 돌아서면 다시 똑같은 자리로 돌아가는 게 부끄럽다고.
누가 되었건 현대의 경쟁구도 속에서 사람들은 무엇이든 더 많은 것을 차지하기 위해 온 힘을 다 기울인다. 무언가를 더 가졌을 때 환호하고 기뻐한다. 그리고 크게 웃는다. 무엇이든 가진 것이 적으면 괴로워하고 자책한다. 패배자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인상을 찌푸리고 고심에 빠진다. 웃음은 찾아볼 수 없다. 무언가를 더 갖기 위한 방책을 짜내려는 것이다. 이미 가진 것이 적지 않음에도 누구누구보다 적다는 이유만으로 그렇다. 자신이 처한 환경과 능력에 관계없이 많은 사람들이 남들과 같은 행로를 걸으려 한다. 더 많은 크기의 소유를 추구한다.
그런 세태 속에서 만난 적게 가진 자의 밝고 큰 웃음은 뜻밖이다. 불가사의하기까지 하다. 그래서 그 웃음은 더 가슴에 와 닿는다. 산속에서 수련하는 선승들이 쓴 책보다 더 큰 울림을 주는 것은 그런 이유가 있는 까닭이다. 적게 가지고도 크게 웃는 자. 나는 아직 그 웃음의 의미를 다 이해하지 못했다. 그 웃음의 깊이는 언감생심 가늠해볼 생각도 하지 않는다. 식당에서는 오늘도 인간들이 묵묵히 밥을 먹고 천사가 웃으면서 설거지를 한다.

IP *.204.29.41

프로필 이미지
써니
2008.06.29 22:07:43 *.36.210.11
우하하. ^-^
프로필 이미지
최지환
2008.06.29 22:28:57 *.34.17.28
웃는 것은 나를 행복하게 하는 가장 빠르고 간단한 방법인 것 같습니다. 그래서 할 일 없을 때, 혼자 있을 때 그냥 웃어보면 금새 기분이 좋아집니다.

오쇼 선생님께서도 진정으로 웃을 때는 명상상태에 있는 것과 같다하니 좋긴 좋은건가 봅니다.^^
프로필 이미지
거암
2008.06.30 14:59:15 *.244.220.254
이젠 식당 아주머니에게까지 '작업'을? ㅋㅋㅋ
맞아요~ 이러한 천사들이 많아진다면, 지금 이 곳이 천국이 되겠지요.
프로필 이미지
현웅
2008.06.30 18:42:10 *.117.68.202
창형 형님의 그 밥같은 웃음이 좋아요...^^
프로필 이미지
2008.07.01 02:35:27 *.41.62.236

밥같은 웃음, ㅎㅎㅎ 그말도 좋네.
그래서 뭐예요. 천사를 발견한 창님이 더 대천사 같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으신 거에요? 읽다 보니 ㅎㅎㅎ

천사는 멀리서 봐야 천사예요. 혹시 날개 달렸나 확인 하지 말고
그냥 천사를 볼 수 있음을 고마워하심이. ㅎㅎㅎ ^!~
프로필 이미지
한정화
2008.07.02 00:10:20 *.72.153.57
그 천사 보러가도 되나요?
가면 창~님이 밥 사주나요?
나두 웃음에 밥 말아 먹고 싶어요.
프로필 이미지
2008.07.05 16:14:24 *.123.204.92
천사를 보러오셔도 좋고
밥 먹으러 오셔도 좋지요
'아줌마 밥먹고 가' 이런 책도 있었지요.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32 [27] 그대에게 던지는 질문들 (4) [6] 최코치 2008.11.17 2939
1331 <Again 16 Hours- 우리들의 세 번째 이야기> [7] 수희향 2009.07.12 2940
1330 책이 내게 깨우쳐주는 것 [3] 예원 2009.08.31 2940
1329 우산을 챙길까? 말까? (확률론) [4] [3] 세린 2012.11.19 2940
1328 [05]가면나라 이야기 (하편) [8] 양재우 2008.05.04 2941
» [12] 12층 식당에는 천사가 산다 [7] 2008.06.29 2940
1326 [32] 마지막 꿈을 지켜주고 싶다. [5] 거암 2008.12.22 2942
1325 [그림과 함께] 그림에 꿈을 담고 싶습니다 file [4] 한정화 2010.09.29 2942
1324 [32] 모름다움 넘어 아름다움 향해 [4] 써니 2007.11.12 2943
1323 (12) 방해 노트 [6] 이한숙 2008.06.30 2943
1322 역사속의 위대한 나를 꿈꾸며 - 오프라인 수업과제 [2] 혁산 2009.06.16 2943
1321 [사자5] 관계의 리듬을 타라 [5] 한명석 2009.10.01 2943
1320 [아빠의시간여행] 미친 일곱살 file [5] 양갱 2012.09.18 2943
1319 감성플러스(+) 24호 - 혼자 먹는 밥 file [12] 자산 오병곤 2010.09.20 2944
1318 12 월 off 수업 file [2] 백산 2009.12.15 2946
1317 소심인으로 사는 3단계 방법 (2) - 1단계 [2] [2] 차칸양 2010.04.28 2948
1316 [25] 반토막 난 주식, 두토막 난 가정_2008년 어느 가을날 우리 사회의 모습 [3] 정산 2008.10.26 2949
1315 [그림과 함께] 자신의 미래를 보는 사람 file [2] 한정화 2010.08.01 2950
1314 [53] 연구원 4기 지원자 구이수님과 함께 떠오르는 큰오빠 생각 [2] 써니 2008.02.27 2951
1313 사자팀 프로젝트 세미나(10/31) [1] 書元 이승호 2009.11.03 29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