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북

연구원들이

  • 정야
  • 조회 수 2882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09년 9월 21일 11시 57분 등록

영적인 비즈니스(Business As Unusual)

-      아니타 로딕 지음 / 이순주 옮김 / 김영사

 

q 저자에 대하여

아니타 로딕

열정적인 그녀는 뇌출혈로 2007 9 10, 64세의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그리고 얼마 뒤 바디샵은 또 다른 나다라고 할 정도의 바디샵은 그녀가 안타깝게 여겼던 동물 실험을 하고 왜곡된 아름다움을 전하는 로레알에 인수 합병되었다. 기업자이자 사회 운동가인 그녀의 가치관, 그의 삶은 이제 전설로만 남을 것인가?

 

젊다면 젊다고 할 수 있는 나이에 사망한 그녀의 죽음은 실로 안타깝다.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통해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기업의 역할이 인간 정신을 키우는 것이라는 걸 더 알렸으면 하는 욕심이 생긴다.  그녀의 남다른 비즈니스 -비즈니스의 한계를 넓히고, 비즈니스의 언어를 바꾸며, 비즈니스를 긍정적인 변화의 힘이 되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길을 발견하는 것- 가 계속 되기를 희망하는 마음에서다. 세상을 아름답게 이끌어가는 사람들의 부재는 한쪽 마음을 드러내는 것 같다. 그래도 그 정신은 영원하리라 믿는다.

 

아니타 로딕크는 1942 10 23일 영국의 해변도시 리틀햄프턴에서 이탈리아계 이민 가정에서 태어난 기업가이자 환경운동가, 사회운동가이다. 어려서부터 가족이 운영하는 카페에서 살아있는 사업을 배웠으며 기업 정신의 기본을 익혔다. 그 곳을 통해 일터에서도 로멘스가 꽃피고 우정이 싹틀수 있으며 애정을 쏟는 것이가능하다는 교훈이었다. 또한 사업을 하는 데는 극적인 효과가 중요하며 분위기를 창조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배웠다. 그녀의 어머니는 어머니는 늘 특별해라. 평범을 거부해라.”고 말씀하시며 개성이 없으면 개성이 없는 상품을 나들 수밖에 없다는 것을 일깨워주셨다. 그러고 보면 어려서부터 사업가로서의 수업을 받았다고 해도 되겠다. 무엇보다 그녀는 천부적인 기업가이다.

 

결혼이 후 식당과 호텔을 운영하면서 실수를 했을 때에는 그 실수를 인정하고 즉각 시정하라교훈을 배웠으며 그때 도전한 천연재료를 이용한 화장품 판매 바디샵도 생계를 위한 돈벌이로 시작하였다. 그녀는 필요한 자료를 모집하기 위해 할머니들의 비법에 관한 책에서 주방용 미용 제품에 관한 책에 이르기 까지 20세게 초부터 그때까지 나온 약전이란 약전은 거의 빠짐없이 다 읽었다. 그렇게 해서 바디샵은 1976 3월 브라이튼에 처음 문을 열었다.

 

아니타 로딕은 사업가 같지 않은 사업가이다. 오히려 사회운동가 라고 하는 것이 더 적절한 표현 같다. 그녀가 창업한 바디샵의 경영철학은 인간과 자연을 존중하는 사업이다.

 

아니티 로딕에 관한 자료를 검색하다 보니 이런 내용이 있었다. 그녀를 아주 잘 나타내는 내용같다.

생전의 로딕은 “당신은 기업가인가 사회운동가인가? 그런 식으로 비즈니스를 해서 기업이 과연 성공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자주 받았다 한다. 로딕은 “비즈니스로 성공을 거둬 사회를 바꾸는 데 쓸 수 있다는 것은 가장 짜릿한 일”이라고 답하곤 했다.

“사람들은 내게 하바드나 스탠포드 학위도 없이 어떻게 바디샵의 창업자이자 경영자가 될 수 있었느냐고 묻곤 한다. 그럴 때면 살며시 웃음을 짓게 된다. 아이비리그라는 건 어떻게 기업가가 되는지를 ‘배우는’ 데에는 적합한지 모르지만 내 생각으로는 기업가가 된다는 건 배워서 될 일이 전혀 아니기 때문이다. 난 기업가가 되려고 결심한 적도 없고 그런 단어를 들어본 적도 없었으며 그 단어의 정의 같은 데에는 더욱 관심이 없었다.

그녀는 사업가 되는 기업가 정신이란 집념인데 어떻게 집념을 가르칠 수 있겠는가? 라며 교육을 통해 배울수 없는 것이라고 말했었다. 그녀는 기업가가 되는 데 필요한 조건으로 크게 세 가지 정도를 강조한다. 약간의 광기(狂氣), 누구에게라도 물어보겠다는 겸손한 자세, 그리고 비즈니스를 통해 세상을 변화시키겠다는 열정. 광기는 비전을 만들고 겸손한 자세는 교과 과정을 대신하며, 열정은 물질만으로는 얻을 수 없는 즐거움과 보상을 그녀에게 줬다.

 

q 내 마음에 무찔러 드는 글귀

 서문 , 여행의 즐거움

§ 1980년대의 맥시멀리즘은 1990년대의 미니멀리즘에 굴복했다. 그리고 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구축이라는 긴박한 사회적 요구에 더욱 열정을 가지게끔 하는 색다른 여행을 하게 되었다. 그 여행이 비로 이 책의 주제다.[10]

§  나는 언제나 내가 미지의 땅을 여행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때로는 내가 친구로 생각했던 사람들이 알고 보니 나의 적이었고, 때로는 그 반대이기도 했다.

§ 지뢰밭에서의 삶은 쉽지 않다. 낙관론은 깊은 상처를 입고, 신념은 끊임없는 도전을 받았지만 그것은 결국 좋은 일이었다.

§ 우리를 죽이지 않는 것은 우리를 더 강하게 만든다.

§ 내가 비즈니스 세계에서 하고 싶은 일도 바로 그것, 인정미로 혁명을 일으키는 것이다.

§ 이 책은 바디샵을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시키면서 내가 나 자신의 깊은 내면을-이렇게 표현해도 괜찮을지 모르겠지만 근본적인 핵심-어떻게 간직할 수 있었는지에 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 나는 끊임없이 창업자의 역할을 재창조해야 한다. 그것은 천부적으로 무정부 상태를 좋아하는 기질의 사람으로서 쉬운 일이 아니다.

§ 거기에는 지도나 설명서가 없다. 열정이 곧 안내자다.

§ 나는 비즈니스의 한계를 넓히고, 비즈니스의 언어를 바꾸며, 비즈니스를 긍정적인 변화의 힘이 되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길을 발견할 것이다.

§ 내가 남다른 비즈니스라고 하는 것은 바로 그런 뜻이다.

 

1.   비즈니스란 무엇인가?

§ 여행은 언제나 나에게 통찰력을 준다.[16]

§ 우리 사회에서 유순함은 우스꽝스러운 것, 진지하지 못한 것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제이콥은 나에게 유순함보다 더 강하고 더 설득력 있는 것은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7]

§ 나는 인간 관계에서 피부색은 중요하지 않다고 는 확신해왔지만, 지금은 끊임없이 나 자신을 점검한다.

§ 인종적 편견은 뺨 위에 흘러내리는 한 올의 머리카락과 같다. 이것은 행동에서 잘 보이지 않고, 잘 찾아낼 수도 없기 때문에 빗질해서 갈무리해야 한다.[18]

§ 빈곤은 다른 위기를 초래한다. 절망한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의 자원을 지나치게 착취하게 하거나 착취당하게 만들고 마약 밀매와 테러리즘에 빠지게 한다. 또한 군사적, 경제적, 정치적 협력자로 그들을 기다리고 있는 부유한 나라의 품에 안기게 만든다. 이것은 결국 그들의 빈곤을 영구적으로 만들며 사실 우리는 그것을 제도화해 왔다.

§ 나는 가끔 30억의 인구가 하루에 2달러도 안 되는 돈으로 근근이 생활해가고 있는데, 부자들은 세금 피난지에 8조 달러나 되는 돈을 은닉해 두고 있다는 사실에 왜 사람들이 더 격분하지 않는지 의문이 든다.[19]

§ 확실히 부자들은 세계적인 빈곤을 해결하려고 하지 않는다. 전세계 인구의 5분의 1은 아직도 제대로 먹지도 못하고 깨끗한 물을 마시지도 못한다.

§ NGO(비정부기구)의 역할은 세계화의 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전세계 각지에서 이루어지는 그들의 감시는 우리가 한때 무시했던 폐해를 누구나 볼 수 있게 해준다.

§ 문제는 아직도 많은 기업들이 NGO나 그들이 대변하는 것이나 빈곤이 참상을 인식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전형적인 경영서적을 보면 공동체나 경제적 빈곤, 사회 정의, 윤리, 사랑, 관심, 영성이라는 단어들은 운이 찾아야 볼 수 있다.[20]

§ 철학자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은 단어가 세상을 바꾼다 말했으며, NGO의 등장은 새로운 세계를 만드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 새로운 유목자본은 결코 뿌리를 내리지 않으며, 결코 지역 사회를 일으켜 세우지도 않는다. 그것은 유독성 폐기물과 격분한 근로자들, 그리고 생존을 위협받는 토착 사회를 뒤로 하고 다른 곳으로 옮겨간다.[21]

§ 비즈니스 세계의 큰 문제 가운데 하나는, 욕심을 문화적으로 받아들이게 되었다는 사실이다.[22]

§ 나는 기업의 탐욕심에 저항했다. 그냥 돈 많은 여성 기업인으로 편안하게 살면 쉽겠지만, 뭔가를 위해 싸우지 않는 삶은 죽음의 냄새가 나서 싫다.[23]

§ 그래서 나는 노력과 투쟁, 여행을 계속하기 위해서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한다. 내 주변에서 일어나는 상황 또는 나를 계속 활동하게 만들며 이미 두 딸들에게 말했듯이 내가 죽으면 내가 번 돈은 모두 인권, 민권 운동가에게 기부될 것이다.

§ 독재정권과의 결탁 : 다국적 기업들이 가격과 원가 절감 경쟁을 벌이는 세계 시장에서 가장 헐값에 천연 자원이나 노농을 구할 수 있는 곳은 바로 민주주의나 인권이나 환경보호에 전혀 가치를 두지 않는 나라들이다.

§ 자유롭지 못한 무역: ‘자유무역의 원칙은 저임금, 환경파괴, 근로자 권리 침해 등 그 대가가 어떤 것이든 상관하지 않고 모든 제품과 상품에 적용된다.

§ 자유시장하면 언뜻 손으로 만든 신발을 집에서 기른 채소와 교환하는 시골 장터의 자유롭고 평등한 사람들이 연상된다. 이 목가적인 정면에는 일이란 평등한 사람들간의 개벽적인 계약이라는 개념이 들어있다. 그렇지만 항상 그렇지는 않다.[25]

§ 자유 무역은 사상 최대의 사기극이다. 세계 시장이 정말 자유로운지, 누구를 위해, 무엇을 위해, 자유로운지 자문해 보라. 지역들간의 자유무역 중에서 진짜 무역과 관련된 것은 그 가운데 3퍼센트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나머지는 모두 돈과 관련되어 있다. 즉 이 엄청난 금액의 97퍼센트는 투기와 거품이라는 듯이다. 돈이 돈을 만드는 것이다.[26]

§ 눈먼 세계 정부: 정부의 권한이 축소됨에 따라 WTO(세계무역기구)가 새로운 통제할 수 없는, 선출되지 않은 세계 정부역할을 하게 되었다. [26]

§ WTO는 세계정부인 동시에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눈먼 정부이기도 하다. 무엇이 이익이고 무엇이 손해인지는 알지만, 인권이나 아동착취나 후손들을 위한 환경 보호와 같은 문제는 알지 못하다.

§ 그것은 심장이 없는 정부이며, 심장이 없으면 인간 정신의 창의력 역시 죽어가기 시작한다.[27]

§ 지역 사회를 일으켜 세우기 위해 이익을 포기하거나 멀리 떨어져 있는 노동 착취 공장의 값싼 노동력을 이용하는 대신 지역 생산 체계를 유지하는 책임 의식이 있는 기업은, 그런 책임 의식이 없는 경쟁자들에게 비즈니스를 빼앗기도 무자비한 기업 사냥꾼들에게 기업을 인수 당할 위험이 있다.[27]

§ 단일 문화의 파괴력 : 나는 가끔 현재의 비즈니스 방식에서 가장 걱정스러운 것이 무엇이냐는 질문을 받는다. 내가 가장 걱정하는 것은 비즈니스 방식 뿐만 아니라 소수의 거대한 다국적 기업에 의해 통제되고 있는 지구 자체이기도 하다.[27]

§ 세계적인 단일 문화는 무자비한 파괴력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가족뿐만 아니라  가족 단위의 소작농까지 피괴된다.[28]

§ 기업인으로서 우리에게는 세계적인 능력과 책임이 있다. 우리의 활동 범위는 국경을 초월한다. 우리의 결정은 경제뿐만 아니라 사회에도 영향을 미치고, 비즈니스에 직접 관련된 사항뿐만 아니라 빈곤과 환경과 안보라는 세계적인 문제에도 영향을 준다.[30]

§ 기업은 웬만한 나라의 정부보다 더 신속하고, 더 창의적이고, 더 효율적이고, 더 부유하다[27]

§ 우리 사회에서 기업보다 더 힘있는 조직은 없다. 오늘날에는 과거 그 어느때보다 기업이 도덕적 리더십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31]

§ 내가 기업에 대한 연설을 하거나 글을 쓸 때마다 거듭 강조한 메시지는 성공을 측정하는 척도에 공통체 의식과 문화를 가정을 포함시켜야 한다는 것이었다.[31]

§ 무역에 대한 지배적인 시간은 양심이 없는 상행위라고 보는 것이다. 문제 해결의 열쇠는 양심에 있다.[31]

§ 우리는 책임감 있는 기업, 전 세계정부가 기꺼이 서명하고도 너무도 쉽게 무시한 인권과 환경보호에 대한 헌장과 조약에 입각해 국제적인 행동을 하는 기업을 필요로 한다. 규제는 규칙을 어기는 기업을 처벌해야 한다.

§ 소비자 양심에 의한 변화: 규제가 없는 곳에서는 소비자들의 양심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NGO가 등장한 것은 그 때문이며, 이들은 전세계적으로 대기업의 활동을 감시하고 그들로 하여금 대중에게 해명하게 만든다.[32]

§ 소비자들은 윤리적인 선택을 하고 싶어하며, 기업은 소비자들이 윤리적인 선택을 하도록 도와줘야 한다.

 

기업이 할 일이 무엇인가? 부를 창조하는 것? 경제에 활기를 불어넣는 것? 직업을 창출하는 것?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것? 그렇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기업이 할 일은 그것뿐만이 아니다. 모든 인간 활동의 궁극적인 목표는 이 세상의 도덕적 질서를-윤리적 네트워크- 창조해내는 것이며, 모든 기업은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그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지 보여줘야 한다. – 피터 코에스텐바움

 

§ 내가 사고 싶은 제품은 내가 선택한다. 나는 투자자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이익을 극대화하는 것을 반대하며, 투자자보다는 종업원들과 납품업체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고 여긴다. 대중과 소비자들에게 진실을 말해야 한다. 그래야만 유익한 방법으로 비즈니스 할 수 있다.[34]

§ 윤리적인 비즈니스를 향한 이런 움직임은 나 같은 기업인이 그렇게 하는 것이 좋다고 주장한다고 해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오늘날 사회에서 기업이 그 지위에 걸 맞는 역할을 해야만 한다고 의식이 점차 확산되어가고 있고 그런 여론이 고조되어가고 있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이다.

§ 그러므로 기업 리더들은 선택할 수 있다. 거대한 홍보 막을 세워놓고 말로 소비자들과 싸울 수도 있고 소비자들이 말에 귀를 기울이고 거기에 따라 대응할 수도 있다. 그들이 더 많은 연막과 타성을 선택할 것인지 아니면 소비자들의 말에 귀를 기울이고 행동할 것인지 소비자들은 그들을 지켜보며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 책임지기: 기업이 할 일은 돈에 관한 것이 아니라 책임에 관한 것이어야 한다. 개인의 욕심이 아니라 공익에 관한 것이어야 한다.[42]

 

기업은 이익을 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망할 것이다. 그러나 오직 이익을 내기 위해서 비즈니스를 한다면그 경우에도 망할 것이다. 왜냐하면 더 이상 존재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 헨리포드

 

§ 다른 척도: 우리 기업인들은 스스로를 다른 기준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지역 사회와 가족을 존중하고 지원하는 비즈니스를 필요로 하고, 환경을 보호하는 비즈니스를 필요로 한다. 우리는 아동들을 교육시키고, 아픈 사람을 치료해주고, 여성들이 하는 일을 소중히 여기고, 인권을 존중하도록 국가를 독려하는 비즈니스를 필요로 한다.[43]

§ 기업은 이익이란 무엇인가? 누구를 위한 이익인가?’라고 자문해보아야 한다. 어쩌면 이익이란 단어의 정의를 다시 내려야 할지도 모른다. 우리는 국민 총생산량이 아니라 인간적인 발전으로 성장을 평가살 필요가 있다.[43]

§ 영적인 비즈니스: 인생에는 영적 차원이 있으며, 정말 중요한 것은 자로 그것이라고 생각한다. 그것은 모든 것의 기초가 된다. 나에게 영성은 인생은 신성하며 경외심을 불러일으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 나는 가장 근본적인 통찰력, 즉 모든 생명은 하나의 영적 개체의 표현이라는 깨달음을 얻게 되었다. 우리는 만물의 일부일 뿐이다. 인간과 만물과의 상호 관련성은 신성하고 경건해야 하며 인식과 존재의 다른 방법을 존중해야 한다.

§ 인간 조직과 대기업이 모순과 역설 속에서 영성을 체험하려면 엄청난 노력이 필요하다. 크리슈나무르티에 따름면, 우리는 제도만 바꿀 것이 아니라 우리 자신을 바꿔야 한다.

제도는 그것이 교육적이든 정치적이든 신기하게도 변하지 않는다. 그것은 우리 자신이 근본적으로 변할 때 변한다. 중요한 것은 제도가 아니라 개인이다. 개인이 자신의 전체적인 과정을 이해하지 못하는 한 어떤 제도도 그것이 조파든 우파든- 이 세상에 질서와 평화를 주지 못한다. –크리슈나무르티

 

§ 나의 비전과 희망은 간단하다. 많은 기업 리더들이, 기업의 주된 역할을 물질적인 상품과 서비스를 더 많이 생산하기 위한 공장이 아니라 인간 정신을 키우는 것이라는 사실을 깨닫는 것이다.[46]

§ 어떻게 보면 세계화라는 것 자체가 일종의 사이비 종교다. ‘세계 시장이란 말은 우리가 만들어낸 말 중에서 가장 매력적이다. 우리는 기업들이 정부가 아니 시장이 경제를 지배하게 만들자고 충동하는 소리를 듣게 될 것이다. 그러나 결국에는 세계 시장이 가치 있는 모든 것들을 다 몰아낼 위험이 있다.

§ 시장은 인간의 얼굴과 정신이나 양심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것은 동정심과 수치심, 인간적인 노력을 보인 기록이 없다. 그것은 우리의 삶에 꼭 필요한 인정과 충성심을 모른다.

 

이제 성공의 이상을 봉사의 이상으로 대체해야 할 때가 되었다.-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우리는 전세계의 어려 지역 사회와 무역하는 데 인간미와 감수성을 잃지 않으려고 노력하고 있다. 우리 모두에게 진정한 도전은 비즈니스를 통해 우리의 사회적인 역할, 즉 도덕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49]

§ 우리는 기업을 긍정적인 사회적 변화를 초래할 수 있는 세력으로 만들어주는 새로운 패러다임, 완전히 새로운 골격을 원한다. 그것은 가증스러운 악을  피할 뿐만 아니라 선을 적극적으로 실천해야 한다.

§ 나는 평범한 비즈니스에는 관심이 없다. 나를 자극하는 것은 남다른 비즈니스다.[49]

 

진정으로 세계화의 비전을 가진 기업이라면, 지리적인 확장보다 다 인간의 정신과 마음의 확장에 더 신경을 써야한다세계적인 기업은 실제로 전세계를 상대로 하든 그렇지 않든-그 자신과 구성원, 그리고 전세계를 위해 완전함을 추구하는 비전을 갖춘 기업이다. – 바버라 시프카

 

2. 누가 기업가가 될 수 있는가?

§ 나의 부모님은 리틀햄프턴에서 클리프턴 카페라는 가게를 운영하셨다. 카페는 우리집의 연장이었다. 우리카페에서는 로멘스가 꽃피고 우정이 싹텄다. 우리는 그곳을 통해 일터에 애정을 쏟는 것이 가능하다는 중요한 비즈니스 교훈을 얻었다.

§ 우리는 모두 노먼 락웰의 소다 파운틴 분위기가 나는 유니폼으로 갈아입었으며, 나는 이모든 일에 감탄했다. 그것은 나에게 사업을 하는 데에는 극적인 효과가 얼마나 중요하며, 분위기를 창조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가르쳐 주었다.[54]

§ 내가 모든 기업가들에게 중요한 교훈을 얻은 것은 바로 그 클리프턴 카페에서였다. 어머니는 나에게 비즈니스를 하는 데에는 개성이 중요하다는 것을 가르쳐주셨다. 어머니는 개성이 없으면 개성이 없는 상품을 나들 수밖에 없다는 것을 일깨워줬다. 어머니는 늘 특별해라. 평범을 거부해라.”고 말씀하셨다.[54]

§ 어머니는 또한 인생이란 사랑이나 일과 마찬가지로 복잡한 것이 아니라고 가르쳤다. 그것은 어머니 자신의 말이었다.[55]

§ 역시 무슨 일을 하든지 분위기를 만들려고 애썼다.[56]

§ 에너지와 열정은 사람을 질리게 하거나 매혹시킨다. 다행히도 나는 매혹시켰다.[56]

§ 사업시작 : 우리는 그 건물의 반을 다시 주거 호텔로 바꾸었다. 그것은 파산으로부터 우리를 구해주었으며, 새로 사업을 시작하는 모든 기업들에게 도움 될 만한 교훈을 안겨주었다. 그것은 실수를 했을 때에는 그 실수를 인정하고 즉각 시정하라는 교훈이었다.[57]

§ 우리를 구해준 것은 실수했다는 것을 인정할 수 있는 우리의 능력이었다.[58]

§ 바디샵의 시작: 고든에게는 오래 전부터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뉴욕까지 말을 타고 여행을 해보고 싶다는 꿈이 있었고, 그가 그 꿈을 위해 계획을 세우는 동안 나는 조그만 가게를 해서 생계를 꾸려나가기로 했다.[58]

§ 어떤 가게를 하고 싶은지는 이미 머릿속에 구상되어 있었다. 피부관리와 관련된 일을 하고 싶었다. 필요한 정보는 책이나 연구조사, 대화를 통해 얼마든지 쉽게 얻을 수 있었다.[58]

§ 할머니들의 비법에 관한 책에서 주방용 미용 제품에 관한 책에 이르기 까지 20세게 초부터 그때까지 나온 약전이란 약전은 거의 빠짐없이 다 읽었다. 나는 쓸만한 비법을 만날 때마다 환호성을 질렀다.[59]

§ 나는 책에 나와 있는 비범을 모두 시험해보았다. 그것은 비즈니스라기보다 호구지책이었다. 또한 내가 나 자신의 시간과 공간의 주인이 되고, 성공을 자유라는 개념으로 재정의하는 작업이었다.[59]

§ 뭔가가 우리를 자극하면, 우리와 똑같이 느끼는 다름 사람이 있다는 좋은 징후다.[59]

§ 자극은 에너지와 창조력의 위대한 원천이다.[59]

§ 나는 고든에게 자연 성분으로 만든 화장품을 리필 할 수 있는 값싼 용기에 담아 여러 가지 규격으로 파는 가게를 하고 싶다고 말했다. 어쨌든 우리는 호텔과 식당을 경영한 경험을 통해 만일 내 아이디어가 통하지 않으면 그것이 효과를 낼 때까지 계속 전략을 바꿔볼 생각이었다.

§ 그렇게 해서 바디샵은 1976 3월 브라이튼에 처음 문을 열었다. 디자이너를 공용해 25파운드에 로고를 만들고, 친구들을 동원해 병에 화장품을 넣고 손으로 라벨을 쓰게 했다. 나는 매장을 전부 진한 녹색을 칠했다.

§ 그 당시는 녹색이 환경운동을 상징하던 때가 아니었으므로, 환경운동 차원에서 그렇게 한 것이 아니라 다만 그것이 벽에 나 있는 습기 자국을 가려줄 수 있는 유일한 색이었기 때문이다.[60]

§ 플라스틱 병도 충분히 살 형편이 못되어서 고객들이 빈 화장품 용기를 가지고 오면 거기에 리필해주는 것으로 문제를 해결했다. 이렇게 해서 우리는 재활용품이 생태학적으로 유행하기 훨씬 전부터 물건을 재활용하고 재사용하기 시작했다.

§ 우리 성공의 모든 요인은 사실은 내게 돈이 없었다는 사실에 기인했다. 바로 그 첫해에 내가 한일은, 우리 회사를 다른 회사와 구분하는 차이점이 상징이었다.

§ 차별화 : 다른 화장품 회사들과 반대 방향으로 가고 싶었다. 나는 누구에게나 자신의 안목과 기술을 아이디어로 옮기고, 조사하고, 경쟁자들이 어떻 하는지 보고 어떻게 하면 그들과 다를 수 있는지 연구하라고 충고 하고 싶다. 경쟁자에게 없는 것에 역점을 두고 그것을 개발하도록 애써야 한다.

§ 남과 달라야 한다는 나의 사고방식은 1960년대에 형성되었다. 그 당시 나는 기업에 취직을 하거나 사업을 하느니 차라리 죽어버리겠다고 생각했다. 고든과 내가 사업을 처음 시작했을 때 우리에게는 조직표도 없었고 복잡한 절차나 마케팅도 없었다.[61]

§ 우리는 공동의 가치관에 따라 경영했지만, 어떤 면에서도 취약점도 만들어 가고 있었다.

§ 기업이 성장 과장을 지켜보는 것은 자기 아이의 성장 과정을 지켜보는 것과 마찬가지다. 아이가 하는 짓은 뭐든지 다 재미있다. 넘어져도 재미있고, 처음으로 말을 해도 재미있고, 뭐든지 다 재미있다.

§ 나는 다른 사람과 똑 같은 사람이 되고 싶지 않으며, 심지어는 작년의 나와도 똑 같은 사람이 되고 싶지 않다.

§ 나는 똑 같은 사람들의 무리에서 한 줌의 창의력이나 혁신적인 아이디어나 리스크를 짜내려고 애쓰느니 차라리 서로를 위협하는 창의적인 사람들 사이에서 조화와 합의를 얻어 내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사업가에게는 그것은 유별난 일이 아니다.

§ 사업가 되기: 과연 기업가 정신이란 것이 학과목이 될 수 있는지 의심스럽다. 기업가 정신을 추진하는 힘은 집념인데 어떻게 집념을 가르칠 수 있겠는가?

§ 나는 결코 기업가가 되려고 시작하지 않았으며, 그런 말을 들어보지도 못했고, 그 말의 정의에는 관심이 없었다.[62]

§ 천부적인 기업가가 되려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했다.[62]

1.   새로운 것에 대한 비전과 그것을 실현할 정도의 강한 마음.

2.     광기. 기업가와 미치광이는 백지 한 장 차이다. 사업가의 꿈은 흔히 일종의 광기이며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

3.     많은 사람들 중에서 눈에 띌 수 있는 능력. 기업가들은 본능적으로 행동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 중에서 쉽게 눈에 띈다. 반응에는 항상 진실이 들어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라.

4.     요술 램프 속에서 요정이 튀어나오듯이 창의적 긴장감 속에서 끊임없이 아이디어를 분출해 낼 수 있는 능력. 그런 기술을 가진 사람을 만나면 신께 감사해야 한다.

5.   병적인 낙천성

6.     방법을 알고 있어야 할 필요는 없다는 은밀한 이해. 기업가에게 중요한 것은 기술이나 돈이 아니다. 중요한 것은 책을 통해서나 관찰이나 지문을 통해서 얻은 지식이다.[63]

7.     사회 개혁 의지. 제품을 사회 변화의 수단으로 이용하는 정치적. 사회적 활동이라고 생각한다.

8.     창의력. 창의력이 대해서는 말하기는 쉽다. 그는 본질적으로, 창의력 무엇인지 잘 모르겠다. 창의력은 어쩌면 마술일지 모른다.

9.   이 모든 특성을 효과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능력.

-      내가 기업가가 된 것은 그저 내가 가지고 있는 이런 저런 기술을 결합해서 생계 수단을 만들기 위한 노력의 결과였다.

-      그러므로 기업가 정신을 배우기 위해서 굳이 대학에 갈 필요가 없다고 본다. 그보다는 사람들에게 끊임없이 질문을 하고, 될 수 있는 대로 많은 선택의 여지를 찾아 문을 두드려보아야 한다. 그리고 스스로 결정을 내리고 묵묵히 혼자 일해야 한다.

-      나는 경제 이론이나 비즈니스 이론에 관한 책은 읽어본 적이 없으며, 앞으로도 읽을 계획이 없다. 내가 관심과 흥미를 갖는 것은 이론이 아니라 실천이다.

10.  마지막으로. 기업가들은 모두 위대한 이야기꾼이다.

§  기업가는 본질적으로 아웃사이더이며, 그것이 내가 알고 있는 기업가를 가장 잘 정의할 수 있는 말이다.[64]

§ 부자들에게 기업가 정신을 가르치는 것은 어렵다. 그들에게 기업가 정신의 학문을 가르칠 수 있겠지만, 검소가 무엇인지 모르는 사람들에게, 조직과 과정으로부터의 자유를 추구하고자 하는 열정이 없는 사람들에게, 육감과 경험에 의한 입지전을 가르칠 수 없다.

§ 또한 사업가 정신의 본질인 창의력은 흔히 궁핍의 자극을 받는다. 돈이 없고 매가 고프면 창의력이 생긴다.

§ 아이디어를 내고, 뭔가를 발생시키고 자신의 비전을 실현하려면 배가 고파야 한다.[65]

§ 기업가는 성격상 아웃사이더, 달리 말해서 노동 윤리를 가진 아웃사이더다. 그들은 아웃사이더이지만 일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 그 어떤 것도 그들의 비전을 방해할 수 없기 때문에 진정한 기업가는 그 어떤 것도 두려워하지 않는다. 기업가는 그들의 아이디어를 실천하고, 그것으로 생계를 꾸려 나가고, 그것으로 이익을 내기를 바란다.

§ 아이디어는 자신의 인격의 연장이며, 자신이 손수 만든 기업에는 자신의 지문이 찍혀 있다. 그것은 자기 자신의 연장이다.

§ 바디샵이 내 생명의 일부나 다름 없다고 말하는 것은 그 때문이다. 바디샵은 또 다른 나다.[65]

§ 뭔가 시작을 잘하는 사람은 운영은 잘 못한다. 그런 이유에서 나는 항상 비즈니스에서 내가 가장 잘 할수 있는 일은 나보다 나은 사람을 찾아 고용하는 것이라고 생각해왔다.[66]

§ 한 가지 큰 차이점은 여성의 일은 흔히 인정받지 못한다는 것이다.

 

영감은 고취시키고, 사람들을 지원하고, 이른바 여성적 특성을 갖추어 지도하는 것이 새로운 경영스타일이 될 것이다. – 윌리스 하먼

 

§ 여성들은 자신이 관심을 가진 일이나 열성을 보이는 일에 균형을 맞추는 경향이 있으며, 그것을 저급한 기술을 요하는 비즈니스로 바꾸어 자기 집 식당이나 주방이나 차고에서 작업하면서도 만족할 줄 안다.

§ 나는 확실히 여성들이 더 재주가 많다고 생각한다. 여성들은 복잡한 상황을 처리하는 능력이 남성들 보다 뛰어나다. 그들은 아이를 돌보고 집안일을 하면서 동시에 비즈니스를 해낸다.[68]

§ 불행하게도, 남성들과 달리 여성들은 끊임없이 외모로 평가 받는다. 더욱 화나는 것은 아직도 여성들이 말하는 내용보다 그들이 어떻게 생겼느냐에 비행을 더 둔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모두 어처구니없는 유혹 문화의 부산물이다.[69]

§ 기업가들에게 주는 충고 : 나는 기업가들에게 이런 충고를 하고 싶다.[71]

1.     기회를 잘 잡아야 한다. 나는 전세계 어는 곳을 가든 촉각을 곤두세우고 지금 내 눈에 보이는 것을 어떻게 바디샵과 관련 시킬 수 있을까 연구한다.

2.     아이디어에 열정을 가져야 한다. 기업가의 목표는 백만장자가 되는 것이 아니다. 그들의 관심은 오직 자신의 아이디어가 어디까지 갈 수 있을지 보는 것이다.[73]

 

기업가가 된다는 것은 이성적인 토론의 대상이 되지 못하다. 그것은 강렬한 떼로는 병적인 욕구다.- 모세 즈네이머

 

§ 내가 좋아하는 기업가들: 기업가들은 다름 사람들이 보지 못하는 기회를 본다. 기업가적인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들은 좋다, 여기서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하고 문제 해결책을 강구한다.

-      파타고니아의 창업주인 이본 추이나드 : 환경산악인이었으나 옷 가게 차림. 그의 회사는 지금 기업의 사회책임 운동을 이끌어가는 리더 가운데 하나다.

-      아이스크림 브랜드 밴&제리를 창업한 벤과 제리: 그들은 아이스크림을 좋아한다는 사실 말고는 아이스크림에 대해 아무것도 몰랐다.

§ 그들은 훌륭한 아이디어와 따뜻한 마음씨를 가지고 있으며, 이익과 이념을 함께 추구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75]

§ 성공을 관리하기: 성공을 관리하는 일은 기업가 정신을 말살시키는 것과 같다.

§ 기업가적인 정신을 가진 기업은 전략을 다시 세우고, 아이디어를 내고, 끊임없이 실험하는 광적인 사람들을 필요로 한다.[75]

§ 넘치는 에너지: 나는 나 자신을 기준으로 다른 사람을 평가하고, 그 사람이 나와 같은 열정과 에너지를 가지고 있는지 판단한다.

§ 나는 창의적인 일에 투자하는 시간을 척도로 삼는다. 사람들이 약간 무질서한 것은 상관하지 않는다. 중요한 것은 동기부여를 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 나는 다른 사람들로부터 에너지가 넘친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 언젠가 누군가가 나를 시끄럽게 설쳐대는 존재라고 표현했다. 나는 넘치는 에너지는 어디서 나오는 것일까?

§ 그 출처는 다음 네 군데에 있다고 본다.

-      두려움 : 인생에는 총연습이라는 것도 없다. 우리는 인생의 횃불을 들고 가능한 한 그것을 밝게 유지하고 있다가, 다른 사람에게 넘겨줘야 한다. 나의 넘치는 에너지는 바로 여기에서 나온다.

-      아웃사이더: 항상 아웃사이더였던 가족의 일원이라는 사실에서도 비롯되었다.

-      분노: 분노는 문제 해결을 위해 뭔가 조치를 취하도록 사람을 재촉한다.

-      토마토 : 내가 아는 이탈리아인들 중에서 힘없이 축 늘어져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3.
우리가 고용한 것은 종업원이 아니라 사람

§ 공동체의 생명은 전적으로 상호 신뢰에 의존한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공동체는 민족이나 국가와는 다른 방법으로 존재한다. 공동체는 결혼생활과 가족 생활을 유지 하게 만든다. 가족은 서로 돕고, 가족간에는 프라이버시가 존중된다. 공동체에서는 참여 문화의 공동의 목표에 전념하는 것 이외에는 다른 대안이 없다.[82]

§ 우리 주변을 두러만 봐도 공동체에 대해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 사실, 그것은 다른 사람으로부터 배울 수 밖에 없는 것이다.

§ 드라이브는 대개 일정한 직장이 없는 난민, 작가, 음악가, 화가들이 모여 사는 동네로 참여문화를 가진 곳이다 그곳에 사는 사람들은 방관자들이 아니라 행동주의자들이다. 이들은 공동의 목적에 전념하는 것 외에는 대안을 모른다.[84]

§ 공동체의 참여는 그들에게 다른 곳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그 무엇을-소속감, 책임의식, 고독에서 벗어난 느낌-을 준다.

§ 성공적인 공동체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개인적인 책임 의식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 바디샵과 함께 한 지난25년 동안, 비즈니스의 성공에는 이런 공동체 의식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그것은 간단하지 않다. 적어도 세가지 차원의 공동체가-회사 내부의 사내 공동체, 회사가 책임져야 할 보다 광범위한 사회적 공동체, 회사의 거래 파트너와의 공동체- 형성되어야 한다.[85]

§ 공동체에 뿌리를 내리고 싶은 기업가들은 어려움은, 금융가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방법으로만 성공을 평가한다는 사실이다. 이 문제가 바로 이 장의 핵심이다.[85]

§ 바디샵을 가장 크게 좌절 시키는 것은 아직도 우리가 이익과 매출액을 근거로 언론 매체나 런던 금융가에 의해 판단된다는 것이다. 우리는 보다 큰 세상에서 우리가 한 행위, 우리가 일으킨 긍정적인 변화로 평가 받고 싶다. 처음부터 우리에게 힘을 준 것은 우리의 제품이 아니라 우리의 이념이었다.

§ 나는 지나 세월 동안 여러모로 인간미를 상실시키는 비즈니스 환경에서 내 영혼을 보조해준 것이 무엇인지 종종 생각해본다. 그 대답은 다음과 같다.

-      우리는 전통적인 경영방법을 몰랐다.

-      우리는 노동을 소중하게 생각하고 존중한다.

-      우리에게는 돈이 없었다.

-      우리는 순진했다.

-      우리는 변화를 좋아한다.

-      우리는 행복감이라는 비밀 성분을 가지고 있었다.

-      우리는 기존의 모이스처라이저을 진진하게 받아들일 수 없었다.

§ 나는 물건을 사고 팔면서 사람들과 관계를 맺는 것을 좋아한다. 나는 소매점과 미천다이징을 이해하며 그것은 사회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해 준다.[86]

§ 다행히도 바디샵은 20년이상 비즈니스를 하고도 아직 실험정신을 잃지 않았기 때문에 나는 우리 회사를 사랑한다. 바디샵은 아직 나의 의문에 대한 훌륭한 실험 무대이며, 우리가 찾아낸 해답은 즉각 우리의 비즈니스 방식에 도입된다.[87]

§ 나는 머지 않아 기업이란 강자만이 살아남는 정글이라고 생각하는 낡은 사고방식이, 기업이란 책임 있는 자만이 지도할 수 있는 공동체라고 보는 새운 사고방식으로 바뀌기를 바란다.

§ 기업의 가치관이 예고되고, 기업의 마음이 올바른 곳에 가 있고, 기업의 감정이 인정되고, 기업의 정신이 활동한다면, 우리 모두를 위한 족적이 남아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87]

§ 공동체 작업- 사내공통체: 종업원을 구한다고 광고를 내면 찾아오는 것은 종업원이 아니라 놀랍게도 사림이라는 사실이다. 그들은 소망을 가진 사람들, 자신의 가치관을 직장문 밖에 내버려두고 싶지 않은 사람들, 직장이라는 공동체 안에서 그들의 이념을 저버리지 않고 일할 수 있기를 바라는 사람들이다.[88]

§ 새로운 비즈니스 환경에서 경영자가 할 일은 종업원들의 감성과 이성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거에는 종업원들의 동기가 그리 중요하지 않았지만 요즘에는 종업원들이 단순히 밥벌이로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이상의 것을 원한다. 그들은 더 큰 꿈을 꾼다.[88]

§ 나에게 직장은 언제나 공동체이며 공동의 선을 위해 사람들이 함께 일하는 곳이었다. 직장은 또한 특별한 곳, 창의적이고, 즐겁고, 인간 정신을 육성해 줄 수 있는 곳이어야 한다.

§ 나는 직장이란 부모를 섬기고, 자녀 개발의 필요성을 지원하고, 가족을 환영하고 소중히 여기고 탐구하고 보호하는 곳이어야 하다고 믿는다. 직장은 어린 환경 전사를 키우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21세게 기업의 리더들이 당면한 과제는, 인생의 대부분을 직장에서 보내는 사람들이 그들의 인생을 하찮거나 우울하게 생각하지 않도록 그들의 문화를 위해 정신적인 리더 역할을 하는 것이다.-짐 채넌

 

§ 사회적 공동체: 나는 전세계를 돌아다니면서 사람들은 모두 비슷한 소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사람들은 모두 사랑 받고 싶어하고, 의식주와 의미 있는 일, 교육, 영적인 공동체와 같은 기본적인 인권을 필요로 한다.[90]

§ 현재 바디샵을 비롯한 많은 기업들이 기업이 사회 책임 운동을 벌이고 있다. 이것은 점점 그 힘을 얻어 가고 있는 활발한 운동으로, 이상주의를 다시 비즈니스 의제로 삼으려고 한다. 이것은 새로운 운동이 아니다.[90]

§ 새 천 년을 시작하면서, 사회적으로 책임 있는 기업의 실질적인 정의를 알고 싶다면 기꺼이 알려주겠다. 그것은 간신히 살아남는 것, 내외적인 압박에 시달리면서도 가치관을 지치는 것, 그러면서도 더 크고 더 용감한 것을 향해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다.[90]

§ 덧붙일 가치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가치를 덧붙일 수 없다.[90]

§ 만일 기업이 돈 벌 목적으로만 비즈니스를 한다면 소비자들은 그들의 말이나 행동을 믿지 않을 것이다. 우리와 더불어, 소비자들은 인간 정신이 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비즈니스를 재정의 하는 데 반응을 보이고 있다.[91]

§ 사회적으로 책임을 지는’ ‘사회적으로 반응을 보이는’ ‘사회적으로 반영하는등 뭐라고 표현하든, 우리는 기업이 긍정적인 사회 변화를 위한 힘이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91]

§ 지금 세계가 간절히 바라는 것은 가치를 덧붙이는 일이며, 그것이 바로 기업이 할 일이다.[92]

§ 가치관에 따라 행동하는 기업이 되기는 어렵다. 나는 보다 인정 많은 세상을 꿈꾸는 사람들이 자신의 감정을 솔직히 드러내도록 상황이 허락하지 않을 때, 흔히 외로움과 허탈함을 느끼는 것을 목격해왔다. 그러다가 그들은 다른 사람들도 확실히 자기와 비슷한 파괴적인 생각과 느낌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런 열정은 고독할지 모르지만, 매우 쉽고 자발적이기도 하다.[92]

§ 나는 오랜 세월을 거쳐 사람들이 사회적, 환경적 가치관을 바디샵의 DNA의 일부로 간주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바디샵이 정직성을 잃지 않았다는 것이다.

§ 우리는 우리의 방법과 실수에 대해 정직하다. 우리는 완벽하지 않다. 완벽하기란 불가능하다. 그러나 올바른 방향으로 나가려고 노력하고 있으며, 그런 상황에서는, 우리가 하려는 일을 속이지 않는 것이 최선이다. 이것은 남과 다른 결정이지만, 나는 그것을 지키고 싶다.

§ 중요한 것은 자신의 심장과 영혼 속에 들어 있는 것과의 교류를 끊지 않는 것이며, 먼저 자신이 왜 비즈니스를 하고 있는지를 기억하는 것이다.[92]

 

어떻게 표현되든 간에, 가치관은 무엇이 살 만하고 노력할 만한 가치가 있는지에 대해서 공동의 목적과 기준과 개념을 제시하는 메시지를 가지고 있다. 가친관은 또한 동기를 부여하는 무한한 힘을 가지고 있다.-존 가드너

 

§ 거래 파트너와의 공동체: 극도로 궁핍한 지역인 이스터하우스와 글레스고에 비누공장을 지었다. 그것은 도덕적인 사업결정이었으며, 효과가 있었다. 이런 도덕적인 사업 결정이 왜 효과를 보이는 것일까? 소비자들이 그들의 구매 행위가 도덕적 선택이기도 하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94]

§ 바디샵이 가장 크게 성공한 사업 가운데 하나는 가난한 지역 사회와의 거래다. 우리가 가난한 지역 사회와 무역 관계를 체결하는 목적은 그들의 삶의 질을 낮추려는 것이 아니라 높이기 위해서다.[95]

§ 이런 경제 활동은 그것만으로는 세계 경제를 바꾸어 놓지는 못했지만, 기업으로서 우리 회사의 책임감에 대한 의식을 바꾸어 놓았다.

§ 우리가 사회적으로 책임진다는 것은 다른 조직이나 다른 기업과 접촉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여기서 내가 말하는 조직은 단지 무역 협회만이 아니라 대안 무역협회, 인권 단체, 협동조합 운동, 지역 경제 개발 아이디어, 독자적인 두뇌 집단, 급진적이며 학구적인 철학자, 경제학자, 정치학자 등이 포함된다.

§ 이런 비공식적이며 민주적인 네트워크, 이런 접촉의 과정은 보다 진한 인간미를 만들어내는 데 중요하다.[95]

§ 사회 의식의 새로운 질서를 만들고, 어떤 인간적인 성취를 하고, 어떻게 세계 경제에서 다국적 기업의 횡포와 사회적 무관심이라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느냐는 더 큰 의문을 제기하는 것은 바로 이런 기업의 사회 책임 운동이기 때문이다.[95]

§ 기업이 어떻게 사회적인 빚을 갚을 수 있을까? 기업의 책임감을 통해서 갚을 수 있다.[96]

§ 기업은 비즈니스 관행을 바꾸어야 한다. 장기적인 시각을 가져야 하며 지역 사회에 투자하고 지속적인 시장을 건설해야 한다. 기업의 새로운 책임감은 기업인에게 동기부여를 하는 것과 기업의 기본적인 목표가 무엇이어야 한다는 데 대한 기본적인 생각을 바꾸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복잡하다.[96]

§ 바디샵의 사회적 의지를 보여주는 우리의 무역 헌장에서 가장 중요한 조항은 우리의 이념을 이익과 통합하겠다는 약속이다.[98]

§ 우리는 사회적 감사란 이들 이해 당사자들이 모두 우리에 대한 자신들의 생각을 말하는 것이다.[99]

§ 우리가 가치관 백서를 내 놓은 것은 보다 지속성 있는 사업을 향한 발전의 새로운 척도를 제공하기 위해서다.[101]

§ 천연자원을 보존하는 것은 기업이 책임이 아니라 사회적 책임이다. 그러나 사회가 그 권리를 행사하려면 정보가 필요하고, 기업은 그 정보를 제공해야 할 책임이 있다. [101]

§ 권한 여부의 실험: 나는 모든 생명은 하나의 영적 개체의 표현이라고 믿는다. 우리는 더 이상 직장과 지역 사회, 윤리와 경제를 분리하는 오류를 범해서는 안 된다.[103]

§ 조직에서는 권한 부여가 조직의 구성원 각자가 조직의 문화를 창조할 책임을 진다는 것을 의미한다.[103]

§ 직원들에게 그들의 이상을 실행하고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보다 더 강력한 동기 부여는 없다.[103]

§ 나는 아무도 가보지 않는 곳을 여행하고 있다. 그것은 우리가 원하는 것을 향해 실험해 볼 수 있는 무한한 자유를 준다. 분명히 말해두지만, 그것은 광적인 복잡한 여행이다. 그것은 실로 실험과 실험의 연속이다.[103]

§ 우리는 지역 사회와 가족을 지원하고 환경을 보호하는 것으로 우리의 발전을 측정하고 싶다.[104]

§ 가슴으로 기업을 경영하면 좋은 일들이 생길 수 있다. “행동주의는 우리가 이 지구상에 사는 대가로 치르는 임대료다.”라는 위대한 구호가 생각난다.[104]

4. 설득력 있는 열정

§ 커뮤니케이션에는 재미가 중요하다. 물론 열정도 중요하다. 리더십에서 가장 중요한 도구는 커뮤니케이션 기술이며, 커뮤니케이션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열정이다. 사람을 설득하는 것은 그 무엇보다도 열정이다. 오늘날 많은 기업들은 커뮤니케이션을 그토록 강조하면서도 이 중요한 요소를 망각하고 있다.[109]

§ 리더는 사람들을 감동시켜 행동하게끔 커뮤니케이션을 해야 한다. 그러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하려면 연민과 정을 가져야 한다. 아무리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어도, 그 관심을 전달할 수 없으면 아무 소용이 없다.[109]

§ 국제 비스니스의 열쇠는 커뮤니케이션에 있다.[109]

§ 기업은 자신이 어디에서 왔다는 것을 알리는 동시에 고객의 의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기업은 우선 자신이 왜 비즈니스를 시작했는지를 늘 기억하면서 커뮤니케이션 도구를 계속 재창조해야 한다.

§ 많은 경우에, 기업은 창업 정신을 망각할 때 원동력을 잃는다.[109]

§ 바디샵에서는 전 직원이 한 가족과 다름없다. 우리는 토론을 장려하고, 직원들에게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자유롭게 말하라고 장려한다.[110]

§  

열정적인 사람만이 항상 설득을 잘하는 주창자가 될 수 있다. 가장 단순한 사람이라도 열정을 가지고 있으면 열정을 가지지 못한 가장 훌륭한 웅변가보다 더 설득력이 있다. – 르네 데카르트

 

 

§ 광고의 무용성: 우리는 마케팅이란 고객과 보다 민감하고 설득력 있게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배웠다.[112]

§ 바디샵은 피부와 모발 관리 제품을 만드는 화장품 회사다. 화장품 회사는 여성을 존중하지 않고, 노화 방지 크림으로 여성을 유혹하고, 제품을 불필요하게 동물을 실험하고, 재활용 할 수 없는 쓰레기를 만드는 포장재에 제품을 포장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112]

§ 불행하게도 고객들이 정보에 근거한 결정을 내릴 필요가 있다는 사실은 흔히 무시되고 혼돈된다. 고객들은 지식을 바라며 정직한 정보를 원하다.[112]

§ 우리 회사의 일부 제품들은 이야기를 가지고 있다. 그들이 어떻게 고안됐으며, 그들의 성분이 어디서 나왔으며, 그들이 어떻게 만들어졌는가에 관한 사람들이 알고 싶어하는 역사를 가지고 있다.[113]

§ 따라서 우리는 최소한의 광고와 포장으로 화장품을 팔고, 성적인 매력보다는 건강미를 장려하고, 이른바 영혼의 젊음의 약속보다 현실성을 제시한다.[113]

§ 바디샵의 성장은 성공하기 위해서는 꼭 요란한 광고 전에 돈을 들일 필요가 없다는 사실을 입증한다. 우리는 언제나 광고 대신에 입소문과 제품에 얽힌 이야기에 의존해 왔다.[113]

§ 게릴라 마케팅 : 우리는 매장을 인권 운동의 작전 본부로 사용한다. 우리는 고객들에게 자신에게 영향을 주는 이슈에 대해 큰 소리로 말하라고 홍보한다.[114]

§ 나는 빈 공간을 싫어한다. 빈 공간을 보면 분위기를 창조하고, 메시지를 전달하고, 논지를 입증할 기회라고 생각한다. 밋밋한 종이 봉지보다 더 따분한 것이 어디 있겠는가? 그런 공간이 있으면 메시지를 넣어야 한다!

§ 나는 우리 제품을 정치적, 사회적 메시지와 연계시킴으로써 판매를 촉진시킬 수 있다고 믿는다.[114]

§ 전국을 돌아다니는 12대의 차량이 있다. 사람들에게 정보를 주고 사람들을 교육시키고 즐겁게 만들어주는 메시지를 싣고 다닌다. 여기서 말하는 메시지는 상품 광고가 아니라 정말 중요한 것, 가령 실종자 찾기 같은 광고를 말한다.[114]

§ 그런 사업은 사람들로 하여금 그들이 서로를 염려해주는 인간미 넘치는 사회의 일원이며, 작지만 그들도 사회에 기여할 수 있다고 느끼게 해주기 때문에 극적인 효과를 가지고 온다.[114]

§ 우리의 특정 제품이 더 잘 팔리지는 않겠지만, 그것은 우리가 어떤 가치관을 가진 회사인지 알려준다. 그것은 우리를 지역사회와 연결시켜주고, 우리에게 소속감을 느끼게 해준다.[115]

§ 직원들의 사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위해서가 아니라면, 경쟁자보다 광고비를 더 많이 지출하려고 애쓰기보다 지역 사회에 도움이 되는 일을 하는 것이 훨씬 더 우수한 마케팅 전략이 될 것이다.[115]

§ 스토리텔링에 의한 리더십: 나와 일하는 사람들은 단순히 일하는 것을 이상의 것을 찾고 있다.그들은 인생이 의미를 알고 발견하고 싶어한다.[116]

§ 커뮤니케이션은 구두 또는 시각적 언어만을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라 보디 랭귀지도- 예를 들어, 직원을 어떻게 끌어안고 포옹하느냐는 것-필요로 한다.

§ 리더는 그 무엇보다도 그들의 말을 귀담아들어주고 반응을 보이는 것이 중요하다.[116]

§ 나는 가장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방법 중의 하나는 스토리텔링이라고 생각한다. 이야기는 인류의 가장 오래된 커뮤니케이션 방법이자 진실을 이해하는 방법이다.

§ 스피치 커뮤니케이션을 연구하는 어느 학자는, 이야기는 듣는 이의 상상을 자극하고, 당황과 통찰력과 결단의 상태를 만들어 낸다.”면서 이야기를 듣는 이를 단순히 정보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인 사고의 상태를 촉발한다.” 말하다.[116]

§ 우리가 어디서 어떻게 제품의 성분을 구했느냐는 이야기는 본질적으로 아무 의미가 없는 제품에 의미를 주며, 우리 회사에 얽힌 이야기는 우리의 역사와 공동 목적 의식을 전해준다.[117]

이 우주는 원자가 아니라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 뮤리엣 루켓저

§ 위계질서를 초월한 커뮤니케이션: 우리는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장려하기 위해서 다양한 계층의 직원을 통합하려고 노력한다. 우리 회사에는 제한 구역이라는 것이 없다.- 청소부도 이사 회의실을 그들의 회의실로 사용할 수 있다.[120]

§ 조직 내부에서 발생하는 문제와 갈등을 해결하는 열쇠는 커뮤니케이션의 통로를 활짝 열어두는데 있다.

§ 그러므로 우리는 자유로운 표현을 권장하며, 비즈니스와 산업의 좁은 제한구역 밖에서 의미를 찾기를 바라며, 일을 재미있게 생각해 주기를 바란다는 신호를 직원들에게 직접적으로 분명하게 보내기가 쉬었다.[121]

§ 나는 사무실에 아름다움과 스타일, 그리고 흥분을 도입하기 위해서도 애를 쓴다. 나는 시각적으로 최대한 자극적인 분위기를 좋아한다.[122]

§ 창의적인 행위는 놀이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 바디샵에서는 디자인의 언어가 매우 중요하다. 우리의 메시지는 언어적이기 보다 시각적인 경향이 있으며, 단어를 많이 사용하지 않는다. 프랜차이즈 사업을 하는 회사로서 문화가 될 수 있는 스타일 일을 창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122]

 

단 한 가지 중요한 것은 사람들을 어떻게 감동시키느냐는 것이다. 내가 누군가에게 통찰력을 주었던가? 나는 그렇게 했기를 바란다. 통찰력은 존속하지만, 이론은 그렇지 못하다.- 피터 드러커

 

§ 전쟁을 중단하라”: ‘바디샵 헌장을 만들게 되었다. “바디샵의 목표와 기치관은 우리의 제품과 이익 못지 않게 중요하다.”고 명시한 헌장 제1조 는 우리의 이념과 이익을 통합하겠다는 우리의 의지를 분명하게 보여준다.[128]

§ <폴 보이스>: 우리가 보낸 메시지는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좋아하라는 것이었다.[131]

§ <폴 보이스>는 우리 자신을 속속들이 사랑할 수 있게 될 날을 향해 한걸음 더 앞으로 나아간 것이다.[133]

§ 리더십은 근본적으로 커뮤니케이션과 대화에 관한 것이지만, 꿈과 비전을 가지고 공동의 운명 의식을 개발할 수 있고, 다른 사람들에게 그 비전 안에서 그들이 희망과 욕망을 어떻게 실현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것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 동시에 나는 바디샵이 재미 의식을 상실하지 않기를 바란다. 커뮤니케이션은 열정과 재미와 비전, 이 세 가지 요소를 모두 필요로 한다.

5. 미용 산업의 횡포

§ 풍만한 몸매의 루비는 신이 자신을 멋있다고 생각하면, 멋있어 보일 것이다는 메시지를 전한다. 루비를 보면 아름다움이란 허벅지 둘레에 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감에 있다는 것을 상기하게 된다.[135]

§ 나는 아름다움을 재정의하고 노화 과정의 정당성을 인정 받게 하는 것이 내가 할 일, 우리 세대의 여성들이 할 일이라고 본다. [139]

§ 내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세계에서는 노화 과정이 우리의 인간을 정의하는 하나의 요소이기 때문에 찬미의 원인이 되 것이다.[140]

§ 남다른 일을 할 수 있는 용기: 우리에게 아름다움은 일상 생활의 건전한 일부분이다. 그것은 개성, 호기심, 상상력, 유머에 관한 것이며, 달리 말하면 자기 자신에 대해서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겉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우리는 항상 미용 산업과 반대 방향으로 가려고 노력해 왔다.[143]

§ 우리는 여성을 이상화하기보다는 여성을 찬미한다. 초소한의 선전과 포장으로 화장품을 판매하며, 성적 매력보다는 건강을, 즉각적인 회춘과 같은 의심스러운 약속보다는 현실을 강조한다.[143]

§ 우리는 미용 산업이 제시하는 여성다움의 개념에 도전하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을 하며, 자아 존중심과 문화적, 물리적 다양함을 장려하고 우리들 각자를 지금의 우리로 만들어주는 독특한 개성을 찬미한다.[143]

§ 우리가 노화라고 생각하는 것은 사실 햇빛에 노출되었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그러므로 가장 효과적인 노화 방지 제품은 햇빛 차단용 모자다. 우리에게 단순히 고객의 외모를 관리해주는 것 이상의 책임이 있다고 말하는 것은 이런 뜻에서다. 우리는 사람을 전체적으로 찬미하려고 한다.

§ 사실 아름다움을 가꾸는 의식은 미용 제품보다 더 중요하다. 그것은 자아 존중심을 표현할 수 있는 방법과 사회적 결속의 수단을 제공한다.[146]

미용 산업은 아름다움을 재정의할 필요가 있다. 물리적인 이상만을 추진할 것이아니라 개성과 다양함을 인정해야 한다. 나는 총체적인 시각을 갖고 육체와 영혼, 정신과 개성 등  전체를 보는 것이 훨씬 더 적절하다고 생각한다.[148]

§ 나이든 여성들은 외모가 아닌 다른 요소로 나를 판단하라.나의 지혜와 유머와 인생에서 정말 중요한 것을 아는 나의 이해력으로 나를 판단하라고 말한다.

§ 최상의 아름다움은 자아 존중심, 즐거움, 경이로움, 내면의 힘을 망라한다는 사실을 입증하다. 최상의 아름다움이란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나는 진정한 아름다움이란 이목구비의 이상적인 배열보다 내면의 조화와 더 관계가 깊다고 생각한다.[150]

§ 새로운 시대는 우리의 육체를 변화 시키고 의학적, 물리적 문제를 해결해 줄 것을 약속하지만, 그것 역시 우리의 내적인 면을 무시하고 있다.[151]

6. 여성으로 일하기

§ 요즘 들어 사람과 자연, 육체와 영혼, 지역 사회와 지역 사회를 연결하는 통합 문화가 대두 되고 있다는 소리를 많이 듣는다. 그렇게 되면 우리는 외향적인 육체보다는 내면적인 마음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될 것이며, 화장품보다 노화에 대한 창의적인 반응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될 것이다.[154]

§ 공동체 의식은 윤리적 기업 사상가들이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을 때 항상 앞세우는 이른바, ‘여성적 가치관가운데 하나다. 여성적 가치관은 친밀한 개인적, 문화적 속성을 반영하며, 인간적인 중요성과는 상관없이 자본의 이동에만 관심이 있는 세계 시장 증후군과는 여로 모로 정반대다.[163]

§ 나는 언젠가는 여성적 가치관의 하나인 연민의 정이 현금의 유동성 못지 않게 중요하게 생각되는 날이 올 것이라고 믿는다.[165]

 

우리는 항상 자신의 가치관에 따라 행동해야 하며, 남성들의 가치관에 대한 우리 가치관의 영향력을 높여야 한다.-페트라 켈리(페미니스틍 운동가)

 

§ 권위주의의 지배를 받으며 변화에 저항한다. 여성들은 자기 기업을 창업함으로써 이런 남성 지배적인 기업 모델에 도전할 수 있다.[172]

§ 이 모든 실험 뒤에 여성들의 진정한 관계가 놓여있다. 그것은 여성들이 남성들이 정한 조건에 따라 평등함을 갖는 것이 아니라, 남성과 여성이 서로의 가장 뛰어난 가치를 중심으로 새로운 동반자 관계를 창조하는 것이다.[172]

§ 여성들의 변화 요구를 받아들이는 것은 정치인과 사회 운동가들의 임무다.[180]

§ 여성의 열망을 실현할 수 있는 열쇠가 자아 존중심에 있다는 것은 그 때문이다. 자아 존중심이라는 단어는 무척 멸시 받는 두려움을 주는 것으로 여성의 자기 희생에 의존해 온 사람들은 흔히 이단어어 이기적이고 방종하다고도 해석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자아 존중심은 혁명으로 가는 길이다.[181]

§ 자아 존중심은 새 천년에 우리의 길을 찾아갈 수 있는 열쇠다.

7. 미국에서의 실패

§ 미국의 영웅들: 사실 미국은 항상 나를 황홀하게 하고, 유혹하고, 미혹하고, 화나게 하고, 도전하게 만든다. 나는 미국인들의 열정과 모험 정신과 실험 정신을 사랑한다. 또한 이 세상 어디에서보다 더 많은 영웅들을 미국에서 만났다.[197]

-      랠프 네어더: 유명한 소비자 운동가. 대국적 기업들이 자신의 규모를 이용해 반대 여론을 잠재우는 것이 얼마나 잘못되었는지를 입증하고 있다. 그는 기업은 왜 개인이 책임을 지듯이 책임을 지지 않느냐고 우리 모두 물어볼 필요한 질문을 한다. 랠프 네이더는 기업 세계의 부도덕성을 참지 못하고 격분할 줄 아는 그의 불굴의 의지는 나에게 영감을 준다.

-      매튜 폭스:신학자. 오늘날 사회를 괴롭히는 자아 존중심과 관련된 많은 문제들이 우리의 의식의 세계를 멀리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본다. 위기에 빠진 세상을 바로 잡는 것이 기업의 책임이므로, 오늘날 비즈니스의 참된 일은 우리의 심장과 영혼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레베카 호프버거: 볼티모어에 미국 환상 미술관(AVAM) 설립자. 그녀가 10년 이상 캠페인으 하는 동안 소중한 자신 역학을 했다. 푸근함과 유머 감각 못지 않게 그녀를 매력적으로 보이게 하는 것은 그녀의 불 같은 추진력이다. “예술은 문명의 접착제와 같다.”

-      글로리아 스타이넘: 사회적 행동주의와 유머감각. 여권의 열렬한 옹호자로 활동 중. 패미니즘은 서로에게 결정할 수 있는 힘을 주는 것.  

§ 여성은 자신이 대접 받고 싶은 대로 다른 사람을 대접해 주는 데 명수다. 여성들에게 필요한 것은 이 황금률을 뒤집어서 그들이 다른 사람을 대접하듯이 자기 자신을 대접해야 한다는 것이다. 수동성은 여성적인 것이 아니다.[201]

§ 우리는 글로리아의 낙관론에서 용기를 얻는 한편, 그녀의 충고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그 어떤 것도 저절로 생기지 않는다. 변화는 당신과 내가 매일 무엇인가를 하느냐에 달려 있다.”[202]

 

<변화에 대한 글을 읽으면 흔히 변화가 무척 간단한 것처럼 생각됩니다. 비전을 세우고, 변화 계획서를 만들고, 숫자로 덧칠하기만 하면 되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분명히 알아두셔야겠지만, 변화란 그런 식으로  일어나지 않습니다.

변화의 실제 세계에서는 비전이 흐려집니다. 특히 새로운 리더가 나타날 때는 더욱 그렇습니다. 가장 믿었던 친구들이 황급이 달아나고, 희망과 두려움을 함께 할 동지가 사라집니다. 그 대신 경쟁자와 반대자가 나타나고, 여러분에게 가장 중요한 지지자가 가장 거센 반대자가 됩니다. 왜 이런 일이 생길까요? 변화란 사람에 관한 것이며 사람은 항상 우리를 놀라게 하니까요. 잠자고 있는 비즈니스 환경에 큰 변화를 일으키일 할 때, 달콤한 꿈과 함께 약간의 악몽도 꾸게 될 것입니다.>[204]

 

8. 바디샵의 캠페인

§ 인권 운동- 오고니족 족장 석방 운동: 본능에 따라 행동할 때에는 두렵다거나 특별하다는 생각은 들지 않고, 다만 그렇게 하는 것이 옳으며, 우리 자신도 모르는 어떤 힘이 우리를 끌어당긴다는 것만 알 9. 뿐이다.[216]

§ 나는 기업인들이 정치와 상업은 서로 관섭하지 말아야 한다는 생각으로 너무 오랫동안 완전히 다름 무대에서 활동해왔다고 생각하다. 나는 거기에 반대한다. 나는 간섭을 찬성하다. 정치 의식과 행동주의가 한테 어울려 기업이라는 직물을 짜야 한다.[226]

§ 우리는 인권과 사화와 환경이 긍정적인 변화를 추구하는 데 헌신하기로 이런 목표들을 추구하는 행동조직이 되기로 했다. 이것은 말이 아니라 행동하는 것을 의미했다.[226]

§ 그것은 우리에게 인식할 수 있는 정체성을 부여했다. 그것은 직원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어떤 광고 캠페인보다 매력적이고 의미 있는 방법으로 우리를 구분한다.[227]

§ 내가 1976년에 바디샵의 첫 매장을 열었을 때 우리는 무슨 일을 할 것이라고 어렴풋하게나마 짐작하고 있었다면 그것은 사실이 아닐 것이다. 당시만 해도 생계를 꾸려나가기 위해 돈 버는 데 관심이 더 많았던 게 사실이다. 1984년에 기업 공개를 하고 나서야 비소로 바디샵이 사회적으로 좋은 일을 할 수 있는 잠재력과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229]

§ 우리가 파는 제품 가운데 그 어떤 것도 생사와 관련된 것은 없다. 그러므로 나에게 캠페인은 가치가 없는 기업에 가치를 부가할 수 있는 방법이었다.[230]

§ 1990년에 우리는 자선 기금 관리를 위해 바디샵 재단을 설립했다. [232]

§ 사람들은 단순히 제품을 구입하고 싶어하는 것이 아니라 그 회사와 공감하고 싶어한다.[238]

§ 바디샵에서 일하는 것은 단순히 비누나 샴푸를 파는 것 이상이라는 깨달음은 엄청난 자부심과 책임의식을 준다.[239]

§ 가치관을 바꿔놓는 것은 행동을 바꿔놓는다. 한가지 커다란 교훈이 있다. 인간의 힘은 꿈, 호기심, 음악, 인간 정신에 갖혀 있다. 이 것을 열성이라고 하는 비밀성분을 통해 찾을 수 있다. 진심에서 우러나온 열성은 한 사람의 전부를 인도하기 때문에 저항이 없고, 모든 것이 순조롭게 흘러가고 모든 것이 가능해 보인다.

§ 우리가 정치에 대해 긍정적으로 느끼기 시작하면, 중요한 변화가 생길 것이다. 정치는 가능성의 예술이다.[242]

 

모든 지식은 행동으로 옮겨야 한다.-알베르트 아니슈타인

 

9. 비전을 가진 상인

§ 그것은 그들이 백인 사회와 체결한 최초의 지속적인 직거래 관계가 될 것이며, 나는 그런 관계를 체결하는 데 개입할 수 있어서 자랑스러웠다.[250]

§ 내가 궁극적으로 바라는 것은 힘 없는 지역과의 정직한 거래를 위한 완벽한 본보기를 만드는 것이며, 그것을 앞으로 있을 그러한 거래의 참고로 삼을 것이다.[253]

§ 커뮤니티 트레이드 사업은 우리의 사회적, 환경적 손익 계산서에 많은 보탬이 되며, 우리는 기계적인 손익 계산서로만 우리의 공을 평가받고 싶지 않다.[259]

§ 우리는 매장에 있는 제품을 소중하게 생각할지 모르지만, 그것이 어떻게 사람들의 구호지책이 되고,어떻게 지역 사회를 결속시키며, 어떻게 교육을 시키고 미래를 형성하고, 농촌에 경제적인 발전을 가지고 올 수 있는지 이해하지 못한다.[266]

우리 사회에서 돌파구적인 변화를 책임지는 진정한 창의성은 언제나 규칙을 위반한다.-리처드 파슨

10. 바디샵에 대한 비방

§  나는 절대로 우리가 재판에서 질 거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내가 진실하고, 그가 진실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열정적으로 말한다면 반드시 진실이 이기게 되어 있다.[289]

§ 내가 배운 교훈: 가치관에 따라 행동하는 기업은 어떤 기업이라도 천사보다 더 고귀한 존재로 찬미 받거나 아니면 등에 발길질할 표시를 해둔 마귀로 폄하된다.[298]

§ 그것은 개인이나 단체나 자신의 믿음을 신봉하기 위해 저항하는 사람들은 누구나 겪는 현실이다. 더누가 여자인 경우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이것이 이 모든 일에서 내가 얻은 첫번째 교훈이다.[298]

§ 가끔 있는 질책은 우리를 위해 좋다. 그것은 우리가 하는 일을 뒤돌아보고 스스로를 어떻게 개선시킬 수 있는지 생각하게 만든다. 그러나 우리가 지난 18년 동안 이룩해 놓은 것을 한꺼번에 무너뜨리려는 사람은 용납할 수 없다.[302]

§ 바디샵에서 일하는 사람은 누구나 우리 회사에서의 생활이 실험이며, 될 수 있는 대로 바른 길로 가고 최선을 다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바디샵처럼 비즈니스를 운영하려면 이상과 실제 사이에서                      끊임없이 타협해야 한다. [303]

12. 바디샵의 재창조

§ 생존을 위한 재창조. 1990년대 말 우리의 주문은 그것이었다.[335]

§ 디자인 문제: 바디샵의 전통은 시각적으로 다채롭고 이야기 가득하고 천연성분을 사용하는 것이다. 짙은 초록색을 우리의 지배적인 색으로 삼아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 있지만 나는 받아들이지 않는다.

§ 짙은 초록색은 이제 우리의 환경 문제에 개입하고 있다는 것을 상징할 뿐만 아니라 우리의 전통과 브랜드 트레이드마크의 중요한 일부분이 되었다.[338]

§ 누군가가 당신 회사의 DNA를 건드리거나 바꾸도록 허용해서는 안 된다![339]

§ 스토리텔링 문제: 이상하게도 고객들에게 우리의 제품에 얽힌 이야기를 들려주는 데에는 별로 효과적이지 못했다. 우리는 아직 커뮤니티 트레이드 사업이나 바디샵 재단이 하는 일을 고객들에게 설명하는 법을 터득하지 못했다.[339]

§ 프랜차이즈 사업의 문제: 프랜차이즈점들을 공동 경영자 지위로 바꾸는 것은 우리가 그들의 지역을 어떻게 발전 시킬수 있고, 서로에게서 무엇을 필요로 하고, 그들이 신제품을 어떻게 도울 수 있고, 누가 최상이 관행을 가지고 있는지 보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은 노력을 교환하는 것은 물론 직원을 교환하고, 아이디어를 교환하는 것을 의미한다.[341]

§ 프랜차이즈 사업은 창의적인 아이디어의 원천이었으며, 바디샵이 친밀한 가족 관계를 형성 할 수 있었던 좋은 의지처였지만, 미래에 적합한 패턴은 아니다.[342]

§ 나는 앞으로 5년 안에 프랜차이즈 사업을 완전히 끝내고, 우리와 함께 일하는 사람들은 공동 경영자로서 성공적으로 사업을 할 수 있기를 바란다.[342]

§ 교훈: 조직개편은 고통을 주고 때로는 해방감을 주었지만, 절대적으로 꼭 필요한 것이다. 최근 몇 년간 동안의 경험을 통해 미래에 우리를 이끌어줄 몇 가지 교훈을 얻었다면, 다음과 같은 것이다.

1.     신속하게 행동하라

: 미래의 성공을 보장하는 열쇠는 속도, 민첩성, 상황대응력에 있다. “창의적인 회사는 결코 평화와 안정의 안식처가 아니다.”

2.     창의력을 발휘해 색다른 판매술을 개발하라.

바다샵 디지털 사업은 바로 우리가 지향하는 곳으로 우리를 데리고 간다. 나는 바디샵 드렉트가 엄청나게 확대되어 결국에는 전세계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본다. 직판은 전자상거래에 대한 스펙트럼의 또 다른 끝이며, 사람들이 점점 컴퓨터에 이해 고립되어가는 세상에서 인간적인 접촉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344]

3.     천편일률적인 브랜드 이미지에서 벗어나라.

-우리 매장에는 항상 약간의 녹색이 있겠지만, 이를 통해 보고하고자 하는 것은 브랜드가 아니라 지역 사회다. 나는 우리 매장이 천편일률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갖는 것보다는 매장이 위치한 지역 사회에서 확고한 사회 의식을 보이기를 바란다.[345]

-우리는 화장품을 팔지만, 그 이상의 것을 취급하기도 한다. 그것은 피부, 관심, 도적적인 태도라고 생각하라

4.     제품을 폭넓게 해석하라.

교육이나 출판 분야에도 진출하고 싶다. 지금까지 700여명의 바디샵 직원이 보스니아, 루마니아, 알바니아, 코소보를 방문해서 봉사활동을 했다. 그들의 활동은 평화 봉사단원이 하는 일과 비슷하며, 그것은 앞으로 더욱 발전시킬 충분한 가치가 있다.[346]

5.     지역 사회와 협력관계를 조성하라.

협력관계는 돈을 기부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며 우리는 바디샵 재단을 통해 그렇게 하고 있다. 무역과 기부 모두 협력 관계이다.[346]

6.     인간미를 잃지 말고 성공을 다른 척도로 측정하라

7.     개방적이어야 한다.

고객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도 어떻게 고객을 유지할 수 있느냐는 것이 기업의 도전과제가 되어서는 안 된다.[349]

8.     윤리성을 전통의 일부로 만들어라.

우리는 모두 사회적 책임을 지는 기업의 원칙을 수용해야 한다. 기업이 빈곤과 환경, 인권면에서 책임져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면 우리의 미래는 매우 삭막하다. 이것은 단순히 홍보를 통한 눈속임에 그쳐서는 안 된다. 우리는 계속 우리의 전통을 존중하기 때문에 살아 남아 번영할 것이다.

9.     차별화하고 이야기를 만들어라.

나는 가장 크고 가장 이익을 많이 내는 소매업체가 되는 데에는 전혀 관심이 없다. 다만 바디샵이 숨막힐 정도로 흥분되는 최고의 회사, 비즈니스 하는 방법을 바꾸어 놓는 회사가 되기 바란다. 그것이 나의 비전이다.[351]

10.   사람들은 돈 이상의 것을 열망한다는 사실을 기억하라

기업의 영성은 남을 생각할 줄 아는 진정한 인간의 구체적인 행동에 뿌리를 두고 있다. 나는 비즈니스 리더들이 이익을 강조하기보다는 인간 정신을 강조해야 한다고 생각한다.[351]

11.   리더에게서 가장 중요한 자질은 리더로 인정받는 것이다.

효과적인 리더십이 기본 요소는 상직적인 것들이다. 커뮤니케이션 능력, 동기를 부여하고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능력, 거기에 재능을 알아보고 키워나가는 능력이 바로 그것이다. 효과적인 리더십은 사실 매우 미묘하다. 그것은 통제력이 아니라 영향력이다.

 

§ 나는 무정부적인 방종한 대포가 되어 사람들을 선동하는 역할을 해야 할까? 아니면 그저 방해만 해야 할까? 나는 끊임없이 스스로에게 이런 질문을 해보지만, 그 대답은 나의 역할이 선동자의 그것이어야 한다는 것이다.[353]

§ 문제는 어떻게 성공을 제도화하면서 광기와 야성의 강점을 보존하느냐는 것이다.[354]

§ 지난 10년 동안 바디샵에서 가장 자랑스러웠던 순간은 언제였을까? 우리 회사가 용감하게 행동햇던 모든 순간들이 다 자랑스럽다.[354]

§ 그러면 가장 고통스러운 순간은 언제였을까? 300명의 직원을 감원해야 할 때의 고통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었다.[355]

§ 나는 바디샵이 전통적인 대기업처럼 행동하고 생각하거나 덜 급진적이 될 때 회사를 떠날 것이다. 뭔가를 지지하지 않으면 우리는 평범에 빠지게 된다. 나는 바로 그런 때에 박쥐가 지옥에서 빠져 나오듯이 회사를 빠져 나올 것이다.

§ 기업은 인간에 의해 만들어지고 형성되었으며, 그렇게 하고자 하는 의지만 있으면 인간에 의해 바뀌어야질 수 있다. 사회적인 빅 이슈에 달려드는 것은 기업이 할 일이 아니라는 말에 유혹당하지 마라. 그것은 분명히 기업이 할 일이다.[357]

§ 바디샵안에서, 내가 지금 한가지 중요한 책임을 맡고 있다고 생각하다. 우리회사가 열정을 간직하고 우리가 지지했던 전통을 준수하게 만드는 것, 그 일에 도전함으로써 직원들을 흥분시키고 숨가쁘게 하도록 만드는 것, 직원들에게 영감을 주고 그들이 변화와 인간적인 성장을 지속하도록 가르치는 것이 바로 나의 책임이다.[357]

§ 나는 기막힌 우연에 노출되고 싶으며 우리의 가족을 우리의 제품 못지 않게 중요한 존재로 계속 만들고 싶다.[357]

 <월트 휘트먼의 시>

이것이 그대가 할 일이다. 지구와 태양과 동물을 사랑하고, 부자를 경멸하고, 도움을 청하는 사람에게 도움을 주고, 어리석은 자와 미친 자를 옹호하고, 남을 위해 소득과 수고를 바치고, 독자를 증오하고, 신과 관련되지 않은 일에 논쟁하고, 사람들에 대해 인내심과 관대함을 가지고, 알려지거나 알려지지 않은 아무것도 아닌 사물이나 사람에게 경의를 표하고, 교육받지 못한 사람들과 젊은이들, 가정의 어머니들과 자유롭게 어울리고, 학교에서나 교회에서나 책에서 배운 것을 재검토하고, 자신의 영혼을 모욕하는 것을 모두 잊어버려야 하다. 그러면 그대의 육신은 위대한 시가 될 것이며, 그 어휘에서뿐만 아니라 입술과 얼굴의 말없는 주름에서, 속눈썹사이에서, 육체의 모든 관절과 움직임에서 가장 풍요로운 유창성을 가지게 될 것이다.[357]

 

q 내가 저자라면

기분 좋은 책이다. 불 같은 에너지가 있는 삶이다. 열정 가득한 기운이 마법을 걸어 온다. 새로운 일을 시작하고자 하는 나에게는 더없이 용기를 준다. 내가 좋아하는 기업가의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모델을 제시한다기 보다 나처럼 비즈니스의 자도 몰라도 열정과 집념을 가진다면 기업가가 될 수 있다고 하니 나처럼 평범한 사람이 반할 수 밖에 없지 않은가.

나도 사업가가 될 수 있다는 희망과 용기를 주는 주인공, 로딕은 자신의 야기기 만으로도 일당백의 효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좋아하는 산악인이었다가 옷가게를 차린, 그러면서 기업의 사회책임 운동을 이끌고 있는 이본 추이나드, 단지 아아스크림을 좋아한다는 사실만으로 아아스크림 브랜드를 번창시킨 밴&제리의 이야기까지 들려준다. 가슴 뛰는 사례가 아닐 수 없다. 나도 그들처럼 할 수 있을 것 같은 느낌, 이 에너지, 이 신나다 못해 벅찬 마음은 그녀가 자신의 이야기를 듣고 모두가 가졌으면 하는 것이었으리라 생각한다.

무엇보다 나만의 일을 하겠다고 선언한 나를 걱정스럽게 바라보는 울 그이에게 나의 미래의 모습인양 보여줄 수 있어서 더욱 기쁘다.

 

주제

-      기업가 정신이란 배우는 것이 아니며 개인의 집념이면 가능하다.

-      기업은 지역 사회와 가족을 존중하고 환경을 보호하는 비즈니스를 하는 새로운 기준을 가져야 한다. 그리하여 이익 평가시 인간적인 발전 여부도 기업의 성장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

 

이 책의 구성

책을 읽으면서 느껴지는 내용은 크게 3가지로 간추려진다. 첫째, 아니타 로딕의 철학, 여기에는 개인적 삶의 철학, 사회적, 비즈니스적 철학, 여성 기업가로서의 철학을 포함한다. 둘째, 바디샵의 창립과 번창로 사업을 하게 된 동기와 성공, 실패 사례, 기업 이념등이다. 셋째, 바디샵의 미래이다.

그런데 현재 구성으로 보면 이러한 내용이 뒤섞여 있는 형태이다. 저자의 추구하는 이념이나 철학이 책 전체에 골고루 펴져 있어 저자의 사회 인식, 인류 발전을 위한 신념은 강하게 느낄 수 있었으나 산만한 느낌도 강하다. 또한 사이 사이에 불쑥 튀어 나오는 유명인의 문장들은 글 읽기의 흐름을 끊기에 충분했다.(그녀가 선택한 명문장을 인용문 옮기며 적어보니 부분에 아주 적절한 매력적인 글이었다) 단락의 중간에 들어간 고딕체의 강조문도 있어 더 정신 없는 구조인듯하다. 물론 그런 구성이 저자의 에너지, 열정을 표현한듯하여 재미있기도 했다.

 

다시 목차를 구성한다면 이건 어떨까?

1, 아니타 로딕이 철학

1.     비즈니스란 무엇인가?

2.     여성으로 일하기

3.     미용산업의 횡포

4.     우리가 고용한것은 종업원이 아니라 사람

5.     비전을 가진 상인

2, 바디샵의 창립과 번창

1.     누가 기업가가 될 수 있는가?

2.     설득력 있는 열정

3.     미국에서의 실패

4.     바디샵의 캠페인

5.     바디샵에 대한 비방

3, 바디샵의 미래

1.     바디샵의 조직 개편

2.     바디샵의 재창조

특히, 5장 미용 산업의 횡포와 6장 여성으로 일하기 부분은 합쳐서 별도의 책으로 출간하여도 매우 좋은 아이템으로 보여진다. 미용업계, 그것도 외모의 아름다움을 가꾸게 하는 화장품 회사의 리더가 의 성공한 회사의 리더가 여성의 아름다움에 대한 진정한 평가는 외적인 아름다움이 아니라 내적 지혜가 중요하다며 현재 미용 업계의 아름다움의 기준의 변화를 촉구하는 면은 역설적이다.

자아 존중심은 새 천년에 우리의 길을 찾아갈 수 있는 열쇠다.’가 주제가 되어도 좋겠다.

또한 남성위주의 사회에서 여성의 장점을 살려 살아남기의 중요성을 피력한 부분은 그녀가 여성 기업가으로서 몸소 체험한 이야기로 진솔하다. 사회진출에 대해 이렇게 강하게 의견을 피력한 것은 그녀가 직접 느낀 점이라는 데 대해 고무적이다. 이 챕터만 별도로 책을 발간하였다 하더라도 인기를 끌었을 것 같다.

기업가의 가치관, 그리고 경영 철학

모든 지식은 행동으로 옮겨야 한다고 했던가. 윤리적인 비즈니스에 대한 저자의 의지는 확고하다. 과연 기업이 이익과 매출이 아닌 사회에 좋은 영향, 기업의 이념으로 성공을 평가 받을 수 있을까? 그녀의 겁 없고 소신 있는 회사운영 형태가 놀랍다. 그녀의 기업이념이 전혀 기업적이지 않은 명에 반해 이 부분에 오래 머무르게 된다. 안철수가 말한 영혼이 있는 비즈니스와 영적인 비즈니스는 닮았다 하겠다. 사회와 인류를 위한 비즈니스, 원칙과 소신이 아름답다.

 

그녀는 사회적으로 책임이 있는 기업, 인권과 환경에 기여하고 공동체 의식이 있는 기업 활동을 촉구한다. 그녀는 인권이나 환경문제에는 아랑곳하지 않는 세계화, 자유무역에 대해 비판한다. 지역 문화를 지키고 함께 잘 사는 사회를 이룰 수 있는 기업은 도적적 리더십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역설한다. 이러한 그녀의 목소리는 단호하다. 실제로 바디샵은 나이지리아 정부로부터 탄압받은 오고니족을 도왔으며 카야포족에 너트 원액을 직거래하였고 바디샵 재단 설립하여 인권, 동물보호, 환경보호 등을 실천하였다. 커뮤니티 트레이드 사업으로 나약한 지역 사회를 도왔으며 공정한 거래로 윤리적 기업으로의 이념을 지켜나갔다. 로딕 같은 마인드로 기업을 운영한다면 자유무역과 세계화로 인한 부작용은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기업가로서 윤리적인 문제를 뛰어넘어 운영하기란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즈니스의 한계를 넘어 남다른 비즈니스를 펼진 것은 놀라워 보인다. 이렇게 기업을 윤리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비결은 무엇일까? 그것은 창업자의 의식일 것이다.  

기업 윤리의 척도는 창립이념에서 출발한다 하겠다. 오너가 어떠한 철학과 원칙을 가지느냐에 달려 그 방향은 달라질 것이다. 이것은 곧 기업의 문화로 자리잡게 된다.

 

그와 마찬가지로 윤리적 소비도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기업의 양심을 살피고 어떤 기업의 제품을 소비할 것인지 사회적 눈을 가지고 임해야 한다. 나는 이때까지 의식 있는 소비자는 아니었다. 이제는 적극적인 목소리는 내지 못하더라도 물건을 잘 소비함으로써 행동해야겠다. 또한 나는 어떠한 원칙과 철학을 가질 것인가. 깊이 고민해 볼 문제이다.

차별화 그리고 열정

다른 화장품 회사들과 반대 방향으로 가고 싶었다. 나는 누구에게나 자신의 안목과 기술을 아이디어로 옮기고, 조사하고, 경쟁자들이 어떻게 하는지 보고 어떻게 하면 그들과 다를 수 있는지 연구하라고 충고 하고 싶다. 경쟁자에게 없는 것에 역점을 두고 그것을 개발하도록 애써야 한다.”

     

  기업가가 되고자 했던 것도 아니며 경영을 배웠던 것도 아니다. 하면서 연구하고 발전 시켰다. 의미를

담고 사회를 생각하고 사람을 생각했다. 돈을 쫓는 트랜드가 아닌 진실을 말하고자 했다. 화장품 업계와

반대로 가고 다른 사람과 똑 같기를 거부한 열정이 이룬 것이라 생각된다.

나 또한 나의 사업(사업이라고 말하기엔 아직 쑥스럽지만)을 하기 전에 경쟁자들을 살펴야 한다. 어떻게 하는지 시장조사하고 연구하고 그들이 가지지 않은 것을 역점을 두고 개발 해야 한다. 우리는 늘 성공 사람들의 결과만 보고 열광한다. 그 사이의 과정은 들여다 보려 하지 않는다. 나도 그랬다. 그러나 요즘 그 과정을 생각하게 된다. 변화를 위해 발버둥치면서 내가 얼마나 변화하여 잘 된 사람들이 모습 만 보고 동 경했는지를 알았다. 이제 로딕의 성공도 그 과정에 피나는 노력과 열정이 있었음을 안다.

그러하기에 더욱 그 열정이 존경스럽다. 그리고 각오를 다지게 된다. 이렇게 방법을 가르쳐 주니 내 상황에 맞추어 내 것으로 만들어야 할 과제만 남았다.

 

결국은 사람이다.

   로딕은 종업원을 구성원으로 보지 않았고 사람으로 보았다. 그녀는 그 사람들의 단순한 밥벌이 이상의 꿈을 보았고 그것을 소중히 여겼다. 그리고 바른 기업의 이념과 이미지가 그들에게 동기부여의 원천이 되길 바랬다. 그녀는 직장에 대한 소신도 뚜렷하다.

   기업의 잘 짜여진 시스템이 있을지라도 결국을 사람이 하는 것이라는 것을 그녀는 알고 있었다.

 

나에게 직장은 언제나 공동체이며 공동의 선을 위해 사람들이 함께 일하는 곳이었다. 직장은 또한 특별한 곳, 창의적이고, 즐겁고, 인간 정신을 육성해 줄 수 있는 곳이어야 한다.  나는 직장이란 부모를 섬기고, 자녀 개발의 필요성을 지원하고, 가족을 환영하고 소중히 여기고 탐구하고 보호하는 곳이어야 하다고 믿는다. 직장은 어린 환경 전사를 키우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88]

 

오너라면 직장이란 어떠한 곳이어야 하며 우리회사에 일하는 사람은 어떤 사람이어야 하는 지에 대한 인재상과 가치관이 확립이 필요하겠다. 또한 직장을 찾은 사람도 자신의 가치관은 무엇이며 꿈에 대한 확고한 정리가 필요하며 이와 결부된 조직을 찾는 것도 중요하다.. 오로지 취직을 하겠다는 것 보다 자신의 이념과 그 회사의 이념이 맞는지 타진해보고 인터뷰시 확인하는 자세는 일찍이 생각해보지 못했다. 그 동안 오랜 직장생활에서 나는 이러한 자세를 갖추지 못하고 오로지 경제활동을 위해서만 직장을 구했었다. 이러한 뚜렷한 신념이 있는 사람이라면 어떤 작은 회사에서 일하더라도 보람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자라나는 우리 아이들에게는 이러한 시야를 가진 인재로 키우고 싶다.

 

   미국에서의 바디샵은 많은 실패 끝에 자리를 잡았다. 그 실패의 경험에서도 사람은 얻었다. 미국의 영웅

들이라며 열정과 모험 정신과 실험 정신을 가진 사람들을 소개한다.

유명한 소비자 운동가 랠프 네어더는 기업 세계의 부도덕성을 참지 못하고 격분할 줄 아는 그의 불굴의 의지가 자신에게 영감을 주며. 신학자인 매튜 폭스는 자아 존중심과 관련된 많은 문제들에 대한 관심이 같았으며, 미국 환상 미술관(AVAM) 설립자인 레베카 호프버거는 불 같은 추진력이 매력이라고 소개했다. 마지막으로 패미니스트인 글로라아 스타이넘을 사회적 행동주의자라고 소개한다.

 

그녀는 이들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좋은 사람들은 주변에 남았음을 행복해 한다. 나의 주변에도 매력적인, 나에게 긍정적 에너지를 주는, 열정이 가득한, 나에게 영감을 주는 사람들이 가득하기를 소망한다. 나 또한 그들에게 그런 사람이었으면 좋겠다. 그리하여 나도 나의 삶 어느 시기쯤 그들이 내 삶에 어떤 영향을 주었으며 나에게 어떤 존재인지 일일이 거론하며 행복해 하고 싶다.

 

모두 행복한 공동체 의식

 

로딕은 공동체 의식, 공동체 생활을 매우 강조한다. 그녀는 세가지 차원의 공동체를 말하는데 회사 내부의 사내 공동체, 회사가 책임져야 할 보다 광범위한 사회적 공동체, 회사의 거래 파트너와의 공동체 형성이 그것이다. 이렇게 보면 모두가 공통체이다. 그녀는 25년간 바디샵이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이러한 공동체 의식이었다고 말한다. 공동체의 참여는 소속감, 책임의식, 고독에서 벗어난 느낌을 주며 성공적인 성공적인 공동체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개인적인 책임 의식이 중요하다고 한다.

 

나는 아직 공통체에 대해 잘 모른다. 깊이 생각해 본적이 없다고 해야 맞겠다. 그러나 나의 일에도 관련성이 있어 보이는 대목이다. 천상의 계곡과 비영리단체 포근해가 체계가 잡힌다면 어떤 고아원이나 보육시설과 연계된 공동체나 1인기업가들끼리의 공동체 형성도 가능하지 않을까? 어떻게 접근 가능한지 살펴보고 싶다.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

    모든 리더십은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하다. 향상 미용 사업과는 반대 방향으로 가려고 노력한 그녀는 재미와 열정을 꼽는다. 그리고 효과적인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하려면 연민과 정을 가져야 하다고 말한다. 남다른 길을 간, 쉬운 길을 택하지 않은 커뮤니케이션의 가장 중요한 요소를 열정으로 꼽은 그녀만이 선택할 수 있는 길이라 생각된다. 그녀는 아름다움에 대한 바른 정의와 진실을 말하는 원칙이 가장 바람직한 커뮤니케이션이라고 생각했던 것 같다.

 

나는 커뮤니케이션이란 소통이라 생각한다. 일방적인 것은 의사전달일 뿐이지 소통이 아니다. 소통은 주고 받는 것으로 서로에 대한 애정이 전제가 된다. 애정이 밑받침이 된 열정은 사람을 감동시키고도 남는다. 이러한 전제의 커뮤니케이션은 어디서나, 어떤 상황에서나 발휘되도록 열린 통로가 많아야 한다. 동료뿐 아니라 고객들에게는 특히 원할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장치가 다양하게 필요하다. 

 나는 애정이 갈 수 없는 못된 고객들에게는 측은지심을 발휘했다. 측은지심 자체에 연민과 정이 깔려있기에 정성을 다할 수 있었다. 앞으로 리더로서 나의 커뮤니케이션 무기는 무엇이어야 할까?

 

 

나의 사업은 어떤 가치를 지녀야 할까?

중요한 것은 자신의 심장과 영혼 속에 들어 있는 것과의 교류를 끊지 않는 것이며, 먼저 자신이 왜 비즈니스를 하고 있는지를 기억하는 것이다.”[92]

 

사업을 시작할 때 기업의 나아갈 방향, 지향하는 목적, 추구하는 이념, 그리고 가치관의 확립은 얼마나 중요한가. 어떠한 어려움이 있어도 붙잡고 갈 수 있는 가치, 원칙은 확고히 해야 한다. <천상의 계곡>에도 꼭 가치 있는 정신을 확립하고 싶다. 가치관에 따라 행동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그것을 따르고자 하는 열정만이 처방일 것이다.

 

   로딕은 자신이 하고 있는 미용산업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가지고 있다. 그런 그녀를 보면서 앞으로 내가

하고자 하는 일에 대해서도 명확한 기준을 가져야 함을 느낀다.

-      어린이 교육(놀이)사업에 대한 나름대로의 정의는?

-      경향분석에 대한 의견과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은 무엇인가?

-      진정 아이들에게 물려, 가르쳐주고 싶은 핵심 가치는 무엇인가?

-      진정한 가르침의 방식이란?


아름답고 열정적으로 살다간 그녀에게 경의를 표하며 삶에 밴 올바른 가치관과 무한한 용기는 영원하리리 믿는다.


IP *.12.21.195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52 피터 드러커 자서전 file [1] 희산 2009.10.05 2615
2051 피터 드러커 자서전 [1] 정야 2009.10.05 2548
2050 북리뷰 24 프로패셔널의 조건 - 피터 드러커 [1] 범해 좌경숙 2009.10.05 2465
2049 피터 드러커 자서전 혁산 2009.10.05 2452
2048 피터 드러커 자서전 백산 2009.10.05 2382
2047 [24] 피터 드러커의 <피터 드러커 자서전> - 인용문 수희향 2009.10.04 2804
2046 [24] 피터 드러커의 <피터 드러커 자서전> -저자 및 내가 저자라면 수희향 2009.10.04 2675
2045 피터 드러커 자서전 書元 이승호 2009.10.04 2720
2044 북리뷰 23 - 칼리 피오리나 ~ 힘든 선택들 범해 좌경숙 2009.09.28 2541
2043 '힘든 선택들' - 칼리 피오리나 file [2] 희산 2009.09.28 2510
2042 칼리 피오리나 - 힘든 선택들 [2] 숙인 2009.09.28 2717
2041 칼리 피오리나 힘든 선택들 [2] 혁산 2009.09.28 2403
2040 칼리 피오리나 - 힘든 선택들 [1] 정야 2009.09.28 2586
2039 칼리 피오리나 힘든 선택들 file [3] 예원 2009.09.28 3087
2038 칼리 피오리나, 힘든 선택들 [4] 혜향 2009.09.28 2823
2037 칼리 피오리나 -힘든 선택들 효인 2009.09.28 2612
2036 [23] 칼리 피오리나의 <힘든 선택들> - 인용문 [4] 먼별이 2009.09.27 2531
2035 [23] 칼리 피오리나의 <힘든 선택들> -저자 및 내가 저자라면 [4] 먼별이 2009.09.27 7107
2034 칼리 피오리나 - 힘든 선택들 書元 이승호 2009.09.27 2595
» 영적인 비즈니스- 아니타 로딕 정야 2009.09.21 28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