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용규
- 조회 수 3427
- 댓글 수 3
- 추천 수 0
산부추 꽃이 폭죽처럼 피어나고 있다.
빽빽한 나무들 틈에서 부족한 빛을 견뎌 한 여름을 났을 그의 꽃은 그래서 저렇게 예쁜가 보다.
그대 보고 싶다던 이 숲의 가을이 점점 예뻐지고 있습니다. 꽃향유가 보라색의 정수를 드러내며 제 꽃을 길게 피우자, 양지바른 땅의 산국들이 서둘러 노란색으로 화답합니다. 산부추 꽃은 폭죽을 터뜨리듯 피어나고, 밤 새소리는 한결 멀리 퍼지기 시작했습니다. 한 낮, 숲에 가까운 하늘은 햇살을 튕겨내는 날개 달린 씨앗들의 대 이동으로 은빛 물결입니다. 두꺼비들도 이미 다시 산에 올라 자리를 잡은 듯 하고, 뱀들도 숲 언저리보다는 산 중 은신처에 마음을 두고 있는 듯 합니다. 이미 씨앗을 떠나 보낸 풀들은 자신의 지상부(地上部)를 사위어 땅으로 돌려놓을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적당히 헐거워지고 있는 이 즈음의 숲은 눈에 보이는 모든 것들이 아름답습니다. 이 아름다운 풍경들을 앞에 두고 오늘 나는 그대에게 눈에 보이지 않는 숲의 희망적인 풍경 하나를 전하려 합니다. 나무와 풀들의 뿌리가 절망을 이겨내는 방법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종류와 상황에 따라 다르겠으나, 우리가 보는 다 자란 나무와 풀은 그들 몸 전체 양의 대략 60%정도일 뿐입니다. 나머지 40%를 그들은 땅 속에 묻어두고 있습니다. 우리는 그것을 뿌리라고 부릅니다. 뿌리는 자신의 몸을 지탱하고, 또한 물을 통해 필요한 양분을 흡수하는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식물은 또한 뿌리를 통해 자신이 만든 영양분의 일부를 뿌리 주변으로 분비시켜서 자신들에게 영양분 공급을 도와줄 토양 미생물들의 활동을 자극합니다. 따라서 뿌리 주변에는 가는 뿌리 분비대가 존재하게 됩니다. 연구자들은 이것을 근권(根圈, rhizosphere)이라고 부릅니다.
식물이 한 개체만 존재하는 토양 속의 뿌리 분비대는 미미하게 형성됩니다. 반면 식물군락이 발달한 곳의 토양 속은 뿌리 분비대가 광범하게 형성됩니다. 앞의 토양 환경에서 싹을 틔운 식물은 미생물의 도움이 미미하므로 척박함을 안고 자라야 하는 식물이고, 뒤의 토양 환경에서 싹을 내는 식물은 광범한 원군이 배경으로 존재하니 숲의 은혜를 받고 자라는 식물입니다. 인간으로 치면 앞의 식물은 절망적인 환경을 안고 자기를 실현해가야 하는 상황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다른 식물과 빛을 다툴 일은 거의 없겠지요. 한편, 뒤의 식물은 그 반대일 것입니다.
원군이 별로 없는 절망적 환경을 받고 태어난 식물은 어떻게 할까요? 그는 어떻게 그 절망적 상황을 이겨낼까요? 그들이 절망을 이겨내는 방법은 간단해 보입니다. 척박함이 허락한 만큼 키를 키우면서도 자신의 근권을 확대하는 일을 꾸준하게 지속합니다. 자신이 만든 영양분의 20% 가량을 뿌리를 통해 분비해 줌으로써 아직 미미한 미생물 원군을 조금씩 조금씩 만들어가는 것입니다. 부족한 양분으로 삶이 고단하지만, 그 과정을 통해 자신이 만들어낼 첫 번째 결실(씨앗)이 조금씩 더 비옥한 환경을 얻고 결실을 확대해 갈 수 있는 초석을 다져가는 것입니다.
인간 사회에서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지 모르겠지만, 자연의 질서 속에는 천리 길도 한걸음부터 시작해야 하는 것이라는 진리가 여전히 살아있습니다. 척박함을 이겨내고 자신의 영토를 만든 풀과 나무는 모두 그렇게 자신의 초석을 다져가는 일로 절망을 넘었던 것입니다. 자신의 원군을 얻기 위해 자신의 미미한 결실을 나누고 있음도 기억할 일입니다.
낙엽이 지려할 때 이 숲의 가을은 더 예쁠 것입니다. 낙엽을 통해 땅은 더 풍요로워질 것입니다. 그대 처한 땅이 어떠하든 이 가을 그대 원군이 더 많아지는 순환이 함께 하길 빕니다. 그것을 요즘 경영분야에서는 네트워킹이라 부르나요?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777 |
우리가 단풍에게 저지른 일 ![]() | 김용규 | 2009.10.29 | 3192 |
776 | 세상에 당연한 것은 없다 | 문요한 | 2009.10.28 | 7697 |
775 |
소명, 내면에서 들리는 목소리 ![]() | 승완 | 2009.10.27 | 3596 |
774 | 기도가 필요한 새벽 [24] | 신종윤 | 2009.10.26 | 3186 |
773 |
올곧은 유연함 ![]() | 김용규 | 2009.10.22 | 4558 |
772 | 불안은 영혼을 흔들어 깨운다 [1] | 문요한 | 2009.10.21 | 3351 |
771 |
삶의 의미를 발견하는 방법 ![]() | 승완 | 2009.10.20 | 3411 |
770 | 목표에 걸려 비틀거리다 [5] | 신종윤 | 2009.10.19 | 3225 |
769 |
그래, 뭔가 뜻이 있을꺼야 ![]() | 부지깽이 | 2009.10.16 | 3851 |
768 |
우리에게 주어진 형벌과 장애에 대하여 ![]() | 김용규 | 2009.10.15 | 3183 |
767 | 온몸으로 상상하라 | 문요한 | 2009.10.14 | 3464 |
766 |
가독성과 흐름이 좋은 글을 쓰는 2가지 방법 ![]() | 승완 | 2009.10.13 | 4839 |
765 | 창문을 사수하라 [2] | 신종윤 | 2009.10.12 | 3001 |
764 | 아, 내 가슴에 두 영혼이 살아 있구나 [5] | 구본형 | 2009.10.09 | 3102 |
» |
그들이 절망을 이겨내는 방법 ![]() | 김용규 | 2009.10.08 | 3427 |
762 | 고통과 괴로움은 다르다 [1] | 문요한 | 2009.10.07 | 3514 |
761 |
강연을 준비할 때 늘 곁에 두는 책 ![]() | 승완 | 2009.10.06 | 3235 |
760 | 좋은 아빠의 조건 | 신종윤 | 2009.10.05 | 3226 |
759 |
당신의 지금 사랑, 그 사랑을 죽도록 사랑하세요 ![]() | 부지깽이 | 2009.10.02 | 5367 |
758 |
그대의 절망에 대하여 ![]() | 김용규 | 2009.10.01 | 36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