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2012년 8월 16일 23시 55분 등록

장미 20. 시칠리아 여행 후. ......자다 깨다 졸다 쿵!

    

어제 하루 종일 내가 했던 일입니다.

자다 깨다 졸다 쿵!

 

올핸 연구원 8기가 하계연수를 시칠리아로 다녀왔습니다. 이탈리아의 남쪽 끝, 장화가 발로 차려고 만들어놓은 삼각형의 공처럼 생긴 섬입니다. 지중해에서 제일 큰 섬이지요. 그곳엔 지금도 활활 속으로 열불을 내뿜고 있는 활화산 에트나가 있어서 화산재의 좋은 토양 위에 곡식과 열매가 풍성한 곳입니다. 그 옛날, 주변 열강이 이 좋은 땅을 항상 넘보고 힘으로 무찔러들어 그리스, 로마, 이슬람, 노르만의 손길이 여기저기 남아있었습니다. 신화와 역사가 마치 이곳에서 시작된 듯 , 매력적인 이야기가 흘러넘치는 곳이었습니다. 신전의 계곡에서 선생님이 들려주시던 헤라클레스의 얘기는 그대로 한편의 영화가 되었습니다. 책을 열 번 읽어도 잘 펼쳐지지 않던 상상력이 그때 그곳에서 활짝 펼쳐지더군요. 작년엔 북 이탈리아와 토스카나 지방을, 올핸 남쪽 끝 시칠리 섬을 한 바퀴 휘돌고 나폴리를 찍고, 결국 이탈리아의 배꼽 로마에서 튀어나와 집으로 돌아왔습니다.

 

하루에 세 코스를 뛰고 매일 짐을 싸서 떠나야하는 강행군이었습니다. 연구원은 숙제를 다 하기 전에는 결코 잠들지 않는 강인함을 기본으로 하고 있었기에 젊은이들은 그 프로그램을 다 따라갈 수 있었습니다. 모든 것을 다 받아들이는 바다는 기본이고 사그러져 가는 불꽃을 뒤적여 불씨를 찾아 타오르는 것은 반드시 끝내야 할 숙제입니다. 그런 작업을 뜨거운 산 에트나가 도와주었고 차거운 바다 지중해가 지켜보아 주었습니다.

 

무엇보다도 기억에 남는 풍광은 해발 3350미터의 화산 "에트나"입니다.

올해 오월에도 한번 폭발을 했던 진행형 화산인 에트나는 참 대단하더군요. 섬 어느 곳에서도 불을 뿜은 연기가 몽실몽실 보이는 듯하던 에트나 산을 1900미터까지 올랐습니다. 다른 사람들은 그곳에서 다시 케이블카를 타고 2500미터 까지 나아갔고 거기서 다시 지프를 타고 2900미터 까지 올라 비교적 안전한 분화구를 돌아보았다고 합니다. 나는 1900미터에 혼자 머무르며 작은 분화구를 셋, 오르고 내리며 놀았습니다. 따로 떨어져 혼자 쓸쓸히 걷던 그 언덕은 너무나 아름다웠습니다. 뜨거운 날씨에 아직도 뜨거운 화산재에 미끄러지며 아이스크림을 들고 돌아다녔습니다. 둥글고 작은 분화구 속으로도 들어가 보았는데... 그곳에서 사람들은 용암을 두드려 수정을 찾고, 또 조약돌로 서로의 이름을 새기며 놀고 있었습니다. 잿빛과 붉은빛이 잘 어우러진 아름다운 풍광은 말로 설명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렇게 험난한 자연 조건에도 꿀벌이 붕붕거리고 노란 꽃이 피어나고 나무가 자라고 있었습니다. 잠시 경건한 침묵으로 이곳까지 나를 이끌어준 내 운명에게 감사를 드렸습니다. 사진 정리되면 다시 보여드릴게요.

 

두 번째 풍광은 푸른 바다입니다.

아그리젠토의 외곽에 있는 포르토 엠페도클레에서 세 시간동안 수영을 했습니다. 이곳엔 터키 계단이라는 하얀 석회석 바위가 계단처럼 펼쳐져 있는 곳입니다. 그 바위 끝에서 옥색 물빛을 바라보는 일은 그림 같았습니다. 쭉쭉 뻗은 젊은 여인들이 우아하게 썬텐을 하며 찍어대는 사진 사이에 어쩌면 내 발가락도 배경으로 찍혔을 것 같아요. 바람 부는 그 언덕에 나도 잠시 누워보았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비치 파라솔을 네 개 빌려놓고 수영을 시작한 곳은 오목한 모래사장이었어요. 주변에 바위와 물풀들이 있어서 바닷물이 부분적으로 검게 보이기도 했습니다. 나는 어린 시절 부산에 있는 송도 돌섬에서 바위 끝으로 발이 미끄러져 나가는 순간 , 어푸어푸 허우적허우적 하면서 소금물 퍼먹고 삶과 죽음의 경계를 넘었던 터라 수영을 잘합니다. 그러나  해운대나 송도 바다에서는  바다 한 중간에서 그렇게 높은 파도가 부숴지는 것을 본 적이 없었어요. 남해안의 해수욕장에서는 보통 바다가 끝나는 모래사장으로 파도가 밀려오며 거품을 내 뿜잖아요? 그런데 이상하게 이 날은 바람이 세차게 불고 바다 중간에서 산채만한 파도가 밀려오더니 우리를 덥치고, 또 거푸거푸 덥치고 하더군요. 처음엔 사실 은빛 물결 반짝이며 파도가 평화롭게 밀려오기에 눈이 부시게 그 물결을 바라보고 있었는데요, 어느 순간에 무장 해제했던 내게  파도가 높은 산이 되어 쳐들어오는 것이었습니다.

 

처음에는 우리 열 댓명이 떼를 지어 서서 쳐들어오는 파도를 향하여 "온다온다~" 소리를 지르며 파도를 타고 놀았습니다. 재미있었습니다. 그러나 점점 속도가 빨라지더니 미처 피하지 못한 우리에게 파도가 물을 먹이는 것이었습니다그날, 소금물 좀 먹었습니다. 바닷물은 매우 짜더군요. 그런데 성난 파도에게는 절대 정면으로 부딪치면 안 됩니다. 고개를 숙이고 물속으로 들어가던지, 아님 팽그르르 돌면서 등을 보여야 합니다. 우리는 그렇게 한 시간 가까이 소리치며 파도를 타며 놀고 있는데... 어느 듯 우리 주변에 외국인들이 모여왔습니다. 이어 그들도 파도가 몰려오니 "온다온다~" 하며 우리처럼 파도타기를 하더군요. 그리고 함께 깔깔 웃어대며 놀았습니다. 그 장면이 참 정다웠고 기억에 남았습니다.

 

물론 그날 나는 파도만 본 것은 아닙니다. 마치 무슨 비밀을 알려주려고 손짓하는 듯한 햇살의 반짝거림과 저 멀리서 희망과도 같이 출렁이며 다가오는 물결도 참 아름다웠습니다. 그날 세 시간 동안 어린아이처럼 손가락의 살갗이 부르트도록 놀았던 까닭에 사실은 아직까지 팔뚝과 발뚝이 아픕니다. 이런 기억에 남은 감각이 사라지기 전에 여행기를 써두고 싶지만 아직은 낮과 밤이 뒤섞여 졸리면 자고 깨어나면 놀고, 또 졸다가 쓰러지고 이렇게 지냅니다. 사알짝 연구원 공간에 들어와 보니 다들 나처럼 시차적응 중인가 봅니다.

 

, 밥을 잘 먹고 여행을 잘 정리하며 모두 제자리를 잘 찾아가기를 바랍니다.

우선 귀향을 알리며 제 1, 공중으로 날려 보냅니다.

IP *.70.64.222

프로필 이미지
2012.08.17 10:23:59 *.104.207.203

샘의 불씨가 다시 들썩거리고,  '열불' 의 뜨거움으로 타오르게 될 것임을 미리 미리 추카 드립니당 ~ ^^

생생한 여행기에 맛나는 추억까지 ....아침의 생기를 불러다 주셨어요 ~

농익어 ? 가는 샘의 '청춘' 이 쌓아가시는 '언덕'을  한 번 더 기대하면서, 덩달아 기쁜 오늘 입니다 ~

 

에공... 나는 언제 장화가 차 올리려는 세모난 섬에 가 볼라나...  부러브면 지는거당 ^^

잘 읽고 웃으면서 나갑니다용 ~

프로필 이미지
2012.08.18 01:26:20 *.70.64.222

야호, 그동안 잘 견디고 있었씀?

돌아오는 날, 폭풍비 쏟아지기에....이젠 무더위가 정신을 차리는가 싶드만...

왠걸,  어제도 더웠고 오늘은 더 덥고....나는 계속 졸다쿵, 쿵,쿵....knock three times~

 

서울오면 꼭 전화해줘요. 얼굴 좀 보고 수다 좀 떨고...... 이번엔 아침이어도.... 냉면 오케이...ㅎㅎ 

프로필 이미지
2012.08.17 10:38:02 *.38.222.35

으앙... 좌슨생님... 시칠리아에 함께 갔다온듯한 기분..

옥색의 지중해에서 파도타기라니요... 완전 즐거웠겠어요~!!!^^

 

사진도 좀 보여주세용~~~~^^

프로필 이미지
2012.08.18 01:28:18 *.70.64.222

미나야, 그대가 이 여름에 화끈하게.......일을 끝내주게 잘했다며..... ㅋㅋ

다음 주 목요일.. 만나서 밀린 얘기 하자.

사진은 주말 지나면 우후죽순...우루루루 올라오리라  기대하는데.....ㅎㅎ

프로필 이미지
id: 깔리여신
2012.08.21 17:46:56 *.85.249.182

선배님!

바다만큼이나 시원하게 써내려간 글 잘 읽었습니다.

에트나화산에서 먹는 아이스크림은 어떤 맛일까? 궁금^^

바다에서 파도놀이를 하면서 동심에 빠졌을 변경연사람들을 생각해 봅니다.

변경연만이 해볼 수 있는 일인 것 같습니다.

 아니 변경연사람들은 무엇을 해도 멋져요. 지적인 사람들이니까요!

멋진 선배님을 다시 한 번 뵙고 싶습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32 시칠리아 사랑이야기의 덤 [12] 콩두 2012.08.27 2581
3131 누가 비극이라 하는가 [6] 장재용 2012.08.27 2181
3130 루브르 박물관전을 둘러보며 느낀 사랑이야기 [5] 학이시습 2012.08.27 2216
3129 17. 신화에 물들어 - 한젤리타 [5] 한젤리타 2012.08.27 2294
3128 쌀과자_#17 미쳤어요? [8] 서연 2012.08.27 2274
3127 수술을 마치고 file [5] 양갱 2012.08.21 6793
3126 나의 바다로 뛰어드는 곳, 체팔루 file [4] 콩두 2012.08.20 2913
3125 사랑하려거든 아르메리나로 가라 file [2] [3] 장재용 2012.08.20 6004
3124 스칼라 데이 뚜르키 (Scala Dei Turchi) - 터키인들의 계단 file [3] [2] 세린 2012.08.20 6963
3123 고대의 도시들을 품은 섬, 시간에 비껴 선 땅, 시칠리아 file [1] 샐리올리브 2012.08.20 3793
3122 살기위해 오르는도시 , 타오르미나 file [2] [8] 학이시습 2012.08.20 3351
3121 해외연수_시칠리아_에트나 서연 file [4] [1] 서연 2012.08.19 3047
3120 변경연 시칠리아 여행_시라쿠사에서_한젤리타 file [12] 한젤리타 2012.08.19 2886
3119 장미 21. 엔나(ENNA)를 지나며 [8] [1] 범해 좌경숙 2012.08.18 2414
3118 #41. 신치의 모의비행-러브매칭 프로젝트를 마치며 미나 2012.08.17 2380
» 장미 20. 시칠리아 여행 후 .....자다 깨다 졸다 쿵! [5] 범해 좌경숙 2012.08.16 2734
3116 율리시스 읽는 시간 [4] id: 깔리여신 2012.08.15 5751
3115 나에게 쓰는 편지 file [1] 양갱 2012.08.14 2604
3114 [꿈그림] 2개의 이미지 file [1] 한정화 2012.08.08 2654
3113 [재키제동이 만난 쉼즐녀 4] 홍보회사 더 니즈앤씨즈 커뮤니케이션 랩 명성옥 대표 file [12] 재키 제동 2012.07.31 4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