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단군의

/

1단계,

첫

2012년 7월 1일 23시 05분 등록

공산무인도.jpg

 

 

자기 귀를 자른 빈센트 반 고흐라는 네덜란드 화가를 모르는 사람은 드물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 나라 화가 중에 자존심을 위해 자기 눈을 스스로 찌른 이가 있다는 것을 아는 분은 얼마나...?

 

최북.

호생관(豪生館) 붓 한자루에만 의지해 먹고 살겠다는 단호한 의지를 드러낸 호입니다.

또한 이름인 북北을 파자(破字)하여 칠칠(七七)이라 부르기도 했습니다. 칠칠이는 바보, 병신을 일컫지만

칠뜨기의 다른 말이기도하지요. 시, 서, 화 삼절이었으면서 '최산수'로 불렸을 만큼 개성적 진경산수로 이름을

날렸습니다. 통신사절단을 따라 일본에 갔을 때에는 기량을 유감없이 발휘하여

일본 남화의 대가들에게 영향을 끼치기도한 조선의 스승이기도 합니다.

 

광기는 때로 예술가의 힘이지요.

이런 그에게 제 눈을 찌른 사연이 몇 갈래로 전해지는데요.

그 중 가장 많이 회자 되는 내용입니다.

어느 한 세도가가 최북을 찾아와 그림을 그려 달라고 청했는데 최북은 지금은

그림을 그리고 싶은 때가 아니어서 못 그려주겠노라고 잘라 말했습니다.

하지만 그 세도가는 권력을 내세워 최북을 괴롭히는 지경에 이르렀고, 실강이가 벌어진 끝에

문갑 위에 있던 필통에서 송곳을 꺼내어 자신의 한 쪽 눈을 찌르고 난 뒤 이렇게 말 합니다.

"차라리 내 눈을 찌르고 나 자신을 망가뜨릴지언정  남에게 구속 받으며 살지는 않겠다."

이 정도면 최북의 성미가 어떠했는지 짐작이 되고도 남지요.

 

 

그리고 그의 이 오만함은 어디서 오는 것일까요?

자존심이었겠지요.

 

 

이런 그가 그린 산수화입니다.

조용한 산 속을 그린 한 폭의 수채화와 같은 이 그림은

중국의 유명한 시인인 소식의'텅 빈 산엔 사람 없지만, 물 흐르고 꽃 피네.'하는 시 구절을

그림으로 옮긴 공산무인도(空山無人圖)입니다.

 

구본형선생님이 하신 말씀이 떠오릅니다.

꿈이 있는 자, 오만하다고.

우리 단군님들 가슴 속에 품은 그 오만을 저는 믿습니다.

 

화요일까지는 제가 문을 열겠습니다.

 

IP *.141.104.239

프로필 이미지
2012.07.02 04:26:46 *.213.80.69

^^ 출석합니다~ 새벽 공기 시원하네요~ 왠지모르게 활기찬 하루가 될 듯~

우리 현무부족님들의 하루도 시원하고 활기찰 것 같습니다 ^^

프로필 이미지
2012.07.02 04:37:19 *.132.184.188

새로운 한주가 시작되는군요~~

 

프로필 이미지
2012.07.02 04:38:32 *.237.114.159

우연희 4시에 눈을 떠 남은 일을 하려다가 인터넷상에 유로2012결승을 한다니

고민입니다.

 

아마도 유로 경기를 볼 것 같습니다.

 

다시 무더위가 시작된다내요!!!

 

페이스 조절 잘 하세요^^

 

 

프로필 이미지
2012.07.02 04:42:53 *.141.104.239

출석

프로필 이미지
2012.07.02 04:45:47 *.246.77.37
어제 누군가에게서 그 오만함을 보았죠. ㅋ
프로필 이미지
2012.07.02 04:51:59 *.33.42.58

 출석 ㅎㅎ 

프로필 이미지
2012.07.02 05:45:14 *.229.239.39

출석

프로필 이미지
2012.07.02 05:46:50 *.178.253.59
출석
프로필 이미지
2012.07.02 05:57:38 *.184.73.149

출석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81 [단군7기-현무부족-출석부]8주차 file [1] 인디언 2012.07.02 2287
2380 단군7기_청룡부족_057일차(7/2) [11] 호시고운 2012.07.02 2508
» 단군7기-현무부족-057일차(7/2)최북 file [9] 햇살가루(박신해) 2012.07.01 2270
2378 단군7기_청룡부족_056일차(7/1) 나는 나비 [23] 호시고운 2012.07.01 2548
2377 단군7기-현무부족-056일차(7/1) 노근묵란도 file [10] 햇살가루(박신해) 2012.06.30 2672
2376 단군7기_청룡부족_055일차(6/30) - Somebody [29] 희동이 2012.06.30 2086
2375 단군7기-현무부족-055일차(6/30) 설송도 file [13] 햇살가루(박신해) 2012.06.29 2706
2374 단군7기_청룡부족_54일차_(06/29) 지리산 [10] JKIM 2012.06.29 2389
2373 단군7기-현무부족-054일차(6/29) 황묘롱접도 file [10] 햇살가루(박신해) 2012.06.28 4729
2372 단군7기_청룡부족_053일차(6/28) - 회복 [25] 희동이 2012.06.28 2067
2371 단군7기-현무부족-053일차(6/28) 동자견려도 file [10] 햇살가루(박신해) 2012.06.27 2255
2370 [단군7기-현무부족-출석부]7주차 file [3] 인디언 2012.06.27 2339
2369 단군7기_청룡부족_052일차(6/27) - 노력 [28] 희동이 2012.06.27 2465
2368 [단군7기-3차세미나]새벽활동 중간점검과 천복의 의식수준 file [16] 인디언 2012.06.26 2671
2367 단군7기-현무부족 052일차(6/27) 묘작도 file [11] 햇살가루(박신해) 2012.06.26 3040
2366 단군7기_청룡부족_051일차(6/26) - 초심 file [17] 희동이 2012.06.26 2503
2365 단군7기-현무부족-051일차 오늘부터 새로운 놀이(6/26) file [13] 햇살가루(박신해) 2012.06.25 2654
2364 [단군7기-청룡부족-출석부] 7주차 - 나무 file [6] 병진 2012.06.25 2697
2363 단군7기_청룡부족_050일차(6/25) - 단순 반복 [18] 희동이 2012.06.25 2274
2362 단군7기_현무부족_050일차(6/25) 심연 [10] 스티브성 2012.06.25 24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