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은주
- 조회 수 2197
- 댓글 수 0
- 추천 수 0
12월 off 수업 과제물
A. 명료히 정리해라. (중언부언 하지 마라 줄이고 줄여 정돈하라)
l 제목: 개들이 본 인간들의 세상
l 나는 왜 이 책을 쓰게 되었나?
나의 첫 강아지 지나와의 추억과 현재에 기르고 있는 개들과의 이야기는 내가 가진 살아있는 경험이자 자신이 있는 분야였다. 점점 기계화 되어가는 현실의 삶 속에 묻혀져 가는 감성을 깨우는 따뜻한 이야기들을 나누고 싶었다. 또한 가족 안에서도 느껴지는 외로움, 혼자 사는 사람들, 나의 경우처럼 자식들이 커서 둥지를 떠나고 난 후 썰렁한 빈 둥지를 채워주는 또 다른 가족의 형태의 반려 동물이 우리에게 주는 희로애락에 대해 말하고 싶었다. 이 이야기를 통해 반려 동물을 키우고 있는 사람들, 아니면 생각은 있지만 마음의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이 책을 쓰게 되었다.
l 이 책의 주제는 무엇인가? (3개의 Key words 를 선택하라. 그리고 그 중 하 나의 키워드를 선택해라.)
1. 채워지지 않는 외로움
2. 반려 동물이 사람들에게 주는 기여.(사랑, 행복 등)
3. 생명체에 대한 책임감
주제 : 2번 반려 동물이 인간들에게 주는 ‘희로애락’
l 이 책의 차별성은 무엇인가? ( 3가지 차별성을 구하고, 각 차별성에 대하여 3-5 줄로 설명해라)
1. 오랜 시간을 개와 함께 한 자전적 에세이- 개와 같이 살아 보지 않고 자료만으로 쓸 수 없는 일상에서 일어나는 해프닝’희로애락’에 대한 이야기들을 잔잔히 풀어간다.
2. 개로부터 얻을 수 있는 삶의 교훈과 장점- 내가 밥을 주고 같이 살아가는 귀여운 애완견의 이미지를 벗어나, 개의 행동이나 특성에서 배울 수 있는 장점, 강점을 찾아 사람들이 살아가는 삶에 접목 시켜 보았다.
3. 개가 책을 쓴 형식 - 개의 시각으로 본 세상과 나의 있었던 에피소드와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들을 개의 입을 빌어 이야기를 하고 마치 개가 책을 쓴 형태로 보여진다.
l 나는 이 책의 독자에게 무엇을 줄 수 있나? (3가지 혜택을 써라. 각 혜택에 대하여 1줄로 설명해라)
1. 개와 함께하는 삶의 이해 폭 확대- 개를 잘 모르는 사람이 정서적으로 지식적으로 개와 사람과의 관계, 개들의 세계에 대한 이해의 확장에 도움을 줄 것이다.
2. 생명체의 소중함- 같이 숨을 쉬고 함께 살아가는 개들이 살아가는 방식 이해하기.
3. 개에 대한 인식 바꾸기- 아직까지 개에 대한 인식이 낮다. 좋은 쪽으로 바뀌어 나가는데 기여.
B 세부 목차를 만들어라.
제 1 부: 개가 본 세상
희: 그와의 극적인 만남
나도 할 말이 있어요.
제 친구들과 이야기 하실래요?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그리스 등 즉 여행지에서 만나 기던 친구들과의 추억담과 소개)
동물 견문록
노: 지나 나의 첫 강아지
하늘로 띄워 보내는 편지
인사동 외팔이
힘든 선택으로 만난 새 친구- 흰둥이
반쪽 인생 –반쪽이
애: 충만한 사랑 행복이 두 배.
말하는 개, 오리오
몸으로 하는 대화
오리오의 명상
락: 달려라 나의 꿈을 향해
미션 개 인파서블
내 마음 나도 몰라
개들과의 행복한 동행
제 2 부: 개처럼 살자.
l 개 같은 리더가 되자.
l 개 같은 부모가 되자.
l 개들에게 배울 테마별 강점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2072 | 안녕하세요^^ | 카라 | 2010.12.18 | 2138 |
2071 | 응애 45 - 크리스마스 카드 [4] | 범해 좌경숙 | 2010.12.17 | 2689 |
2070 | 야,마,토게-임☆릴,게-임야,마,토 | 이지연 | 2010.12.17 | 2138 |
2069 |
[뮤직라이프] 2호 - 슬픈 인연 ![]() | 자산 오병곤 | 2010.12.17 | 2921 |
2068 | 첫 책 기획 [5] | 부지깽이 | 2010.12.15 | 2434 |
2067 | [12월 오프과제] 나의 첫책 version 3.0 | 신진철 | 2010.12.13 | 2118 |
2066 | [12월 오프수업] 첫 책 목차 version 1.0 [3] | 최우성 | 2010.12.13 | 2324 |
2065 | 12월 오프과제 | 박경숙 | 2010.12.13 | 2227 |
» | 12월 오프과제 | 이은주 | 2010.12.12 | 2197 |
2063 | 라뽀(rapport) 35 - 담밖의 장미보다 내 집안의 채송화가 소중하다 | 書元 | 2010.12.12 | 2445 |
2062 |
하계연수 단상34 - 아름다운 청년 ![]() | 書元 | 2010.12.12 | 2106 |
2061 |
하계연수 단상33 - I see you ![]() | 書元 | 2010.12.12 | 2035 |
2060 |
변화경영 연구소 Song년회 ![]() | 書元 | 2010.12.12 | 2329 |
2059 | 12월 오프과제_V2.0 | 박상현 | 2010.12.11 | 2133 |
2058 | 12월 오프과제, 목차 | 맑은 김인건 | 2010.12.11 | 2138 |
2057 | <12월 오프> Version 2.0 [3] | 김연주 | 2010.12.10 | 2119 |
2056 | [12월 오프과제] Version 1.0 [4] | 김연주 | 2010.12.10 | 2377 |
2055 |
[뮤직라이프] 1호 - 가리워진 길 ![]() | 자산 오병곤 | 2010.12.09 | 8247 |
2054 | [12월 오프과제] Version 1.0 [5] | 이선형 | 2010.12.09 | 2061 |
2053 | [12월 오프과제] version 2.0 [2] | 신진철 | 2010.12.09 | 215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