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crepio
  • 조회 수 2400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11년 2월 9일 13시 17분 등록
설을 잘 쇠셨습니까?
잠깐 누그러졌던 날씨가 다시 쌀쌀해 지고 있습니다. 다들 다시 추워진다고 걱정이지만 저는 그렇지 않습니다.
겨울이라면 이 정도는 추워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이 보다 더 춥고, 더 오래간다면 문제이지만 두꺼운 외투를 입고 그것도 모자라 목도리는 둘러야 되는, 그런 정도가 적당한 겨울 날씨 아닐까 싶네요....

물론 이런 날에도 노숙을 해야 하는 분들을 생각한다면 늘 따뜻해야겠지요만....

표범과 호랑이의 유형을 한꺼번에 올립니다. 

3) 표범/Boutique (시장 小/호응마케팅 활용)

 

표범은 매혹적인 킬러이다. 소리소문 없이 다가와 사냥을 하고, 어느새 자신만의 세계인 나무 위로 사라진다. 하이에나처럼 없어보이는 맹렬한 기세도 없고, 타조처럼 허장성세를 부리지도 않는다. 마치 평민과는 어울리지 않으려는 귀족처럼 대중들의 눈에 띠지 않게 조용하고 유연하게 움직인다. 그리고 하이에나나 사자 같은 경쟁자와 다투지도 않는다. 경쟁자들이 자신의 먹이를 탐내면 맞서 싸워 먹이를 지키기 보다 경쟁자들이 쫓아오지 못하는 나무 위로 도망간다. ‘올 테면 와 바라는 식이다. 

 

자신만의 세계가 있고 그 세계에서는 어떤 존재보다도 강하다. 상대적으로 좁은 영역 속에 살지만 막강한 힘을 지니고 있어 어느 누구도 감히 그 영역을 넘보지 못하는 경우이다.  그렇지만 밀림의 왕은 아니다. 수십만의 대군을 이끌고 전쟁을 하는 장군은 아니지만 혼자의 실력으로 세상의 정의를 구현하는 자객정도라고 할까.  그것도 잘생기고, 몸매도 좋은 그런 자객이다.  

 

이 유형의 1인 기업들에게 대중적 수요는 없다. 하지만 소수의 매니아적 수요는 항상 존재한다. 또 이들의 사업은 진입장벽이 높다. 매우 높은 무공이 아니면 쉽게 들어 오지 못한다든지 아니면 대규모 자본이 투자되어야 한다. 대량시장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경우 수익성이 높은 시장에서 명품 브띠크 형태로 성장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유형은 ‘Boutique’라고도 부른다. 그렇기 때문에 표범은 단순히 블로그나 메일링과 같은 개인 마케팅에만 머물지 않는다. 작지만 항상 존재하는 수요에 의해 강연, 칼럼 기고 등과 같은 호응 마케팅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수입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표범 유형에 속하는 1인 기업은 자신의 성향에 따라 두 가지 전략 방향을 택할 수 있다. 그 첫 번째는 소수 충성고객들과 더욱 깊은 연대를 형성하며 현 상태를 고수 하는 것이다. 자신을 원하는 매니아들에게 더욱 특화된 제품/서비스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더욱 더 그들과 밀착하는 것이다. 사업을 크게 키워서 세상에 명성을 떨치고 싶거나 큰 돈을 벌고 싶은 생각이 없다면 자신만의 작은 영토에서 매니아들과 깊은 관계를 맺고 전문분야를 더욱 깊이 있게 연구하면서 사는 것도 좋을 것이다. 

 

두 번째로는  자신이 가진 가치를 대중화시키고 이를 통해 불특정 다수의 고객 층을 더욱 육성하여 대중적 스타의 수준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이미 표범이 아니라 호랑이의 경지로 넘어 가는 것이다. 

 

4)호랑이/Untouchable (시장 大/호응마케팅 활용)

 

호랑이는 숲의 지존이고 밀림의 왕이다. 자신이 원할 때 언제든지 먹이를 찾아 먹을 수 있고, 배고프지 않을 때는 먹지 않을 자유도 있다. 이 숲(시장)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것이 바로 나라는 것을 거의 모든 고객들이 알고 있다. 그가 영향력을 미치는 영토도 엄청나게 넓다. 헤엄을 잘 쳐서 강을 건널 수도 있기 때문에, 먹이를 찾아 광활한 영역을  옮겨 다닐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주변에 먹이가 많으면 50km, 없으면 300km까지 한 마리의 호랑이가 관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생태계의 최상위 존재로서 아주 빨리 뛸 수 있고, 9m 정도는 단숨에 뛰어 건널 수 있다. 먹이를 사냥할 때는 순식간에 목뼈를 꺾거나 목을 물어 일격필살(一擊必殺) 할 수 있는, 다른 동물은 흉내내기조차 힘든 필살기를 가지고 있다. 뼈와 내장은 먹지 않기 때문에 주변의 상대적으로 약한 포식자들에게 먹이를 남겨 주기도 한다.

 

이런 호랑이에 비유될 수 있는 1인 기업은 그에 대한 대중적 수요도 있고 브랜드 명성과 같은 경쟁력도 탁월하여 그 누구도 감히 경쟁하지 못하는 수준을 말한다. 대중적 시장에서 타고난 천재적 역량을 지녔거나 부단한 노력으로 다른 경쟁자와 자신을 확실히 차별화하였기 때문에 이들을 ‘Untouchable’이라고 부를 수도 있다. 감히 도달할 수 없는경지에 이르렀다는 의미이다.

 

당신은 이런 유형의 1인 기업이 아닐 것이 분명하다. 그렇다면 지금 이 책을 읽을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이들은 개인마케팅은 더 이상 필요 없다. 모든 것이 호응마케팅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호랑이들은 출판사에서, 방송국에서, 각종 세미나/강연에서 모셔가려고 줄을 서야 하는 지경이다. 이 정도되면 자신의 일정과 명성을 관리해 주는 매니저가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이런 호랑이라고 해서 가만히 있어도 모든 일이 술술 풀리는 것은 아니다. 진짜 호랑이는 끊임없이 자신의 영토를 순찰하고 영역 표시를 하고 혹시라도 침범한 경쟁자가 있으면 목숨을 걸고 싸워서 영토를 방어한다. 물론 1인 기업이 목숨을 걸고 싸울 일은 없겠지만 목숨을 걸고 자신의 영역을 연구 개발할 필요는 있을 것이다. Untouchable의 경지에 오른 호랑이라 할지라도 개인의 브랜드 명성을 지속적으로 향상시켜 나가야 하며, 더 나아가 지금껏 존재하지 않던 블루오션 시장을 개발함으로써 자신이 속한 생태계의 파이를 키워 나가야 한다. 이를 통해 경쟁자와 win-win을 추구하는 차원 높은 전략을 펼쳐 나가야 한다.

 

 


 
IP *.246.196.46

프로필 이미지
해운과 범해
2011.02.09 15:44:49 *.38.185.188
표범과 호랑이도
자기가 줄 수 있는 것을  내놓기 전에
고객이 원하는 것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나요?

모든 성공적인 커뮤니케이션은 최면이라는데...
우리도 사람을 설득하는 기술을 논할 때가 된 것 같아요.   프로젝트 매니저님.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12 천담에서 구담가는 길 (3) file 신진철 2011.02.17 2670
2211 천담에서 구담가는 길 (2) file [2] 신진철 2011.02.17 2659
2210 작가로서 어떻게 먹고 살 것인가? [3] 맑은 김인건 2011.02.15 2452
2209 < 자신의 인생을 지휘하고 싶은 아이 > 김연주 2011.02.14 2365
2208 [Tip 2] 마음을 결정하기 전에 꼭 확인해야 할 것 [3] 이선형 2011.02.14 2428
2207 [호랑이 실험 1- Case Studies 실험 키트] file [1] 수희향 2011.02.14 2157
2206 <소설> 우리 동네 담배가게 아저씨 나폴레옹(9) [5] 박상현 2011.02.14 2368
2205 [컬럼] 상처회복 메뉴얼 [6] 최우성 2011.02.14 2495
2204 종합 영양제 [5] 이은주 2011.02.14 2375
2203 목차 수정-ver11 박경숙 2011.02.14 2230
2202 칼럼-인지의 전환을 하라 박경숙 2011.02.14 2447
2201 라뽀(rapport) 41 - 살아 남은자의 슬픔 [1] 書元 2011.02.13 2239
2200 단상(斷想) 50 - 행복 마켓 file 書元 2011.02.13 2239
2199 천담에서 구담가는 길 (1) file [5] 신진철 2011.02.13 3102
2198 장보기 1탄 - 나의 보물창고 '동대문 종합시장' file [10] [2] 불확 2011.02.11 4485
» 호랑이 프로젝트 - 표범과 호랑이 [1] crepio 2011.02.09 2400
2196 응애 55 - 외로운 글쓰기 [8] 범해 좌경숙 2011.02.08 2524
2195 <소설> 우리 동네 담배가게 아저씨 나폴레옹(1~8) [3] 박상현 2011.02.07 2367
2194 프롤로그 - 혹시 당신의 아이, 사랑한다면서 원수처럼? [4] 김연주 2011.02.07 2297
2193 [칼럼] 우리가 서로 다르다는 것 [7] 이선형 2011.02.07 2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