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신진철
  • 조회 수 2307
  • 댓글 수 4
  • 추천 수 0
2010년 9월 1일 19시 39분 등록

물길을 가장 아름답게 하는 것, 물길 스스로다.
- 고 이윤기 선생님을 기리며...

까칠하게 깎은 반백의 머리, 그 아래로 드러난 하얀 이빨, 검게 그을린 얼굴이, 얼마나 많은 시간 그가 지중해와 유럽의 태양아래 있었는지 가늠케 한다. 아직은 아까운 63세의 나이, 그가 펜을 놓고야 말았다.

그의 부고를 받던 그 시간, 나는 ‘제9회 강의날대회’가 진행되던 안동의 하회마을 만송정 솔 숲에 있었다. 새벽하늘 위로 커다란 달무리를 보고 있었다. 내일은 슬픈 비가 내리겠다 싶었는데, 메시지가 먼저 알고 울었다. 심장마비, 준비하던 것들도 있었다고 한다. 갑작스런 그의 죽음, 그렇지만 그는 행복했으리라. 길 위에서 죽었으니. 평생 신들의 이야기를 찾아, 먼 이국땅을 떠돌기를 마다하지 않았던 그였다.

세상에 숨겨진 갖가지 암호같은 코드들을 찾아 그는 우리에서 또 다른 세상 보여주는 일을 평생 하였다. 인간의 모습을 한 신들의 이야기를 좇아, 그는 우리의 삶을 물어왔다. 그의 이름으로 지어진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가 그랬다. 이탈리아에서, 그리스로 그리고 다시 페테르부르크 여름 궁전에 이르기까지 그의 발길이 닿지 않은 곳이 없었다. 그의 손길을 거쳐 가지 않은 신들이 없었다. 그의 눈길은 백화점의 장식품 하나에 마저도 숨겨진 의미를 꿰뚫어 내었고, 그가 본 세상은 우리와 함께 있으면서도 우리가 잃어버리고 살아온 세계였다.

나는 그의 글을 통해 ‘움베르토 에코’를 만나게 되었고, 기호학이란 것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나는 그를 통해 중세 수도원의 비밀을 파해쳐 가던 베네딕트 수도사인 윌리엄의 숨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 그 긴장의 순간에, 그는 나를 시간과 공간을 거슬러 손에 땀을 쥔 채로, 등불을 비쳐들고 서 있게 했다. 내가 알지 못했던 숨겨진 비밀이 하나씩 풀려가던 시간들이었다.

우리는 그가 옮긴 ‘오비디우스의 변신이야기’를 읽었고,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들’의 이야기를 들었다. 그는 신화 속으로 들어가는 열쇠를 쥐어 주었고, 에게해 푸른 바다 위를 떠돌던 우리에게 니코스 카잔차키스와 그리스인 조르바를 사랑하게 하였다. 그가 그 많은 책들을 옮기고, 적지 않은 글을 쓰면서 우리에게 말하고 싶었던 것은 무엇일까.

그는 장지오노의 ‘나무를 심은 사람’처럼 살았다. 그렇게 살다 간 그가 말한다.

‘물길을 가장 아름답게 하는 것은 물 스스로’라고.

나는 이렇게 듣는다.

‘삶을 가장 아름답게 하는 것은 그대 스스로’라고.

흐르는 강물을 사랑했던 그는 이제 스틱스 강을 건너, 이미 망각의 강이라는 레테를 건넜을지도 모른다. 나는 그 무뚝뚝하다는 카론에게 쥐어 줄 노자 돈 하나 보태지 못하였다. 아니 아직은 그를 보내고 싶지 않아서, 그를 잊고 싶지 않아서 일지 모른다. 그가 남기고 간 것은 무엇이고, 그가 준비하고 있었던 것은 무엇이었을까. 그의 병상을 찾아들던 하데스의 양해를 구해서라도 하고 싶어라 했던 일, 혹여 신들과 함께 춤을 추는 그의 신화는 아니었을까.

펜을 놓은 글쟁이. 더는 쓸 수 없는 목숨. 그가 우리에게 남기고 간 유품들 속에서 나는 그의 유서를 배껴 적는다. “신들처럼 살라고, 아니 신들조차 질투 나는 삶을 쓰라”고.

닮고 싶었던 그의 삶과 새롭게 시작할 그의 죽음에 깊은 애도를 보냅니다.

IP *.105.115.207

프로필 이미지
상현
2010.09.01 20:49:19 *.236.3.241

네 말 처럼 한번도 본 적 없는 분인데 부고 소식을 듣고
가슴이 먹먹하더라. 그 분을 통해서는 '신화' 이상의 느낌을
받았던 것 같다.

 유서가 멋지구나. 정말 질투나는 유언을 남기셨구나.

 아름답게 살다 간 인생에 힘찬 석별의 박수 보냅니다.

프로필 이미지
한명석
2010.09.02 11:54:36 *.251.229.108
그의 필생의 작업에서 많은 것을 얻은 우리 변경에
그에 대한 추도사 한 마디가 없으면 서운하다고 생각했는데
진철씨의 글에 고마운 심정까지 듭니다.

프로필 이미지
백산
2010.09.02 13:50:34 *.131.127.50

나는 우리의 삶이 없으면  신화도 없다고 생각하지
삶이 사건을 만들고 이야기를 만들고
그리고 전설과 신화를 만든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신들을 미워하거나 화를 냈던 것은
내가 바라던 것,  내가 갖을 수 없는 것을 갖고 있기 때문일거야...

그를 통해서 신화에 한 걸음 다가가게 되었었는데...

어디를 가든 그는 신들의 가호가 있을 것이다.
프로필 이미지
cartier bracelet
2010.10.15 11:58:17 *.43.235.51
GOOD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52 라뽀(rapport) 22 - 자극(stimulus) 그이상을 넘어 書元 2010.09.05 2156
1851 하계연수 단상6 - 달려야 하니 file [1] 書元 2010.09.05 2623
1850 하계연수 단상5 - 정신적 향수(鄕愁) file [2] [2] 書元 2010.09.05 5087
1849 칼럼. 성실맨, 민수. [17] 낭만연주 2010.09.05 2356
1848 오리오의 명상 file [12] [2] 이은주 2010.09.05 2570
1847 [그림과 함께] 그림 함께 읽어볼까요? file [2] 한정화 2010.09.04 2607
1846 응애 30 - 불의 문 - 테르모필레 [6] [3] 범해 좌경숙 2010.09.03 4121
1845 지금 사람들에게 필요한 것... [4] 백산 2010.09.03 2405
1844 심스홈 이야기 12- 우리 집 거실 이야기 file [4] 불확 2010.09.03 2682
» 물길을 가장 아름답게 하는 것...[고 이윤기 선생을 기리며] [4] 신진철 2010.09.01 2307
1842 [먼별2] <단군의 후예 11 - 로맨티스트 직장인: 김병진님 인터뷰> [2] [1] 수희향 2010.09.01 2551
1841 [그림과 함께] 나의 하루에 당신의 지문이 남았습니다 file [5] 한정화 2010.08.30 2620
1840 진태의 살아남기 [5] 낭만연주 2010.08.30 2478
1839 가을을 선언하다 [11] 박상현 2010.08.30 2588
1838 나의 무의식이 나의 눈을 찔렀다 [7] 이선형 2010.08.30 2433
1837 [컬럼] 미래의 창조 [6] 최우성 2010.08.30 2694
1836 깨어있으라! [6] 박경숙 2010.08.30 2305
1835 강에서 배우는 것들 [4] 신진철 2010.08.30 2382
1834 자영업자로 살아남기 위해, 회사에서 준비해야 할 것 [4] 맑은 김인건 2010.08.30 2662
1833 라뽀(rapport) 21 - 취중(醉中)의 공간 [1] 書元 2010.08.29 25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