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2013년 9월 2일 06시 41분 등록

80년대 중반 정도로 기억한다.

예전 어느 개그 프로그램에서 "먼저 인간이 되어라~~"라는 말이 유행어가 되어 유명세를 탔던 적이 었었다.

 

현대사회에서 우리는 늘 경쟁구도 속에서 소유의 관점에서 사고한다.

'성공'이라는 어쩌면 굉장히 주관적이고 추상적인 개념의 잣대를 대어 주변의 사람들과 비교하여 자신의 성공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다른 사람보다 사회적으로 얼마나 성공을 했는가의 여부는 사회경제적인 지위, 어떤 배우자와 살고있는가 (외모, 학력, 재산 등), 얼마나 많은 부()를 이루었는가? 등을 가지고 그 사람의 성공도와 함께 행복도를 평가하며, 그에 빗대어 자신의 현재 상황에 낙담하고 실의에 빠지고 우울해하기도 한다.

 

융의 그의 자서전에서 밝히고 있다.  "지위, 결혼, 명성, 외적인 성공, 재물들의 소유가 사람에게 행복을 가져다 주지 않는다. 사람들은 여전히 불안하고 신경증을 앓는다. 그들이 좀 더 폭넓은 인격의 발달할 수 있어야 신경증은 사라지고 그렇기에 '인격발달이 중요하다"

 

얼마 전에는 모그룹 사장급 유명인사가 투신자살한 사건이 화제가 된 적이 있다. 누구나 부러워할 만한 학력, 사회/경제적 지위를 갖고 있음에도 그는 현실을 비관하여 극단적인 선택을 하고 말았다. 세상은 각박해지고 최근들어 '신경정신과적' 병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런 신경증은 그 사람이 소유한 어떤 물리적인 풍요로움 의해 해결되는 것이 아니다.

 

그렇다면 어찌보면 우리를 행복으로 이끌어줄 수 있는 열쇠인, 즉 융이 말하는 '인격발달'이란 무엇인가?

그 중 핵심은 자기 자신에 대해 올바른 인식을 갖는 것이리라.

자신이 추구하는 삶, 자신이 인생에서 소중하다고 생각하는 것, 자신이 살고 싶은 삶이 어떠한 모습인지에 대한 자기 이해 및 인식이 필요하다.

 

어쩌면 이것은 아주 어린시절부터 자연스럽게 외부환경에의 노출과 자극을 통해 형성되는 것인지도 모른다. 이러한 자기 자신, 특히 자신의 내면에 대한 고민과 탐색을 통해 스스로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가장 중요하다.

그 다음으로는 그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그에 부합하는 삶을 살아가기 위한 노력일 것이다그러한 노력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자신이 추구하는 삶의 모습과 자신의 현재의 모습을 비교하며 그 차이를 줄이고자 노력할 때(이러한 부분의 노력은 물리적인 소유를 확대하려는 노력과는 차이가 있다) 그때에야 비로소 올바른 '인격발달'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인격발달의 과정은 우선 유년/청년기까지는 자기 자신이 누구인지, 자신의 강점과 약점들을 알려는 노력과 그것을 알아내는 것이 과제라면 중장년기를 넘어가면서는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위해 부단한 노력을 통해 보다 나은 인격으로 스스로를 빚어가려는(molding)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하여 우리는 궁극적으로 스스로도 가장 편한하고 사회적으로 가장 모범이 될 수 있는 이상적인 형태의 모습으로 자신을 발전시켜 나아가야 한다.

 

융의 자서전을 읽으면서 그런 생각이 들었다. '어제보다 더 아름다워지려는 사람들을 돕습니다'라는 모토를 중심으로 개인의 변화를 돕고 있는 구본형 변화연구소야 말로 융의 철학인 '인격발달'을 위해 가장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그런 곳이라는 생각이 들며 다시한번 구본형 사부님의 사람에 대한 이해에 깊은 존경을 느낀다. 인격발달을 통해 우리가 궁극적으로 도달해야 한 곳은 나 자신의 발전을 넘어 내 주위를 아름답게 밝힐 수 있는 등불의 역할을 하는 것이라는 생각을 해보며... 80년대의 유행어 "먼저 인간이 되어라~~"는 유행어를 떠올려본다.

 

그렇다! 우리 모두 성공가도를 달리기 위해 먼저 인간이 되려는 노력을 한다면, 그리하여 먼저 인간이 된다면,

내일 우리가 사는 세상은 분명코 오늘보다 아름다운 곳이 될 것이다.

IP *.35.252.86

프로필 이미지
2013.09.02 10:50:23 *.29.125.15

어려운 주제네요..

인간적이다...

어떤 사람은 나누는 과정을 중요시 하고,

어떤이는 개인의 고유성을 더 중요시하고..

그 어느것을 취하는 것이 인간인것 같네용...

어제 잘 들어갔지요?

 

 

프로필 이미지
2013.09.02 15:30:33 *.91.142.58

언니!

덕분에 매우 상쾌하고 새로운 주일을 보냈지요.

그리고 과제 수행에도 도움되구.

'인간적이다'라기 보다...

우리는 지속해서 '인격개발'에 힘써야 된다는 거라고나 할까...

담에 만나면 또 함 토킹어바웃해요~~우리 종종 어제 거기서 모닝데이또해요 ^^*

프로필 이미지
2013.09.02 19:04:57 *.132.184.188

토킹어바웃...외국생활 오래해서 나오는 말버릇인가보네.

그러니까, 이른 아침에  만나니가 기분이 새롭네...

 

프로필 이미지
2013.09.02 21:58:04 *.108.69.102

성인발달론에 의하면

40대의 목표는 "너 자신이 되어라"이고

50대의 목표는 "나를 넘어서 우리에게로!" 랍니다.

나를 찾았으므로 더 이상 나에게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되고, 관심을 온전히 내 앞에 있는 사람들에게 쏟을 수 있어서

그리 되나 봐요.

진희씨 글과도 연결되는 것 같아 옮겨 봅니다.  글 잘 읽었어요!

프로필 이미지
2013.09.03 23:01:25 *.35.252.86

선배님,

유용한 코멘트 감사합니다.

제가 쓰고 싶었던 얘기도 그런 거였는데 ㅎㅎ

우선은 '나'를 찾고 그리고 '우리'를 찾고... 우선 먼저 저를 찾아야겠지요?

항상 저희 후배들에게 큰 힘이 되어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려요.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72 낙타의 노래 [4] 유형선 2013.09.09 2240
3671 #17. 인생이란 이름의 퍼즐맞추기 [2] 땟쑤나무 2013.09.09 2018
3670 #4_고통 바라보기 [1] 서연 2013.09.09 2075
3669 #17. 구선생님의 서재에서 할머니가 떠올랐다. [2] 쭌영 2013.09.09 2109
3668 방문판매 세일즈 - 1. TAXI 법칙을 기억하라 [1] 書元 2013.09.08 1991
3667 맞다. 우리 집에는 뒤 안이 있었다. [1] 정야 2013.09.05 2335
3666 변화는 나의 벗 file [1] 효인 2013.09.05 2112
3665 #3_가치투자? 나는 개뿔이라고 생각한다. [2] 서연 2013.09.03 3953
3664 [No.5-1] 엄마, 엄마, 엄마? 엄마 아니야...-9기 서은경. file [10] 서은경 2013.09.02 2342
3663 삶은 세상에 대한 적극적인 해석 [4] 오미경 2013.09.02 2085
3662 '내 속의 나'와 벌이는 숨바꼭질 [4] 유형선 2013.09.02 4513
3661 #16. 김기덕과 그림자 [4] 땟쑤나무 2013.09.02 1813
» [9월 1주차] 먼저 인간이 되어라~~! [5] 라비나비 2013.09.02 2475
3659 #16. 인간처럼 행동하는 컴퓨터 만들기 [2] 쭌영 2013.09.02 2312
3658 Blooms day party 2부 레몬 2013.09.02 2622
3657 나안의 다른 나 [1] 최재용 2013.09.02 2319
3656 Blooms day party 1부 file [1] 레몬 2013.09.01 2584
3655 흥보가에 왜 양귀비가 나올까 [2] 한정화 2013.08.30 2235
3654 [산행기] 천태, 이름에 하늘을 담은 자 file [2] 장재용 2013.08.30 3516
3653 나는 자연보호를 모른다 [2] 정야 2013.08.29 2412