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신진철
  • 조회 수 2528
  • 댓글 수 4
  • 추천 수 0
2011년 2월 20일 20시 20분 등록

프롤로그

 

그때 누군가의 목소리가 들렸다.
“너는 이제 강으로 가라”
두려움 숨길 수조차 없는 준엄함이었다. 눈을 뜨지 못했다. 더는 물러설 곳 없는 절벽 끝에 선 등을 떠밀었다. 아릿한 갯내음이 스쳐갔다. 파도소리조차 기억나지 않는다.

그리고 소란이 일었다.
햇볕이 부서져서 바닥까지 쏟아져 들어오는 시간. 비수 같던 달빛에 피를 토해내던 제 조상들. 붉어진 몸뚱아리.. 때가 되었다. 되돌아 갈 수도, 되돌이킬 수도 없는. 이제 거슬러 올라야만 한다.

마흔 넷. 흔들리지 않는 나이, 불혹이라던데. 내게 마흔은 ‘불혹이 되어야 하는 나이’였다. 나는 물어야 했다. 나를 키워 온 강물에 제 아비의 삶을 들어야 했고, 끊임없이 거슬러 오르라는 부름에 갈 길을 물어야 했다.

강은 ‘경계’다. 그리스 로마 신화에 나오는 스튁스 강은 산자와 죽은 자의 구분이다. 한 번 건너면 다시 돌아올 수 없다. 이제 레테의 강을 건넌 자에게 이승의 기억은 더 이상 없다. 기원전 49년,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군대를 이끌고 루비콘 강을 건넜다. 그것은 로마의 국법을 어기는 일이었고, 다시는 돌이킬 수 없는 길이었다. 주사위는 던져졌다.
기원전 206년, 중국 한(漢)나라의 한신이 강을 등지고 진을 쳤다. 병사들이 물러서지 못하고 힘을 다하여 싸웠고, 조(趙)나라의 군사를 물리쳤다. 
 

1592년 임진왜란, 신립 장군은 북상해오는 왜군을 맞서 충주 탄금대에서 배수진을 쳤지만, 끝내 패했다. 그는 부하장수와 함께 강물에 몸을 던지고 말았다.
이듬해 7월, 진주 남강에서 논개는 술에 취한 왜장과 함께 목숨을 떨구었다. 백제의 몰락은 삼천궁녀를 벼랑 끝으로 몰아세웠고, 백마강에는 붉은 꽃잎들이 흩어졌다. 기억하기도 어렵게 오래 전 백수광부의 아내는 사랑하는 이를 좇아 강물에 몸을 맡겼다.

강은 치유다. 예수는 세례자 요한에게서 세례를 받았다. 요르단 강이었다. 지금도 갠지스 강에서는 몸을 씻는 영혼들이 있다. 죄를 씻고, 새로이 태어나기 위함이다.
강은 풍요다. 이집트의 번영은 정기적인 범람이 가져다 주던 나일강의 선물이다. 패전 후의 독일에게 라인강은 젖줄이었고, 보릿고개를 넘어야 했던 우리에게 한강은 기적이었다. 

강은 또한 두려움이다. 순리를 거스르면, 모든 것을 집어 삼키는 분노에 찬 용龍이다. 그리고 강은 시간이다. 흐르는 강물처럼 유년시절의 추억을 더듬어 가게도 하고, 그랜드 캐년에 지구의 연대기를 깎아 짓는 타임캡슐이기도 하다.  

넘어서면 안 되는 경계.. 두려움이자 한없이 감싸 안고 도는 것.. 젖줄.. 포용.. 치유.. 제 몸이 썩어지도록 세상의 온갖 것들이 다 흘러들어 하나로 섞이고, 다른 생명들을 품어 키우는 존재. 막힐수록 감싸 안아 돌고, 막아서면 가득 채워 넘고 그렇게 세상의 가장 낮은 곳을 향해서 흐르는 江. 이 모든 것들이 하나로 이어지는 단어가 있다. 언제든 돌아가고 싶은 여인의 품... 바로 어머니였다.

때가 되면 법수치法水峙 계곡에 연어들이 모여들 듯, 흐름에 제 몸을 맡기지 않고 끊임없이 헤엄쳐 오르는 것은 오직 살아있기 때문이다. 자신이 태어난 곳, 자신의 꿈을 찾아가는 본능의 힘이기도 하다. 나는 다만 거스르지 못할 뿐이다.

 

IP *.105.176.105

프로필 이미지
상현
2011.02.21 11:46:34 *.236.3.241
강을 따라 흐르는 자 누구이고,
강을 거슬러 오르는 자 누구인가.

발원을 향해 헤엄쳐 오르는 건
우리가 생명의 자식임을 제 눈으로 확인하는 것이리라.
강에게는 순리가 아니지만
생명의 명을 따르므로
너는 순리다.

生을 다하여 命을 다하여
흐드러진 봄을 피워보더라고, 친구.
프로필 이미지
진철
2011.02.21 15:19:00 *.105.176.105
꿈보다 해몽이 좋다. 너 혹시 실업자 되면... 나랑 같이 육교 위에 돗자리 하나깔까?
프로필 이미지
우성
2011.02.21 13:43:14 *.30.254.21
멋있다...
진철아..
멋있어..

메타포가 많은 것이 너나 상현의 단점이자 장점이구나..
아무튼 나는 니 글이 멋있다..

상현이는 평론가 같은 소설가 같고
묙이는 전략가 같은 소설가 같고
너는 시인같은 소설가 같고
암튼 그래..화이팅 이다..

프로필 이미지
진철
2011.02.21 15:20:14 *.105.176.105
형은 늘 좋데... 좋은 것만 보고 사는 사람이라서 그리 웃음 넉넉하고.. 행복한 건지..ㅎ
형이 부럽수... 나 잘되면. 뒷돈대서 국밥집 챙깁시다.. 형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12 [33] 시련(11) 자장면 한 그릇의 기억 secret [2] 2009.01.12 205
5211 [36] 시련12. 잘못 꿴 인연 secret [6] 지희 2009.01.20 209
5210 [38] 시련 14. 당신이 사랑을 고백하는 그 사람. secret 지희 2009.02.10 258
5209 [32] 시련 10. 용맹한 투사 같은 당신 secret [2] 2008.12.29 283
5208 [37] 시련. 13. 다시 만날 이름 아빠 secret [3] 2009.01.27 283
5207 [28] 시련(7) 우리가 정말 사랑했을까 secret [8] 지희 2008.11.17 330
5206 칼럼 #18 스프레이 락카 사건 (정승훈) [4] 정승훈 2017.09.09 1661
5205 마흔, 유혹할 수 없는 나이 [7] 모닝 2017.04.16 1663
5204 [칼럼3] 편지, 그 아련한 기억들(정승훈) [1] 오늘 후회없이 2017.04.29 1717
5203 9월 오프모임 후기_느리게 걷기 [1] 뚱냥이 2017.09.24 1746
5202 우리의 삶이 길을 걷는 여정과 많이 닮아 있습니다 file 송의섭 2017.12.25 1749
5201 2. 가장 비우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 아난다 2018.03.05 1779
5200 결혼도 계약이다 (이정학) file [2] 모닝 2017.12.25 1780
5199 7. 사랑스런 나의 영웅 file [8] 해피맘CEO 2018.04.23 1789
5198 11월 오프수업 후기: 돌아온 뚱냥 외 [1] 보따리아 2017.11.19 1796
5197 (보따리아 칼럼) 나는 존재한다. 그러나 생각은? [4] 보따리아 2017.07.02 1797
5196 12월 오프수업 후기 정승훈 2018.12.17 1799
5195 일상의 아름다움 [4] 불씨 2018.09.02 1805
5194 칼럼 #27) 좋아하는 일로 먹고 사는 법 (윤정욱) [1] 윤정욱 2017.12.04 1809
5193 [칼럼 #14] 연극과 화해하기 (정승훈) [2] 정승훈 2017.08.05 1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