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문요한
  • 조회 수 3611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11년 9월 7일 07시 51분 등록

"존이 사과 세 개를 가지고 있습니다. 제인은 존이 가진 사과 세 개 중 두 개를 가져갔어요. 그렇다면, 존에게 남은 사과는 몇 개일까요? 이것이 일반적인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입니다. 공감교육은 어린이에게 이렇게 묻습니다. 이때 과연 존의 마음은 어떨까요?"

 

- 메리 고든, <공감의 뿌리> 운동 창시자 -
----------------------------------

 

 

캐나다의 유치원 교사였던 메리 고든은 유치원 수업에 잘 적응하는 아이와 그렇지 못한 아이들의 차이가 어디에서 비롯되었는지를 관찰했습니다. 그녀는 적응에 어려운 아이들은 중독이나 부부불화가 심한 가정에서 자라나 마음을 열고 표현하는 데 무척 서툴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다른 무엇보다도 마음을 느끼고 마음을 열도록 가르치는 것이 교육의 시작임을 깨닫고 갓난아이를 통해 공감능력을 향상시키는 <공감의 뿌리> 운동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공감교육 시간인 ‘공감의 뿌리’에서는 갓난아이가 선생님이자 교과서입니다. 먼저 유치원, 초중등학교 인근에 사는 엄마와 수 개월 된 갓난아이가 교실로 초대됩니다. 갓난아이와 엄마는 담요 위에서 놀고 학생들은 둘러싸고 아이를 바라봅니다. 만일 아이가 운다면 선생님은 “아이 기분이 어떤 것 같아? 아이가 우니까 너의 마음은 어때? 아이가 왜 울까? 너는 언제 이렇게 슬프지?”라는 식으로 학생들의 마음을 묻고 대화를 나누게 합니다. 주 1회씩 9개월여의 시간 동안 갓난아이의 발달을 지켜보면서 학생들은 상대의 마음을 헤아리고 자신 안에 있는 따뜻한 감성을 느끼며 마음을 표현하는 법을 배우게 됩니다. 9개월 뒤 부쩍 자란 갓난아이와 헤어지는 학생들의 마음은 어떨까요? 

  

1996년 캐나다에서 시작한 이 운동은 현재 전 세계 5만여 학생을 대상으로 펼쳐지고 있습니다. 어떤 효과가 있기에 이렇게 확산되고 있을까요? 놀랍게도 공감교육이 시행된 학교에서는 집단 괴롭힘이나 학교폭력의 문제들이 60~ 90% 가량 줄어들고, 학습능력도 향상되었다고 합니다. 공감능력의 향상이 감정조절의 브레이크 기능을 하고, 서로의 마음을 이어주는 윤활유 역할을 한 것입니다. (더 많은 정보를 원하시는 분은 링크된 웹사이트를 방문해보시길 바랍니다. http://www.rootsofempathy.org/)

 

갈수록 힘들어지는 삶과 갈등이 깊어가는 우리 사회에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저는 <공감의 뿌리>운동에서 그 해답을 찾아봅니다.  
 
 
 
 

- 2011. 9. 7.  '당신의 삶을 깨우는 ' 문요한의 Energy Plus 509호-



link.jpg




<안내> 9월 주말워크샵 '더 깊은 인간관계를 위한 공감훈련' 


제가 운영하는 정신경영아카데미에서 9월 17일(토) 오후 2시~6시까지 <공감훈련>을 주제로 주말워크샵이 개최됩니다. 공감능력의 향상을 통해 더 깊은 인간관계로 나아가고자 하는 분들의 참석을 권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안내글(클릭!)을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IP *.120.20.156

프로필 이미지
미옥
2011.09.07 08:48:55 *.237.209.28
^^
나의 경험만으로 글을 쓴다는 게 참 부담스럽습니다.
나는 그랬지만 과연 이게 다른 사람과도 공유할 수 있는 이야기인가
고민스럽기 때문입니다.

선배님의 글은 이런 저의 고민을 귀신같이 해결해주시네요.  ^^
그렇지 않아도 남편에게 아직 언어적 표현이 서툰 둘째 아이를 통해 공감훈련을 할 수 있을 거라고 말하고 있었거든요.
부모가 아이에게 해줄 수 있는 최고의 선물은 '마음을 나누는 체험'이라고도요.

제 말을 듣고도 아직은 반신반의하고 있는 듯 보이는 남편에게 이글도 보여줘야겠어요.
요즘 선배님의 편지를 너무나 잘 활용하고 있답니다.
제 마음을 읽는 듯 절묘한 타이밍에 날아오는 이 신기한 동시성에 감탄하면서요.    ^^


프로필 이미지
우성
2011.09.07 11:52:00 *.30.254.21

아하! 하는 깨달음
깊이 공감하고
감탄하게 하는 글..
멋집니다....emoticonemoticon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36 삶이란 죽음 위에 피는 꽃 file [2] [1] 승완 2011.09.20 4851
1235 문명은 모든 살아 있는 사람을 위한 문명이어야 한다 부지깽이 2011.09.16 4079
1234 흔들리는 자신 가만히 바라보기 file [2] 김용규 2011.09.15 3287
1233 감정의 굳은 살 문요한 2011.09.14 3615
1232 개인사를 관통하는 성장과 퇴화의 패턴 file 승완 2011.09.13 4073
1231 그녀는 수수께끼입니다 부지깽이 2011.09.09 4597
1230 세상은 나를 주저앉게 할 수 없다 [3] 김용규 2011.09.08 3245
» 갓난아이가 학교를 구하다 [2] 문요한 2011.09.07 3611
1228 인간에 내재해 있는 위대한 힘 file [1] 승완 2011.09.06 4187
1227 그날, 루까의 성벽 위에서 부지깽이 2011.09.02 4673
1226 농부로 사는 즐거움 몇 가지 [2] 김용규 2011.09.01 3268
1225 당신의 뇌가 가장 뛰어날 때 [1] 문요한 2011.08.31 4617
1224 아시시의 바람이 준 가르침 file 승완 2011.08.30 4823
1223 비둘기의 꿈 file [2] 신종윤 2011.08.30 5320
1222 특별함의 원천 [2] 부지깽이 2011.08.26 4221
1221 끝까지 가자, 끝을 만나게 되리라! [3] 김용규 2011.08.24 3322
1220 세상의 모든 사랑은 불완전하다 문요한 2011.08.24 4082
1219 르네상스인, 탐구하고 재생하고 자립하는 인간 file 승완 2011.08.23 4685
1218 오늘이 내일을 만든다 신종윤 2011.08.23 4153
1217 그날 그의 집에서 본 하늘은 참 아름다웠네 [5] [2] 부지깽이 2011.08.19 4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