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사샤
  • 조회 수 2278
  • 댓글 수 12
  • 추천 수 0
2011년 10월 3일 11시 59분 등록
IMG_0134.jpg
세상에 없는 계절 by Sasha

예술가라면 새롭게 창조하는 인생은 조각조각을 조합하거나 돌을 깎아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차라리 자신의 음률을 따라 작곡하는 음악과 같다. 중간지대에서 창조적으로 산다는 것은 
도전과 실수를 통해 즉흥적으로 시도하고 길을 찾는 것이다. 
그러나 음악을 작곡한다는 것은 적극적인 은유이다. 

[프롤로그]

여름과 가을 사이, 가을과 겨울 사이, 2분음표와 4분음표사이, 온음표와 페르마타 사이 .. 
수많은 사이에 대한 고찰이 필요했다. 'Limbo' 중간지대라는 말로 지금의 상황을 표현할 수 있음에 
조금은 마음이 가벼워졌다. 멈춰있지만 멈춰있는 것이 아니고 무한한 창조성으로 가득하다는 
그 이야기를 들었을 때에 난 하나의 희망을 보았다. 변화와 전환의 차이를 이해하게 되자, 
난 한결 마음이 편해졌다. 지금까지 우유부단함으로 자신의 중간지대를 비난했었다면 
삶은 디지털이 아닌 아날로그였음을 이해하게되면서 전환에 대한 이해를 머리가 아닌 
가슴으로 온전히 느끼게 되었다. 그러자 얼굴에 미소와 함께 온전하게 가을에서 겨울로 이어지는 
풍경을 담아낼 수 있게 되었다. 그리하여 지금까지는 내게 없던 계절이 보이기 시작했다. 

[Passing by Limbo World]
나는 그 당시 하고 있는 일에서 더 이상 의미를 찾지 못하고 
몇 년간 새로운 것을 찾으려고 여러가지 방법을 시도하고 있었다. 
나는 ‘전환의 부족’ 상태였고, 따라서 좀 더 심오하고 절실한 전환을 원하고 있었다. 

오후 6시 오늘도 퇴근한다. 퇴근이라는 이외수의 시가 문득 떠오른다. 
날마다 오후 여섯시부터 길을 잃어 버리는 당신-이외수
열정의 방향이 표류하고 있다. 사실 마음 속에서는 진심으로 나의 열정을 바칠 곳을 찾고 있다. 
6시 칼퇴근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이 아니라 제대로 된 곳에 열정을 바치고 싶은 사람이였다는걸
얼마전에야 알게 되었다. 내가 온 열정과 신념을 다해서 머물고 싶은 일이 있다면 6시 퇴근이 무의미해질 것 같다는 생각. 난 지금까지 나 자신을 오해하고 있었던 것 같다. 어쩌면 퇴근 후의 그 수많은 활동들도 그러한 
열정의 보금자리를 위한 물색의 시간은 아니였나하는 생각이 든다. 
의미 없는 곳에서 시간을 보내고 있다고 생각이 들었던 것은 아주 오래된 것 같다. 
하지만 섣부르게 지금의 안락함을 버릴 용기가 없어서 오늘도 나의 열정은 표류하고 있다. 
생각해보면 다양한 방법의 시도는 열정이 안착할 새로운 목적지를 위한 몸부림이였던 것 같다. 
내 인생의 선장은 내 자신이건만 퇴근 후 길을 잃어버리고 헤매는 나의 모습은 마음이 아프다. 

원래 계획되어 있던 약속을 취소하고 오늘은 혼자서 좀 조용하게 걷고 싶다. 
선장이 방향감각을 상실하면 배는 연료만 낭비할 뿐 바다위에서 표류할 수 밖에 없다. 
그래서 방향성 없는 열정이 얼마나 위험한지를 몇 년에 걸친 힘빼기에서 난 터득하고 있었다. 
몸도 마음도 많이 지쳐갈 때즈음에 지금의 이 상황이 창조성으로 충만해지고 있는 
지금의 과정이 바로 중간지대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전환이 제대로 일어나야 하건만 난 
어떻게 변화를 일으킬까에만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경복궁 돌담길 위로 보이는 하늘은 
더 높고 깊어짐을 통해서 언제인가보이는 노오란 잎사귀들은 자신의 색을 변화시킴으로서 
가을을 온전하게 맞이하고 아니 지나보내고 있었다. 
난 내 자신이 때가 되었음에도 놓지 못하고 있음을 느꼈다. 무언가를 놓치 못하면 
새로운 것을 받아들일 수 없음도 이 자연의 변화를 통해서 알게 되었다. 
그래서 늘 내 자신을 양분하여 버릴 수 없는 인생 두개를 살고 있었던 것 같다. 
낮에는 박과장으로 밤에는 사샤로 변신하면서 하나의 인생을 쪼개어 살고 있었다. 
마치 슈퍼맨이 위기의 사람들을 구하기 위해서 옷을 갈아입고 출동하듯이 난 나의 영혼을 구원하기 위해서 
퇴근마다 옷을 갈아입고 요술공주 밍키처럼 변신에 성공하는 사람 같았다. 
하지만 그것이 온전한 전환이 아닌 전환의 부족임을 알게 된 것이다. 

삶의 양분이 아니라 하나에서 또 다른 새로운 세상으로 이동. 
진정한 자기 자신을 찾아가는 길로 인식해야 하는 것이였다.  
삶을 이해하고자 하는 대상에서 가슴으로 느끼고자 하는 대상으로 여기 되자 
내게 또 다른 선물이 찾아왔다. 뜻밖에도 내 안에 숨어 있던 다양한 자원들이 내 앞에 펼쳐졌던 것이다. 
오랜만의 걷기 산책을 통해서 난 가을 바람을 그 향기를 하늘의 구름을 만나고 있었다. 
'가을하늘은 높고 푸르다'라고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내 스스로의 감각들을 통해서 가슴으로 
온전하게 그 모든 것들을 느끼고 있었다. 선물처럼 그렇게 풍경과 내가 하나되는 과정을 경험한다. 
지금의 나는 퇴근길의 방황을 경험했던 박과장도 다양한 활동을 통해서 벗어나고 싶던 
세상으로부터의 변신을 했던 사샤도 아닌 온전한 그 자체였다. 
내 인생의 선장으로 그 중간지대를 건너고 있었다. 

마치 미세하지만 어제와 오늘 사이에 수많은 차이가 존재하듯이 
그 이어지는 사이의 이야기들을 선장님은 이해하기 시작했다. 
삶은 음악처럼 흐르는 것이지 디지털 시계의 숫자가 넘어가듯이 단순히 변화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말이다. 
주변의 카페에서 흘러나오는 음악에 귀를 기울였다면 
지금은 내 안에서 흘러나오고 있는 그 음악에 더 많은 마음을 기울이고 있다. 
이미 오래전 시작되었던 음악인데 이제서야 들리다니 
1악장이 끝나고 2악장의 시작인가 보다. 그것은 두려워할 대상이 아닌 
흐름에 대한 인식이였다. 반복을 통해서 1악장을 완벽하게 연주한다고해도 내 음악의 완성과는 
거리가 멀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이다. 

당신 자신의 생각을 믿는 것, 즉 당신의 마음속에서 당신에게 진리인 것이 모든 사람에게도 진리임을 믿는 것, 
그것이 천재성이다. 당신의 보이지 않는 확신을 말하라 그것이 우주의 감각이 될 것이다. -랄프왈도에머슨

  1. 선택은 언제나 의지의 결과이다. 
  2. 선택이 인간을 인간답게 한다. 
  3. 선택한 길과 선택에 의해 창조된 인생이있을 뿐이다. 

지금 난 내가 선택한 인생에 대해 글을 쓰고 있다. 
항해를 위한 나만의 지도를 그리고 있는 중이다. 그것은 누가 대신해줄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그 날의 산책을 통해서 알게 되었다. 나의 보이지 않는 확신을 말하는 방법으로 
글을 통한 지도를 그리고 있다. 의지를 제대로 보고 그것을 선택하고 그 길을 걸어가면 
새로운 인생이 창조되는 것이다. 이 길이 아닌가 생각해서 항해를 위한 운전대를 놓는다면 
달라질 것은 없다. 중간지대의 시간에 감사한다. 스스로에 대한 믿음을 확고히할 수 있음에 
새로운 길에 마음을 열 수 있음에 난 기쁘다. 누군가가 선택해준 것이 아닌 마음속에서의 울림을 따라 
음악을 완성해간다고 생각하니 절로 휘파람이 나온다. 

이제 분리되었던 삶이 아니라 온전한 삶으로의 이행이다. 
사이사이를 이어 음악이 되게 한다. 
난 이제 내 인생의 선장이다.  

Yiruma - Passing by

http://www.youtube.com/watch?v=QLyn1rLI61s&NR=1&feature=fvwp
IP *.107.102.124

프로필 이미지
쭈니
2011.10.03 12:10:53 *.190.114.246
땡7이 님들의 고민이 깊어 갈수록 이 가을은 점점 깊어만 가겠지요~~~~~~~~~~
프로필 이미지
2011.10.03 12:13:17 *.107.102.124
감사합니다... 고요한 산책 속에서 
감사히 그 중간지대를 건너가는 제 자신을 봅니다... 
행복한 가을 휴일 되시길.. 
프로필 이미지
강훈
2011.10.03 13:40:13 *.163.164.178
하루와 하루의 사이에서, 마음의 이편과 저편 사이에서
이상과 현실의 사이에서, 회사와 바라보는 곳 사이에서...
노래하는 그대에게....오늘은 시하나 보낸다.

 

하루치의 노동을 끝내고 서쪽을 향해 가던 신들이

고개를 돌려 아침에 떠나온 곳을 돌아보는 동안

솟대 끝에 앉은 나무새들도 모습을 바라보다

엉덩이 쪽을 꼼지락거린다

빛이 숲은 주재하던 시대는 잊히고

다시 어둠이 것이다

주류와 자주 불화하던 나도

나무기러기가 보고 있던 금빛 하늘을 바라보았다

안에 각자 자기 영토를 세운 부족들과

어떤 시간은 충돌하고 어떤 영역에선 휴전하면서

오늘도 하루치의 벌판을 지나왔다

내가 그러건 말건 말벌들은 열심히 집을 지었고

무쇠로 바퀴를 가진 것들은 궤도를 돌았다

여름에 거두지 않은 열매들은 혼자 익다가

얼굴을 붉히며 돌아가고

가을이 오기 전에 어떤 잎은 몸을 버리고

어떤 녹색의 관엽들은 상처를 안은 몸을 비틀었다

우리끼리 주고받은 상처가 많아서

치유되지 않은 날이 많았다

나도 비주류에서도 다시 이류가 줄은 몰랐다

이제 강을 사이에 안의 여러 부족들

무리가 모든 영토를 점령하고 쓸어버려야 한다는

집념을 버려야겠다

경계가 있어서 긴장도 있고

피톨들도 팽팽해지곤 것이다.

길이 앞에서 몸을 틀어 꼬리를 흔들며 사라지는

망연히 바라보아야 하는 날도 있었으나

언젠가는 다시 길과 조우하는 날이 것이다

신들이 마시다 남기고 하늘의 포도주를 마시며

나도 그들이 바라보던 쪽을 오래 쳐다보고 있다.

-도종환의 금빛하늘

프로필 이미지
사샤
2011.10.03 15:25:28 *.107.102.124

아...오라버니..감사합니다 가슴깊이울림이있네요
프로필 이미지
양갱
2011.10.03 18:35:03 *.166.205.131
상징 가득한 문장이 풍부한 상상을 이끌어내는 구나.
우리는 선장,
목표를 정하지 않으면 헛투루 기름과 매연만 내뿜을 뿐.
선택하고 키를 잡아야지.
땡큐, 캡틴!
프로필 이미지
2011.10.04 08:38:38 *.45.10.22
고마워요 오빠 ^^ 
그래 맞아 '키'라는 단어가 생각이 안나서 '운전대'라고 ㅎㅎㅎ
오늘의 항해도 멋지게 시작해보자고~!
프로필 이미지
루미
2011.10.04 05:18:02 *.23.188.173
왜... 선장이란 말에 잭 스패로우가 생각난거지? ㅋㅋㅋ
언니ㅔ게 그 모습을 생각해 보았는데 음음.. 잘 어울릴지도...
캐리비안의 해적 1편 생각나요?
배도 없이 잭이 선장이라고 우기잖아요. 그리고 자신의 배를 찾아가죠
이름하여 바로 블랙펄~~~~~~
언니도 언넝 배 찾아.
프로필 이미지
2011.10.04 09:05:18 *.45.10.22
루미야 고마워~
이제야 재료 좀 구한 것 같은데 
발판 마련하기도 전에 
항해부터 떠나고 싶어서 미칠지경이다... 
정작 배를 만들 시간이 너무 부족해서 
굶으면서라도 빨리 배를 완성하고 싶은 심점 이해하려나 모르겠다 
그래 우리들의 자유는 우리외에 누구도 침범할 수 없지 

홧팅하는 하루 되자~!
oh captain my captain~!
프로필 이미지
백산
2011.10.04 08:54:57 *.8.230.133


아~  그대 !  사랑을 해야 하는데

가을 남자는 어데 갔노?
이 놈들이 떨어지는 이파리나
빈 하늘만 쳐다 보며 궁상을 떠느라
눈이 멀어 그대가 보이지 않는걸까?
선택은 언제나 의지의 결과이다.
선택이 인간을 인간답게 한다.
선택한 길과 선택에 의해 창조된 인생이있을 뿐이다.

눈 감고  뵈는 놈 중에 하나 찍어
그게 인간적이지 거기서
논리와 지성을 넘는  창조된 인생이 시작되는거 아닌가?
그대의 시와 요리로 .. 확! . 자빠뜨려 !

고고한 명상을 깼다면 사죄해야 겠지만,
샤샤의 글 속에는 사람이 안 보여.... 서, ...
 
프로필 이미지
2011.10.04 09:04:09 *.45.10.22
맞아요 선배님 ~ ^^ 
딱 들켰네 .. 
그러게 말예요.. 
주변에 사람이 없네 .. 내안에 내가 많아 안 보이는건가?
의지를 좀 더 공고히 해봐야겠어요 
사람이 어쩌면 그 해결의 실마리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해봤어요~!
선배님 펜싱하면 새로운 사람들도 많이 만날 수 있을까요? ^^ 
고맙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재경
2011.10.04 13:54:20 *.143.156.74
사샤야, 퇴근 후 길을 잃다니?
도자기에 그림도 그리고 요리도 하러 다니는 것이 아니었니?
일=삶이 되는 것이 가장 좋겠지만 일과 삶의 균형을 만들어 가며 사는 것도 좋을 듯 하다.
나나 훈오라버니처럼 그곳을 나와서도 고민이 많은 종족들이 적지 않으니 말이다.
백산 선배 말대로 사샤에게는 남자가 필요해.
이 가을 그대가 사랑에 빠지면 퇴근 후 눈코뜰새없이 바쁠텐데 말이여...
프로필 이미지
2011.10.04 17:45:55 *.45.10.22
맞아요 언니 .. 문제는 일과 삶의 통합이 아니라 
남자였던건가? ㅎㅎㅎ
그럼 좀 한결 나아질 것도 같기는 해요 
제게도 사랑이 찾아올 수 있도록 기도해주세요... 
10월의 어느 멋진날을 기약하며..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Sasha] 컬럼 23 Passing by Limbo World - 나의 영혼을 구원하기 file [12] 사샤 2011.10.03 2278
2651 #4. 미나의 모의 비행 – 좌충우돌 미나의 구직 이야기 [8] 미나 2011.10.03 2697
2650 [늑대24] 지속가능한 자유를 위하여 [7] 강훈 2011.10.03 2130
2649 시간을 선물하세요 [8] 루미 2011.10.03 2201
2648 [Monday,StringBeans-#4] 사진과 함께하는 시간여행_1 file [12] [2] 양경수 2011.10.02 4712
2647 나비 No.23 - 놓아버림의 미학 [10] 유재경 2011.10.02 4930
2646 장미1. 집으로 가는 길 [4] 범해 좌경숙 2011.09.30 2343
2645 23. 인생은 예측불허 file [7] 미선 2011.09.30 2253
2644 [10] 냉장고 [5] 최우성 2011.09.30 2016
2643 길이 끝나는 곳에서 (13 나가면서 ) file [4] 백산 2011.09.26 2206
2642 [Monday,String Beans-#3] 아산 현충사 _ 이순신과 이몽학 file [8] [2] 양경수 2011.09.26 8222
2641 [늑대23] 통(通)하여야 살 수 있다. [10] 강훈 2011.09.26 2020
2640 [Sasha] 컬럼 22 한 시간의 기적 ㅡ (살아남기위하여) [10] 사샤 2011.09.26 2296
2639 22. 시간을 선물로 만들 준비가 되었는가? file [12] 미선 2011.09.26 2528
2638 나비 No.22 – 작은 기쁨을 만끽하라 file [10] 유재경 2011.09.26 4022
2637 먼지를 털어내세요 [11] 루미 2011.09.25 2534
2636 미나의 모의비행 (3) file [10] 미나 2011.09.25 2409
2635 성공 키워드 아줌마를 보라 - 8. 목표 지향적 對 관계 지향적 書元 2011.09.25 4319
2634 응애 80 - 장미 밭에서 춤추기 [8] 범해 좌경숙 2011.09.24 2776
2633 길이 끝나는 곳에서 (12 어리석은 자가 산을 넘는다) [4] 백산 2011.09.23 2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