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이은주
  • 조회 수 2652
  • 댓글 수 17
  • 추천 수 0
2010년 5월 17일 08시 04분 등록

나를 찾아가는 여행

 

‘늑대를 사랑하는 피아니스트’, 제목을 처음 들었을 당시 하얀 솜털까지 바짝 일어나도록 짜릿했었다.  작년 12월 추운 겨울이었다. 기다려왔던 그녀가 내한하여 공연하는 날이었다. 가슴이 뛰고 있어 추운 줄도 모르고 공연장으로 뛰어갔던 기억이 남아있다. 그녀를 !’ 만나고 싶었다. 왜냐하면 그녀는 내가 살고 싶은 삶을 살고 있는 나의 삶의 모델이었기 때문이다. 피아니스트, 작가, 동물 보호 운동가의 이름으로 살고 있는 그녀는 엘렌 그리모 이다. 셋 중의 어느 하나도 뒤쳐지지 않을 만큼 세 가지를 다 이룬 여성이다. 그것을 말해주듯 공연장은 만석이었다. 공연 시작 전 스크린에는 그녀가 늑대와 사랑스럽게 안고 있는 사진이 나온다. 행복해 보였다.

 

  1991년 무렵 늑대를 처음 마주쳤을 때 사랑에 빠졌어요. 내 안에 내재하고 있는 자연과의 교감을 일깨우는 듯했지요.” 그녀가 그런 느낌을 받았던 것은 플로리다의 친구네 집에 갔었을 때 일이었다고 한다. 그녀는 산책을 하다 길을 잃었는데 숲을 헤매다 늑대와 마주쳤다. ‘이제 죽었구나!’ 하고 모든 것을 포기했다. 그러나 늑대의 눈빛을 본 순간 공격 하지 않을 거란 믿음이 왔다고 그녀는 말한다. 사실 그녀는 죽은 것과 다름없는 것이었다. 만약 어딘가 물려 신체가 손상되었을 경우 그녀의 피아니스트의 삶은 끝난 것일 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녀의 믿음이 그녀를 털 끝 하나 안 다치고 살려 놓았고 이것이 그녀의 제 2의 인생이 시작된 계기가 되었다.

 

그녀는 16세에 데뷔 음반을 녹음한 영재(英才)였고 19세 이후 스승을 두지 않은 음악인으로 꼽히면서 음악가들의 찬사를 듣는, 외모도 아주 아름다운 피아니스트였다.  그녀에게 바흐는 경전과도 같은 존재였다. 바흐 음악을 매일 연습하는 것이 그녀의 삶이였다. 요즘 우리들의 관심사인 매일 습관으로 성공한 사례이기도 했다. 그랬던 그녀에게 늑대와의 만남은 변화였다. 공연과 연습을 하지 않는 시간에는 늑대와 놀고 이야기를 한다고 한다. 그녀는 늑대의 눈빛을 보고 사랑에 빠졌다. 그녀는 자기 인생을 다시 살게 해준 늑대를 위해 시간과 돈을 그들을 위해 나누었다. 그녀는 연주로 버는 수익의 대부분를 늑대 보호 센터 짓는 일에 투자했다. 그리고 1999년 멸종 위기에 처한 늑대를 보호하기 위해 비영리 단체인 ‘늑대 보호 센터’를 뉴욕에 설립하였다. 병들고 굶어 죽어가는 늑대들을 데려가 보호해 주고 건강해지면 돌려 보내주는 일이 그녀에게는 세상에서 가장 큰 행복이 되었다. “늑대를 자연으로 돌려보내는 순간, 내 몸의 근육 하나하나에 느껴지는 전율을 어떤 말로 묘사할 수 있을까.” 이 부분을 읽을 때, 순간 나에게도 전율이 왔다. 다는 아니겠지만 그녀와 같은 공감을 하고 있었다. 그녀가 말로 표현하지 못하는 전율들이 그녀의 손끝으로 전달되었는지 그녀의 연주는 섬세하고 아름답다. 그녀는 언제 어느 무대에 서든지 관객들과 교감할 수 있는 준비를 한다고 한다. 그녀는 동물과의 교감에서 마음의 움직임을 알아챘고 그것은 그대로 무대에서 관객들에게 전달되었다. 그래서 그녀의 무대는 연주자와 관객이 하나가 되는 아주 따뜻한 공연이 되는 것이었다.

 

그녀는 마흔이 넘었지만 결혼을 하지 않았다. 음악에서처럼 사랑에도 침묵의 몫을 남겨 두어야한다는 것이 그녀의 말이다. 그녀는 늑대를 반려동물처럼 키우는 환경론자로서의 삶과 음악에 대한 열정을 담은 책 <야생의 변주>, <특별 수업>을 써 베스트셀러 작가가 되었다. 피아니스트, 베스트셀러 작가, 그리고 이제 남은 삶은 그녀는 동물 환경 보호가로서 살아 갈 것이라고 한다. 그녀는 늑대와 음악과 글쓰기 사이의 어느 지점에 살고 있다. 그 지점에서 그녀는 가장 유능하고 행복할 수 있었다. 이는 내가 바라는 삶이었다. 내 전공분야인 요가 명상과 동물과의 교감과 사랑을 바탕으로 한 글쓰기, 그리고 나중에 불쌍한 동물들을 치료하고 살려주는 일을 하고 싶다. 그 지점에서 나는 가장 행복하고 또한 누구보다 잘 해낼 수 있는 최고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인생에서 최고란 생각은 언제나 주관적이다. 누군가에게 최상이 다른 사람에게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선에서 그리고 상식을 벗어나지 않는 선에서 내 인생을 최고로 만드는 것은 본인의 몫이다. 음표뿐 아니라 쉼표가 있어야 음악을 완성시키는 것처럼, 자신의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에도 빈칸이 필요하다. 숨 가쁜 대도시의 삶속에서 우리는 여유와 침묵의 의미를 잊어버린다. 만약 침묵이 없다면 영감과 에너지, 존재에 대한 자각을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

 

공연이 끝나고 세 번의 앙코르 곡을 연주하고 너무도 겸손히 인사를 하러 세 번이나 더 나왔다. 한 해 90여 차례 연주회를 하고 세계적인 베스트셀러를 낸 작가임에도 그녀의 품행과 옷차림은 너무나 소박했다. 긴 파마머리를 뒤로 묶고, 검은 바지에 검은 반팔 저지옷감의 티였다. 너무나 편한 플랫 슈즈를 신은 그녀는 치장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녀에게서는 자신감과 행복감이 그대로 묻어 나왔다. 그녀를 보는 순간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다. 명품으로 치장하고 화장으로 변장하지 않아도 얼마든지 아름다웠다. 그녀의 빛남이 나는 무엇인지 알 것 같았다. 그것은 아마도 진정한 사랑의 마음을 일깨워 준 늑대와의 교감에서 느끼는 행복감이었을 것이다.

 

엘렌 그리모의 연주를 찾아오는 사람들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행동의 목적을 행복의 비결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다. 그래서 자신이 행복 할 수 있는 일이라면 추위나 거리에 아랑 곳 하지 않는다. 그들은 무엇보다 ‘나는 이런 것이 좋다’ 라는 자신의 취향에 눈을 뜨고 있어 자신의 행복과 연결시킨다. 이렇게 나를 찾아 떠나는 사람만이 눈부신 세상과 만날 수 있다. 그것이 바로 나를 행복하게 해주는 힘이다.

 

IP *.219.109.113

프로필 이미지
2010.05.17 10:11:20 *.119.66.72
글 좋습니다. 아니 느낌이 흐르고 있다고 표현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은주님의 삶과 동물에 대한 사랑 그리고 그것이 글로 표현되는 흐름. 잘 느껴집니다..^^
프로필 이미지
은주
2010.05.18 08:50:13 *.219.109.113
내가  느끼는 그 마음 그대로 전달이 되었나 보네요.

고마워요 ^^


프로필 이미지
2010.05.17 10:39:38 *.106.7.10
와~, 언니 칼럼 감동적이었어요.
아주 잘 맞는 언니 옷같아요.
'동물과의 교감' 전 아직 알 수 없는 영역이지만, 언니가 가슴뛰게 느끼는 그 영역이 어떤 것인지, 언니의 취향이 어떤 것인지 확실한 느낌이 옵니다.
앞으로도 이런 멋진 칼럼 기대할께요 ^^ 
프로필 이미지
은주
2010.05.18 08:52:08 *.219.109.113
역쉬! 내 옷은  늑대나 개 털이었군.ㅎㅎ
선에게 감동을 주기 위해 다음 컬럼을 뭘로 준비 할까 고민중 ...끙끙
프로필 이미지
박상현
2010.05.17 11:39:06 *.236.3.241
막판까지 초읽기를 한 이유가 있었네요 ^^개골반이 개 얘기 하니 어울리네요 ㅎㅎㅎ  

엘렌 그리모의 음악과 책을 함 찾아봐야겠네~~

늑대와의 교감이 음악을 통해 사람들에게 전해진다...사람과 늑대와 엘렌 그리모의
연결고리는 뭘까
프로필 이미지
은주
2010.05.18 08:56:47 *.219.109.113

내가 아주 잠깐 말한 개골반은 또 어떻게 기억하고 있는거야. 머리가 넘 좋아ㅋㅋ

사람과 동물의 연결 고리는 따뜻한 이해심이 연결고리야.



프로필 이미지
이헌
2010.05.17 18:38:07 *.35.254.135
어제 처음 봤는데
은주씨도 충분히 눈부셨고 빛나더라 
그리고 행복해보였어요.
그래서 옆에 있는 사람들도 행복했어요. 
프로필 이미지
은주
2010.05.18 08:58:55 *.219.109.113
아이쿠~~ 과찬이세요.

다음에 저를 만날 때는 선그라스를 끼고 오셔야겠네요.(눈부시고 빛이 나니까 ㅎㅎ)

감사해요. 행복 바이러스로 남아 모두 감염 시켜볼께요.

다음에 또 만나요.
프로필 이미지
미옥
2010.05.18 09:04:44 *.53.82.120
좋은 사람들 사이에 있고자 하는 이유는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그들의 향기가 나를 채우게 될 것을 알기 때문입니다.

엘렌 그리모
그녀의 연주곡을 배경음악삼아 읽는 언니의 칼럼.
비내리는 오전에 기막히게 어울리는 것 같습니다.

좋은 사람 당신이 알고 있는 좋은 사람들에 대한
기대가 깊어집니다.

벌 써 다음 칼럼이 기다려집니다.     언니!  ^^
프로필 이미지
이은주
2010.05.18 09:14:44 *.219.109.113
와~ 그런 배경음악도 같이 깔아 올리면 참 좋겠다.

그런데 할 줄 몰러. 흑.

비오는 아침, 커피와 글과 음악 더 없이 행복하겠구나.

다음 글이라....... 나 팬 생긴거야???
프로필 이미지
낭만 연주
2010.05.18 11:22:57 *.203.200.146

자신의 취향에 눈을 뜨고 행복에 연결시키는 것
매순간을 마음이 가는대로 내 취향대로 해서 거스름이 없다면 그게 바로 득도? ㅋ 행복이겠죠?
그날이 목전에 와있는 느낌입니다.

늑대를 사랑하는 피아니트스, 엘렌 그리모, 그녀의 공연이 참 기대됩니다.

프로필 이미지
이은주
2010.05.23 10:45:27 *.219.109.113
내가 행복한 일이 무엇인지를 찾는 길이 살면서 제일 재미있는 길인 것 같아.
다음에 또 내한 하면 같이 갈까? 그러다 연주 늑대를 사랑하면 난 책임 못진다. ㅋㅋ
프로필 이미지
우성
2010.05.18 23:52:17 *.34.224.87
춤추는 댓글체...에서,
내 눈에는 댓글은 안보인다..
그러나.
춤은 보인다...춤은 참 좋은 것이여.....^*^
프로필 이미지
이은주
2010.05.23 10:44:09 *.219.109.113
ㅎㅎ 춤추는 댓글체로 쓰면 코미디가 되는데 어쩌 ㅋㅋ
프로필 이미지
최정희
2010.05.21 16:45:53 *.153.252.66
좋은글읽고 갑니다.
전 소를 무척좋아하지요.
소에 관하 ㄴ이야기로 남편과함께  몇 시간은 거뜬하게 보낼 수 있는-----
동물과 교감을 나눌 수 있는 은주님 꼭 만나보고 싶어요.^^
프로필 이미지
이은주
2010.05.23 10:50:04 *.219.109.113
저는 털 달린 동물은 다 좋아해요. 소도 말도  너무 예쁘지 않나요?

거기에 소 속눈썹 ,눈망울,....    저는 말과 소 눈이나 궁둥이에 붙인 파리들이 너무 미워요.

일단 동물 앞에서면 가슴이 뛰어요. 콩콩콩콩  왜냐하면 너무 예뻐서요.

동사모 모임 하나 만들까요?  (동물을 사랑하는 모임)   저도 동물 이야기로  몇 시간 이야기 할 수 있어요.

프로필 이미지
최정희
2010.05.23 20:26:19 *.152.81.41
하하하
'동사모' 좋군요. 얼마 전 남편과 함께 소농장에 가서 소와 실컷 이야기 하고 농장주와도
행복한 이야기 나누고 왔지요.  소,양, 닭---- 없는것 빼고 다 있더군요.
다음에 언제 만나면 소에 대한 재미있는 이야기 들려 줄께요.^^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52 군대간 아들에게 쓰는 편지 file [4] 소은 2010.05.23 17648
1651 라뽀(rapport) 12 - 부부의 날의 단상 [6] 書元 2010.05.22 3128
1650 [킹핀] 3. 두 번의 죽음 [6] 송창용 2010.05.22 2658
1649 #5. 훌륭한 자기계발 메시지의 5가지 조건 (1) [1] 이희석 2010.05.21 2990
1648 칼럼 11. 자로형 만나다. 외식업과 기질. file [9] 맑은 김인건 2010.05.21 3103
1647 감성플러스(+) 14호 - 진정한 변화는 자기성찰에서 시작된다 file [11] 자산 오병곤 2010.05.20 4082
1646 소심인으로 사는 3단계 방법 (5) - 1단계 [3] 차칸양 2010.05.20 3345
1645 골세앙바드레1. 일어날 거야 [12] 뽕공주 2010.05.19 2997
1644 죽돌이 [4] 홍스 2010.05.19 2650
1643 [먼별2] 필살기 수련5 <단군의 후예들: 출사표를 준비하며..> [10] 수희향 2010.05.19 2423
1642 컬럼2-6: IT와 친해지기 [10] 희산 2010.05.19 2492
1641 심스홈 이야기 3 - 봄날의 발견, 나의 집 그리기 file [5] 불확 2010.05.19 3826
1640 응애 11 - 스승을 기리며 [12] 범해 좌경숙 2010.05.18 2519
1639 쓰고 싶은 글감이 생겼다 [18] 홍스 2010.05.17 2568
1638 마에스트로의 길을 찾아서 14 : 나는 이 말을 하고 싶기 때문이다. [17] 백산 2010.05.17 2788
1637 [컬럼] 의료란 무엇인가? [7] 우성 2010.05.17 2875
1636 칼럼 10. 꿈 없는 제자와 꿈 많은 선생 [10] 낭만 연주 2010.05.17 2491
1635 컬럼 10. 말풍선 놀이로 소통을 바라보다 [9] 박상현 2010.05.17 2760
» 나를 찾아가는 여행 [17] 이은주 2010.05.17 2652
1633 <꿈을 실천하는 힘 4> 일보다 사람중심, 재능보다 성실 [8] 이선형 2010.05.17 36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