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박상현
  • 조회 수 3394
  • 댓글 수 13
  • 추천 수 0
2010년 8월 23일 11시 57분 등록

중세에는 안전이 수직 방향으로 인식되었다. 사람들은 영구한 구원을 얻기 위해 하늘을 쳐다보았고, 전통과 공동체 관계 속에서 안전을 찾기 위해 자신들 아래 있는 조상 전래의 땅을 내려다 보았다.
(
제러미 리프킨 유러피언 드림중에서)

 

 

공중에 떠 있는 수도원, 메테오라를 방문하여 예배당에 들어섰을 때 처음 한 일은?

 

대부분 천장을 바라봤을 것이다. 거기서 그리스도가 우리를 응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스정교회의 예배당 뿐만 아니라 중세에 지어진 성당들은 한결같이 방문객의 시선을 올려다보도록 유도한다. 메테오라 수도원 예배당에는 돔 형식의 천장 한가운데 예수 그리스도가 위치하고 그 아래에는 네 천사, 그 다음에는 열두 제자가 배치되어 있다. 하늘을 상징하는 돔은 신과 인간의 위계를 나타내기에 좋은 건축양식이다.

 

신과 인간의 위계 관계는 아폴로 신의 신탁지였던 델피의 고대 유적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신전은 산 입구 쪽에 위치하고 공연장과 경기장을 산 중턱에 건설해 놓았다. 인간의 동선보다는 신의 시선을 고려한 설계이다. 인간의 배려 덕분에 신은 하늘에서 가까운 곳에서 자신을 향한 인간의 찬양을 좀더 편안히 즐겼을 것이다. 메테오라에서 아테네로 복귀하는 버스 안에서 몇 시간을 달려도 끝나지 않는 테살로니아 평원을 보았다. 거기에서는 신화에서처럼 신과 인간이 쫓고 쫓기는 그림을 충분히 상상할 수 있었다. 모험에서 살아 돌아온 연인이 산 넘고 바다를 건너 나에게 달려오는 모습을 지켜보고 있노라면 한번쯤 원근법에 대한 욕망이 일었을 법도 하다. 그러나 신이 지배하는 세상에서 보이는 것과 보여야 할 것은 달라야 했나 보다.

 

르네상스 시대가 도래하자 원근법이 비로소 그림에 적용되었다. 원근법은 물리적 거리를 나타내는 표현방식일 뿐만 아니라 세상을 응시하는 시선을 신에게서 인간 자신에게로 전환한다는 암묵적 선언이었다. 세계의 주체로 나선 인간은 자연을 바라보는 시각을 신에서 자원으로 극적으로 변환한다. 프랜시스 베이컨에 이어 데카르트와 뉴턴에 이르면서 인간은 자연을 혼란스럽고 임의적이며 예측 불가능한 존재에서 질서 정연하고 계량이 가능한 수의 조합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자연에 대한 경외의 시선을 거두자 인간은 자연을 활용하여 수 만 년이 걸린 생활의 발전단계를 불과 수 백 년 만에 추월했다. 신과 인간의 축으로 구성된 수직의 세계는 인간을 앞서는 가치는 없으며 모든 인간은 평등하다는 수평의 세계로 대체되었다. 그러나 신이 축출된 자리는 메워지지 않고 물질이 자리를 틀었다. 메테오라의 수도원에서는 들릴듯 말듯한 종소리로 식사시간을 알려 스치는 상념이라도 유혹의 불구덩이가 될 수 있음을 경계하지만, 새로운 왕은 비교의 덫으로 이내 권좌를 쟁취했다. 그는  욕망의 그릇으로 가치를 저울질하며 자신을 닮은 복제품들을 확대재생산하고 있다. 그가 패를 돌리는 한  인간도, 자연도 승자가 독식하는  winner-takes-all의 소모전을 피할 수 없다. 수직과 수평의 조화를 꿈꿔야 할 시점인 이유이다.

 

내 것은 인간의 영역이다. ‘우리 것은 신의 영역이다. 풍요를 진하게 맛 본 인간이 자신의 영역을 초월하여 내 것을 우리 것으로 나눈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그렇지 않으면 희망은 밝지 않다. 정치학자 브라이언 터너는 인간의 연약함과 취약성 그리고 그에 수반되는 연민이 인류를 단결시킬 수 있는 유일한 보편적 감정이라고 주장했다. 그의 말에 전적으로 동감한다.

 

믿음은 바라는 것들의 실상이요 보이지 않는 것들의 증거니라.’ 머리로는 이해가 되지만 가슴까지는 전달되지 않는 상황에 대해 히브리서의 저자는 일찍이 이렇게 말했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신령의 땅 아크로폴리스(언덕 위의 도시)에 신전을 짓고 이상의 실현을 기도했다.

수평에 수직을 세울 때 먼저 해야 할 일은 일단 멍석을 까는 것인가 보다.

IP *.236.3.241

프로필 이미지
미옥
2010.08.23 14:07:24 *.139.218.214
멍석을 깔고 나면 그 다음엔 뭘 해야해요?
오빠?
프로필 이미지
상현
2010.08.23 14:25:03 *.236.3.241
이 도발적인 질문은 그래서 나의 믿음이 무엇이냐는 거지?^^
 
다 갈켜 줄 수는 없지만 맨 땅에 헤딩하는 기분이 들더라도
내가 세운 믿음대로 질러봐야겠지. ㅎㅎㅎ
프로필 이미지
미옥
2010.08.23 14:30:57 *.139.218.214
기대되는 걸요!  ^^
화이팅을 보냅니다. 마음 깊은 곳으로부터!! 
프로필 이미지
은주
2010.08.23 14:42:33 *.42.252.67
수직과 수평의 조화. 갑자기 절벽의 수직과 수도원의 수평이 떠오르면서

그 안에서 얻었던 깊은 감동이 느껴지네.

원하는 그 모든 것을 수직과 수평의 조화로 이루어 나가는 삶에

수도원에서  초를 켜고 기도한 바와 같이 모두가 원한대로 되기를 다시 빌어보아.
프로필 이미지
상현
2010.08.25 15:15:30 *.236.3.241
그러네 ㅎㅎ 절벽과 수도원이 합하여져 수직과 수평을 이루었네~~

수도원 기행할 때는 부산한 마음에 못 느꼈는데, 지나 놓고 나니
잔영에 자꾸 남더라구요.

모든 이에게 모든 것이 되기를.
프로필 이미지
진철
2010.08.23 20:40:35 *.154.57.140
멋진 수직이었는데.. 뭔가 수평이 아쉽다..
수평...수평.. 혹시 그리스 에개해의 수평선이나.. 수평적 네트워크에서 뭔가 떠오른 거 없니?
강한 수직과 함께 함께 어울릴만한 수평.. 예를들어.. 원근법의 시도를 더 살려서..
르네상스..영지주의의 부활.. 인간의 삶 속에 함께 수평적으로 어울리는 신들의 이야기..
뭔가가.. 좀 더 있을 거 같은데.. 상현아...아~~~
프로필 이미지
상현
2010.08.23 22:17:12 *.212.97.253
좋은 비평, 고맙다. 집중력이 부족했다. ㅎㅎ
바꾸긴 했는데 썩 마음에 들지는 않네. 차근히 다시 봐야겠다.
이미지로 선명하게 대비시킬 만한 게 있을 것 같은데....
프로필 이미지
낭만
2010.08.24 08:22:13 *.203.200.146
그리스의 그곳에서 얻은 영감으로 쓴 글~~ 부럽삼^^
바라는 것의 실상, 보이지 않는 증거...내 안의 그것이 무엇인지를 확고히 하고 그대로 달리는 것, 그리고 수평과 수직의 조화가 함께 해야 내꿈의 현실이 되겠죠.
저는 제 영역에 믿음을 확고히 하는 작업중~
프로필 이미지
상현
2010.08.25 15:19:07 *.236.3.241
내년에는 남자친구랑 연구원 연수가게 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ㅋㅋㅋ
올해 아쉬웠던 만큼 바라는 것의 실상이 내년에는 정체를 드러내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화이팅 !!!
프로필 이미지
우성
2010.08.24 22:00:24 *.34.224.87
수도원에 한번 가보고 싶었지.
가서 초 키고, 기도한번 하고,
신들앞에서 멋지게 술한잔 하며
'또한 안주와 함께' 해보고 싶었지.. ㅎㅎㅎ
안전이 수직방향으로 인식되었다....참으로 멋진 말이다..
프로필 이미지
상현
2010.08.25 15:24:32 *.236.3.241
수도사복 입은 형의 모습도 꽤 괜찮을 것 같네요 ~
형은 화들짝 놀랄 지도 모르겠지만 ㅋㅋㅋ

제러미 러프킨이나 자크 아탈리나 통찰력을
글로 압축해 표현하는 능력이 탁월해 보입니다.
글쓰기 교감으로 애용해봐야겠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맑은
2010.08.25 00:07:19 *.129.207.200
유럽 다녀오셨으니, 유러피언 드림이 잘 어울리는군요. 제가 본 유럽인들은, 특별히 한국인과 다르지 않다는 생각입니다. 시장에서 상인들이 좀 더 친절하더군요. 물건 안산다고 면박주지도 않고. 

자동차 눈여겨 보았는데요. 중형차 보셨어요? 유럽이라는 큰 땅덩이에 비해, 소형차가 대부분인 것이 인상 깊었습니다. 

메테오라 수도원, 테살로니아 평원 잘 보셨네요. 저는 봐도 잘 모르겠던데...

어떤면에는 이미 평평하면서도, 수직적이라고 봅니다. 기회는 점점 평중화되는 한편, 기회를 잡는 사람들 격차는 커지지요. 능력과 돈이 없다면, 기회가 와도 잡지 못하지 않습니까?  

지금 세상은 끊임없이 수직적, 수평적으로 뻗어나가는 느낌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상현
2010.08.25 15:31:47 *.236.3.241
제러미 아저씨가 얘기한 미국과 유럽의 차이가 자동차 크기에서 느껴지더라.
유럽인은 미국인에 비해 공동체의식이 강하다는 느낌을 받았어.

기존의 수직이 상승의 이미지였다면, 요즘의 수직은 추락의 이미지가 강한 것 같아.
그래서 참기가 어려운 것이겠지.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92 아이 방 드레싱 1 - 핑크와 파랑은 엄마의 취향? file [4] 불확 2011.03.11 3373
891 나비No.6 - 아비 수달의 마음 [12] 유재경 2011.05.07 3373
890 [20] 아무도 모르는 폭력 [3] 2008.09.08 3374
889 [26] 일하면서.... 낮에 꾸는 꿈 [6] 校瀞 한정화 2007.10.01 3375
888 꼭지글 - 새 옷 갈아입기(공간 변신) 셋 - 주방 드레싱 [2] 혜향 2010.02.15 3375
887 [양갱] 내 인생의 경험을 바탕으로 꿈꾸는 미래 모습! 양경수 2011.07.12 3375
886 10월 오프수업- 나의 첫 책 (1차안) file 예원 2009.10.16 3376
885 [30]날라리 연구원의 새로운 경험 ? 유럽의 골동품 콜렉터에서 다이내믹 메디테이션까지 [7] 구라현정 2008.12.23 3379
884 미스토리로 두 마리 토끼 잡기 [6] 한명석 2009.07.30 3379
883 나비 No.19 - 오프수업과제 '나의 첫 책 프로필' file [4] 유재경 2011.09.06 3383
882 [12] 포옹일기 [6] 素賢소라 2007.06.24 3385
881 [13] 글자가 밥이 될수 있다면 [12] 2008.07.06 3385
880 창조자의 초상(Exemplary Creator)에서 배운 것들 [4] 김홍영 2009.05.25 3385
879 #26. 신치의 모의비행-고독한 시간을 찾아서 [8] 미나 2012.04.18 3386
878 끈적끈적한 거미줄처럼 [3] 숙인 2009.12.28 3389
877 [칼럼 33] 정 떼는 연습 海瀞 오윤 2007.11.21 3390
876 단상(斷想) 61 - 멘토와 멘티 file [4] 書元 2011.04.24 3391
875 [꿈그림]3. 인물화를 그리면서 2 [1] 한정화 2008.12.12 3392
874 유교문화권의 침투력 [1] 예원 2009.11.23 3392
873 [사자팀-칼럼6] 창조적 소수의 실존적 자기분석 사례 [2] 書元 이승호 2009.11.30 33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