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승완
- 조회 수 1730
- 댓글 수 0
- 추천 수 0
글 잘 읽었어요.
책을 좋아하는 사람은 어디서 어떻게 만나도 좋아요.
아래 제 생각을 몇 가지 적어둡니다.
* 좋은 책의 조건
- 명쾌함: 핵심을 담고 있는가?
- 재미: 읽는이의 가슴을 뛰게 하는가?
- 실용성: 실천을 위한 실마리를 제시하고 있는가?
읽는이의 머리와 가슴을 적시는 책, 저는 그런 책이 좋아요.
좋은 작가는 읽은이의 마음을 사로잡는 자신만의 방식이 있어요.
* 독서술
독서는 등산과 비슷한 것 같아요.
산을 오르는데는 여러 길이 있지요.
책을 잘 읽는 방법도 여러 가지이고,
자신의 스타일과 강점을 따르는 것이 좋은 것 같아요.
산을 오르는데 꼭 정상까지 올라갈 필요는 없어요.
책도 꼭 처음부터 끝까지 읽을 필요는 없지요.
그저 즐기면 되요. 그런데 이것이 쉽지 않아요.
극복하지 않으면 즐길 수 없으니까요.
그래서 '많이 읽으라'고들 이야기하지요.
그 수준을 넘어서면 '천천히 읽으라'고 하구요.
극복하고 즐길 수 있다면 책을 잘 읽고 있는 것이에요.
* 책과 생각
배움에 있어 중요한 것이 '자득'과 '마음'인 것 같아요.
스스로 깨닫는 것은 쉽게 잊혀지지 않고, 깊어지면 자연스럽게 묻어나오지요.
"문을 나서자 마자 길이 천 갈래 만 갈래니,
만일 자기 자신에게 주재하는 마음이 없다면
어떻게 올바로 길을 찾아갈 수 있겠는가."
주자의 말인데, 뜻이 없는 배움은 공허하여
방황하게 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마음이 튼튼하면 독서도 튼튼해지겠죠.
저는 뭔가 읽고 배우는데 있어 가장 나쁜 것이 '교만'과 '인색'이라고 생각해요.
교만은 뽐내는 것이고 넘치는 것이어서, 더 나아가지 못하고 더 나은 것을 찾
지 않게 만들어요. 인색은 얇고 부족한 것이어서, 편견에 빠지게 하고 베풀지
못하게 만들지요.
생각 없는 독서는 공허하고, 독서 없는 생각은 위태롭다,
공자가 이와 비슷한 이야기를 했는데, 절묘한 말이지요.
늘 그렇지만 균형이 중요한 것 같아요.
* 실행
많이 읽고 오래 생각하고 열심히 실험하면,
나만의 방식을 자연스럽게 창조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수련이 곧 실행이고 실행이 곧 수련인 것이죠.
하루에 1%씩 나아가면,
도약의 순간도 오고,
도약하면 안목이 깊어지는 것 같아요.
생각의 끝에서 더 정성을 쏟을 수 있어야
행동이 시작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IP *.98.243.84
책을 좋아하는 사람은 어디서 어떻게 만나도 좋아요.
아래 제 생각을 몇 가지 적어둡니다.
* 좋은 책의 조건
- 명쾌함: 핵심을 담고 있는가?
- 재미: 읽는이의 가슴을 뛰게 하는가?
- 실용성: 실천을 위한 실마리를 제시하고 있는가?
읽는이의 머리와 가슴을 적시는 책, 저는 그런 책이 좋아요.
좋은 작가는 읽은이의 마음을 사로잡는 자신만의 방식이 있어요.
* 독서술
독서는 등산과 비슷한 것 같아요.
산을 오르는데는 여러 길이 있지요.
책을 잘 읽는 방법도 여러 가지이고,
자신의 스타일과 강점을 따르는 것이 좋은 것 같아요.
산을 오르는데 꼭 정상까지 올라갈 필요는 없어요.
책도 꼭 처음부터 끝까지 읽을 필요는 없지요.
그저 즐기면 되요. 그런데 이것이 쉽지 않아요.
극복하지 않으면 즐길 수 없으니까요.
그래서 '많이 읽으라'고들 이야기하지요.
그 수준을 넘어서면 '천천히 읽으라'고 하구요.
극복하고 즐길 수 있다면 책을 잘 읽고 있는 것이에요.
* 책과 생각
배움에 있어 중요한 것이 '자득'과 '마음'인 것 같아요.
스스로 깨닫는 것은 쉽게 잊혀지지 않고, 깊어지면 자연스럽게 묻어나오지요.
"문을 나서자 마자 길이 천 갈래 만 갈래니,
만일 자기 자신에게 주재하는 마음이 없다면
어떻게 올바로 길을 찾아갈 수 있겠는가."
주자의 말인데, 뜻이 없는 배움은 공허하여
방황하게 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마음이 튼튼하면 독서도 튼튼해지겠죠.
저는 뭔가 읽고 배우는데 있어 가장 나쁜 것이 '교만'과 '인색'이라고 생각해요.
교만은 뽐내는 것이고 넘치는 것이어서, 더 나아가지 못하고 더 나은 것을 찾
지 않게 만들어요. 인색은 얇고 부족한 것이어서, 편견에 빠지게 하고 베풀지
못하게 만들지요.
생각 없는 독서는 공허하고, 독서 없는 생각은 위태롭다,
공자가 이와 비슷한 이야기를 했는데, 절묘한 말이지요.
늘 그렇지만 균형이 중요한 것 같아요.
* 실행
많이 읽고 오래 생각하고 열심히 실험하면,
나만의 방식을 자연스럽게 창조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수련이 곧 실행이고 실행이 곧 수련인 것이죠.
하루에 1%씩 나아가면,
도약의 순간도 오고,
도약하면 안목이 깊어지는 것 같아요.
생각의 끝에서 더 정성을 쏟을 수 있어야
행동이 시작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514 | 빈센트Vincent | epiphany | 2004.07.30 | 1809 |
513 | 무어라 표현 할 수 없었는데.... | slowboat | 2004.07.29 | 1800 |
512 | 호젓한 길 | 구본형 | 2004.07.29 | 1983 |
511 | 청춘의 문장들 | epiphany | 2004.07.28 | 2190 |
510 | -->[re]바야를라(감사합니다) | 박영희 | 2004.07.25 | 2141 |
509 | ---->[re]수일님 시 올려주셔서 감사 음도 첨부합니다. | 사랑의기원 | 2004.07.25 | 1826 |
508 | -->[re]버드나무 정원에서 - 예이츠 | 수일 | 2004.07.24 | 2019 |
507 | 기인인 척하는 자는 기인이 아니며 이상한 사람일뿐이다. | 사랑의기원 | 2004.07.22 | 2029 |
506 | -->[re]수일씨 미쳤나봐 | 구본형 | 2004.07.22 | 2016 |
505 | 몽골 여행 | 수일 | 2004.07.22 | 1965 |
504 | 자작나무 | 수일 | 2004.07.22 | 1913 |
503 | 마흔 하나에 만난 책 '나' | slowboat | 2004.07.19 | 1805 |
502 | 과거를 회상한다는 것은... | 고대원 | 2004.07.18 | 1793 |
501 | 선생님과 함께 하는 여행 | 예닮 | 2004.07.14 | 1781 |
500 | ---->[re]말씀 감사드립니다 [3] | 강 | 2004.07.10 | 2033 |
499 | 두번째글입니다-신성한 당신의 삶, 침투해 들어오는 생활 | 강 | 2004.07.10 | 2017 |
» | -->[re]책, 생각, 실행 | 홍승완 | 2004.07.10 | 1730 |
497 | 이런글을 매일 하나이상 쓰고 있습니다... | 강 | 2004.07.09 | 2005 |
496 | 휴식은 침묵하는 것입니다 | 구본형 | 2004.07.08 | 1887 |
495 | 오랜만에 들려봅니다... [1] | canverse | 2004.07.07 | 2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