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병곤
- 조회 수 2985
- 댓글 수 6
- 추천 수 0
어제 꿈자리가 뒤숭숭했다.
갑자기 이전 X 프로젝트를 수행했던 지하 사무실이 나오고
고객사 PM의 얼굴이 서서히 다가오더니
나에게 뭐라고 따지는 것이다.
이에 나도 물러설 수 없는 처지라
강하게 어필을 했고
그렇게 한참을 언쟁을 하다 꿈에서 깼다.
오늘 아침 출근하니
아니나 다를까
회사 동료가 모 프로젝트 위험계획을 보고 한다고 이전 X 프로젝트 분석자료를 요청하는 게 아닌가?
꿈은 무의식의 발현이고 꿈은 꿈일뿐 이라고 하는데
이상하게 현실과 일치하는 경우가 있다.
또 이런 경우도 있다.
한창 일을 하다가 어느 순간에 지금 상황을 보면 예전에 꿈에서 본 듯한 장면이 불현듯 떠오른다.
난 이전부터 상태가 안 좋은 경우에 꿈을 꾸게 되면
어김없이 군대를 갔다.
훈련소에서 6주 훈련을 마치고 자대 배치를 받고
중대장에게 신고를 하고 있는 나의 모습이 확연하게 보인다.
어처구니 없게 중대장은 우리 부장님이다.
놀라서 꿈에서 깨면
꿈을 복기하고 다시 잠자리에 든다.
의식적으로 해피엔딩으로 꿈이 이어지길 암시를 걸면서...
한참을 군대가는 꿈을 꾸다가
드디어 어느날은 제대하는 꿈을 꿨다.
날아갈 듯 너무나 기뻤다.
그런데 된장..
부모님께 큰절하고 TV를 켰는데
긴급뉴스로 아나운서가 떨리는 목소리로 이렇게 말하는 것이었다.
'오늘부터 특별법이 발효되어 제대한지 1년 미만인 사람들은 군대를 한번 더 가야합니다.'
이게 웬 청천벽력이란 말인가?
이보다 훨씬 이전에는
우주를 누비며 악당들을 쳐부수는 꿈을 많이 꿨다.
난 정의의 용사가 되어 로케트와 레이저 빔을 무진장 발사했다.
나이가 먹으면서 꿈의 내용이 점점 현실적으로 변한다는 느낌이 든다.
꿈에서 나타나는 현실도 미래에서 점차 과거로 이동한다.
이제는 꿈속에서
아득한 나의 미지의 유년시절의 모습을 볼 수 있었으면 좋겠다.
혹시 전생이 있다면 풍류를 알고 호연지기를 가슴 가득히 담고 있는 호방한 선비의 모습을 보고 싶다.
아니면 로또 숫자 6개가 선명하게 나오던지...ㅋㅋ
- 올해 초에 썼던 글입니다.
IP *.248.117.5
갑자기 이전 X 프로젝트를 수행했던 지하 사무실이 나오고
고객사 PM의 얼굴이 서서히 다가오더니
나에게 뭐라고 따지는 것이다.
이에 나도 물러설 수 없는 처지라
강하게 어필을 했고
그렇게 한참을 언쟁을 하다 꿈에서 깼다.
오늘 아침 출근하니
아니나 다를까
회사 동료가 모 프로젝트 위험계획을 보고 한다고 이전 X 프로젝트 분석자료를 요청하는 게 아닌가?
꿈은 무의식의 발현이고 꿈은 꿈일뿐 이라고 하는데
이상하게 현실과 일치하는 경우가 있다.
또 이런 경우도 있다.
한창 일을 하다가 어느 순간에 지금 상황을 보면 예전에 꿈에서 본 듯한 장면이 불현듯 떠오른다.
난 이전부터 상태가 안 좋은 경우에 꿈을 꾸게 되면
어김없이 군대를 갔다.
훈련소에서 6주 훈련을 마치고 자대 배치를 받고
중대장에게 신고를 하고 있는 나의 모습이 확연하게 보인다.
어처구니 없게 중대장은 우리 부장님이다.
놀라서 꿈에서 깨면
꿈을 복기하고 다시 잠자리에 든다.
의식적으로 해피엔딩으로 꿈이 이어지길 암시를 걸면서...
한참을 군대가는 꿈을 꾸다가
드디어 어느날은 제대하는 꿈을 꿨다.
날아갈 듯 너무나 기뻤다.
그런데 된장..
부모님께 큰절하고 TV를 켰는데
긴급뉴스로 아나운서가 떨리는 목소리로 이렇게 말하는 것이었다.
'오늘부터 특별법이 발효되어 제대한지 1년 미만인 사람들은 군대를 한번 더 가야합니다.'
이게 웬 청천벽력이란 말인가?
이보다 훨씬 이전에는
우주를 누비며 악당들을 쳐부수는 꿈을 많이 꿨다.
난 정의의 용사가 되어 로케트와 레이저 빔을 무진장 발사했다.
나이가 먹으면서 꿈의 내용이 점점 현실적으로 변한다는 느낌이 든다.
꿈에서 나타나는 현실도 미래에서 점차 과거로 이동한다.
이제는 꿈속에서
아득한 나의 미지의 유년시절의 모습을 볼 수 있었으면 좋겠다.
혹시 전생이 있다면 풍류를 알고 호연지기를 가슴 가득히 담고 있는 호방한 선비의 모습을 보고 싶다.
아니면 로또 숫자 6개가 선명하게 나오던지...ㅋㅋ
- 올해 초에 썼던 글입니다.
댓글
6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489 | 주간칼럼-중소기업을 연구하는 방법 | 박노진 | 2005.07.02 | 2220 |
488 | <변화학 칼럼 13> 사람은 두 번 태어난다. [1] | 문요한 | 2005.06.30 | 2475 |
487 | 어제보다 아름다워지기 위해 [1] | 신재동 | 2005.06.30 | 2134 |
486 | [11] 공간 그리고 비움 [1] | 오세나 | 2005.06.29 | 1868 |
485 | [10] 아름다운 거리 [3] | 오세나 | 2005.06.29 | 2053 |
» | 꿈에 [6] | 오병곤 | 2005.06.28 | 2985 |
483 | 바가바드기타 | 행복의기원 | 2005.06.28 | 2065 |
482 | 내 비망록에는 [2] | 구본형 | 2005.06.27 | 2458 |
481 | -->[re]어느날 저녁 [1] | 구본형 | 2005.06.27 | 2399 |
480 | [12] 공부 [10] | 홍승완 | 2005.06.26 | 2153 |
479 | 장면 [4] | 홍승완 | 2005.06.26 | 2130 |
478 | 일이 놀이처럼 재미 있으려면 [1] | 오병곤 | 2005.06.26 | 2243 |
477 | 주간칼럼 12-시스템으로 움직이는 작지만 강한 기업 [1] | 박노진 | 2005.06.26 | 2084 |
476 | 일본적 감상주의에 대한 단상(斷想) [3] | 손수일 | 2005.06.25 | 3670 |
475 | 그들, 시원한 사람들 [3] | 구본형 | 2005.06.24 | 2531 |
474 | 사랑하는 사람에게 마음이 담긴 글을 쓰고 싶다 [3] | 신재동 | 2005.06.22 | 2336 |
473 | <변화학 칼럼 12> 나에게 입 맞추다 | 문요한 | 2005.06.22 | 2053 |
472 | 자연처럼 | 자연의기원 | 2005.06.20 | 1998 |
471 | 윤동주와 성찰(省察)에 관하여 [2] | 오병곤 | 2005.06.19 | 2222 |
470 | 아이들.. [5] | 김미영 | 2005.06.18 | 19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