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정재엽
  • 조회 수 4165
  • 댓글 수 3
  • 추천 수 0
2010년 5월 12일 08시 27분 등록


598px-Hemingway_1953_Kenia.jpg
       <1953년 쿠바에서, 헤밍웨이 (JFK 도서관 소장)>

전후(戰後) 미국사회에 드리운 우울한 그림자를 헤치고 혜성처럼 등장한 작가 어니스트 헤밍웨이. 그는 1899년 시카고에서 출생했다. 수렵과 스포츠를 좋아하던 아버지와 음악을 좋아하고 신앙심 돈독한 어머니 밑에서 자란 그는, 거친 야성과 섬세한 감성을 동시에 물려받았다. 그의 나이 19살에 발발한 제1차 세계대전은 그의 정신세계와 문학적 지향점에 뚜렷한 흔적을 남겨놓았다. 이탈리아 전선에 참전했다가 큰 부상을 당해 귀국했고, 그 후 그리스-터키 전쟁에 종군기자로 참여하며 또 다시 전쟁의 참상을 목격한다. 이때의 경험은 그의 대표작이자 전쟁문학의 걸작으로 손꼽히는 <무기여 잘 있거라>,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등에 고스란히 녹아 거대한 폭력에 마주한 인간의 실존적 고뇌를 표현하고 있다. 그는 매우 단순하고 쉬운 문체로도 인간의 본성을 환기시키고 짧은 삶에 대한 비극적 자각을 드러냈다. 특히, 1954년 퓰리처상과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노인과 바다>는 헤밍웨이 문학의 대표작으로 뽑는다.

그의 나이 서른, 아버지는 자살로 생을 마감하였으며, 이 충격은 후에 그의 작품에 지속적으로 대두되는 자살과 허무주의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 곳에 머물기를 거부하고 평생 유럽과 미국, 그리고 쿠바를 옮겨 다니며 집필활동을 하였으며, 이는 사람에게도 적용되어, 평생토록 3번의 이혼과 4번의 결혼을 통해 7명의 자식을 두었다.

62세인, 1961년. 충격적인 권총자살로 세상을 떠나기까지 집필을 멈추지 않았던 그는, 죽은 지 거의 50년이 지난 지금까지 가장 유명하고 영향력 있는 미국작가의 반열에 올라 있다. 그러나 그의 세계적인 대중성을 비판하여, 미국의 국력팽창과 연계, 문학성을 평가절하 하는 경향도 있으며, 그의 허무주의와 염전사상도 ‘전쟁 후일담 문학’에 불과하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더욱이 여성의 관점에서 볼 때, 보수적이고 순종적인 모습들이 현시대의 논리에는 맞지 않는다는 견해도 있다.

자. 그의 드라마틱한 인생과 그의 작품들은 과연 어떻게 탄생했을까. 그리고 그의 작품은 오늘날 우리에게 어떠한 화두를 던져주고 있는가. 그의 생애와 작품 속으로 군장차림으로 씩씩하게 참여해보자.

IP *.216.38.10

프로필 이미지
명석
2010.05.13 08:48:29 *.108.80.129
헤밍웨이는 언제 봐도 참 헤밍웨이처럼 생겼어요!^^
군장차림으로  한 작가씩 해 치우는^^
재엽씨의 씩씩한 발걸음에 박수!emoticon
프로필 이미지
재엽
2010.05.13 16:29:43 *.216.38.10
휴.. 헤밍웨이처럼 막막한 작가는 또 처음 봤어요.
사실, <노인과 바다>가 영화 등등으로 유명하기도 하지만, (단순한 줄거리가 대중성에 기여했지요^^) 
주위에서만 보아도 실제로 읽은 사람은 많이 없거든요..
이건 저평가 되었다고 봐야할지, 고평가되었다고 봐야할지.. 게다가 작품수는 얼마나 많은지요!!
암튼, 헥헥대면서 리서치 하고 있습니다. 휴.. 왠 고생이야~ ^^ 박수보내주심에 감사드립니다. 힘내고 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0.05.14 07:17:02 *.40.227.17
재엽 선배님~ ^^

위의 사진.. 좀 아니.. 마이 멋지네여.. 
사실.. 저.. 소설에 무쟈게 약해여.. ㅎ

헤밍웨이.. <노인과 바다>..
아쭈 오래전에.. 동생 책장에 꽃힌 거이를.. 꺼내 읽은 거이 같기두 하구.. 아닌 거이 같기두 하구여.. ^^

소설.. 선배님 땜시.. 소설에.. 꽂히면 안되는데여..
신화.. 없이두 잘 살았는데여.. ㅋㅋㅋ

선배님~, 마루타..ㅋ 자체 실험?.. 잘 하고 계신가여? ㅂㅁㅈ..  헤헤^^
만년필..  응원해여~~~ ^^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12 [33] 시련(11) 자장면 한 그릇의 기억 secret [2] 2009.01.12 205
5211 [36] 시련12. 잘못 꿴 인연 secret [6] 지희 2009.01.20 209
5210 [38] 시련 14. 당신이 사랑을 고백하는 그 사람. secret 지희 2009.02.10 258
5209 [32] 시련 10. 용맹한 투사 같은 당신 secret [2] 2008.12.29 283
5208 [37] 시련. 13. 다시 만날 이름 아빠 secret [3] 2009.01.27 283
5207 [28] 시련(7) 우리가 정말 사랑했을까 secret [8] 지희 2008.11.17 330
5206 칼럼 #18 스프레이 락카 사건 (정승훈) [4] 정승훈 2017.09.09 1661
5205 마흔, 유혹할 수 없는 나이 [7] 모닝 2017.04.16 1663
5204 [칼럼3] 편지, 그 아련한 기억들(정승훈) [1] 오늘 후회없이 2017.04.29 1717
5203 9월 오프모임 후기_느리게 걷기 [1] 뚱냥이 2017.09.24 1746
5202 우리의 삶이 길을 걷는 여정과 많이 닮아 있습니다 file 송의섭 2017.12.25 1749
5201 2. 가장 비우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 아난다 2018.03.05 1779
5200 결혼도 계약이다 (이정학) file [2] 모닝 2017.12.25 1780
5199 7. 사랑스런 나의 영웅 file [8] 해피맘CEO 2018.04.23 1789
5198 11월 오프수업 후기: 돌아온 뚱냥 외 [1] 보따리아 2017.11.19 1796
5197 (보따리아 칼럼) 나는 존재한다. 그러나 생각은? [4] 보따리아 2017.07.02 1797
5196 12월 오프수업 후기 정승훈 2018.12.17 1799
5195 일상의 아름다움 [4] 불씨 2018.09.02 1805
5194 칼럼 #27) 좋아하는 일로 먹고 사는 법 (윤정욱) [1] 윤정욱 2017.12.04 1809
5193 [칼럼 #14] 연극과 화해하기 (정승훈) [2] 정승훈 2017.08.05 1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